•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Perception Abilit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의 휴대전화 사용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on of Elderly's Speed of Mobile Phone Ability)

  • 양영애;조은주;박수희;박수정;김혜린;이명화;양미연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8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 affecting elderly's speed of mobile phone ability. Method: Sixty healthy senior citizens who live in Kim-hye participated in Cognition, Visual perception, Speed of mobile phone abil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 independ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though men were faster than women while using mobile phone, there was little satisfical significance(p<0.05). 2. Although people in their sixties were faster than people in their seventies while using mobile phone, there was minial difference(p<0.05). 3. The primary factor which affect mobile phone using speed is figure ground, visual memory, visual processing and the most beneficial discovery in the entire project is figure ground(p<0.05). Conclusion: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in order to enhance figure ground, visual memory, visual processing in mobile phone using speed. These results will be consider useful for elderly's mobile phone ability.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동작인식 모델링 (A Bio-Inspired Modeling of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for Action Recognition)

  • 김진옥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8호
    • /
    • pp.299-308
    • /
    • 2014
  • 신체 동작, 얼굴 표정과 같이 아주 복잡한 생체 패턴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인간의 능력을 모방한 정보처리 컴퓨팅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등장하고 있다. 특히 컴퓨터비전 분야에서는 인간의 뛰어난 인지 능력 중 상황정보 없이 시각시퀀스에서 동작을 분류하는 기능을 통해 시공간적 패턴 코딩과 빠른 인식 방법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시퀀스상의 동작인식에 생물학적 시각인지과정의 영향을 받은 생체 기반 컴퓨터비전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안 모델은 이미지 시퀀스에서 동작을 검출하고 시각 패턴을 판별하는 데 생체 시각처리과정의 신경망 구조 단계를 반영하였다. 실험을 통해 생체 기반 동작인식 모델이 인간 시각인지 처리의 여러 가지 속성을 고려했을 뿐 아니라 기존 동작인식시스템에 비해 시간 정합성이 뛰어나며 시간 변화에 강건한 분류 능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제안 모델은 지능형 로봇 에이전트와 같은 생체 기반 시각정보처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가상현실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인지능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irtual Reality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Cognition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강혁준;김상률;김정헌;송대헌;양지은;추미란;이현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55-16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head-mounted display (HMD) based virtual reality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ETHODS: This study enrolled 5 mild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t the G welfare center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Patients were examined using the MMSEDS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was appli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nd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geriatric population (LOTCA-G)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RESULTS: Subsequent of application of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LOTCA-G score. The FIM score was also perceived to increase, after the interven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VR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as a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sual perception, and upper extremity executive ability, especially orientation, thinking organization, attention, and concentration.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ortable Computerized Cognitive Training System on the Visual-perceptual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Pilot Study)

  • 전민재;문종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603-610
    • /
    • 2019
  • 본 연구는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 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12명의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6명씩 할당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군 또는 대조군의 훈련을 하루 30분, 주 5회, 4주 동안 수행하였다. 실험군은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보편적인 인지훈련을 수행하였다. 시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MVPT-3(Motor-Free Visual Perception-3)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MVPT-3 total score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MVPT-3 total score와 visual short-term memory of sub-item of MVPT-3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을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휴대용 전산화 인지훈련 시스템이 경도인지손상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재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Using Both Hands Keyboard Input and Hand Function Among the Lifestyles of University Student)

  • 배성환;강우진;김나영;김지현;조준혁;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21-228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과 눈-손 협응 능력의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으로 자판을 사용하여 손 기능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와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 Adolescent를 평가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 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 협응력과 시각-운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산 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 손의 기민성, 눈-손협응력과 시각-운동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손을 사용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Purdue Pegboard Test 중 우세손과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313, p<.05). 또한 스마트폰 자판 입력속도는 K-DTVP-A의 항목 중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Form Constancy(r=-.341, p<.05)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향후 스마트폰 양손 조작을 활용한 손 기능 증진과 시각-운동에 관한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추가적인 실험연구를 통하여 스마트폰 조작을 활용한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되길 기대한다.

How Well Do We Understand Autistic Savant Artists: A Review of Various Hypotheses and Research Findings to Date

  • Seungwon Chung;Jung-Woo S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93-111
    • /
    • 2023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autistic savant artists, hypotheses on the proximate and ultimate causes of their emergence, recent psychological and other studies about them, and psychological and neuroaesthetic studies about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 artistic features of autistic savant artists were significantly similar to those of outsider artists. Furthermore,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aradoxical functional facilitation theory, the superior visual perception hypothesis, the "Hmmmmm" hypothesis, and the Neanderthal theory of autism regarding the emergence of autistic savant artist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whether an increase in savant characteristics was related to a decrease in the ability for social communication. The authors suggested that in studies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their aesthetic experience ability is never lower than that of neurotypical individuals and that some non-savant autistic individuals may potentially have artistic talent. Finally, the authors reviewed the effectiveness of the "autism savant spectrum syndromic disorder" proposed by some researchers.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tudies on autistic savant artists from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are warranted.

Putting Images into Second Language: Do They Survive in the Written Drafts?

  • Huh, Myung-Hye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255-1279
    • /
    • 2010
  • Much has already been learned about what goes on in the minds of second language writers as they compose, yet, oddly enough, until recently little in the L2 research literature has addressed writing and mental imagery together. However, images and imaging (visual thinking) play a crucial role in perception (the basis of mental imagery), in turn, affecting language, thinking, and writing. Many theorists of mental imagery also agree that more than just language accounts for how we think and that imagery is at least as crucial as language. All of these demands, to be sure, are compounded for EFL students, which is why I investigate EFL students' writing process, focusing on the use of mental imager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writing. First I speculate upon some ways that imagery influences EFL students' composing processes and products. Next, I want to explore how and whether the images in a writer's mind can be shaped effectively into a linear piece of written English in one's writing. I studied two university undergraduate EFL students, L and J. They had fairly advanced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and exhibited high level of writing ability, as measured by TOEFL iBT Test. Each student wrote two comparison and contrast essays: one written under specified time limitations and the other written without the pressure of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the amount of time in itself causes differences within an individual in imagery ability, the students were placed under strict time constraints for Topic 1. But for Topic 2, they were encouraged to take as much time as necessary to complete this essay. Immediately after completing their essays, I conducted face-to-face retrospective interviews with students to prompt them for information about the role of imagery as they write. Both L and J have spent more time on their second (untimed) essays. Without time constraint, they produced longer texts on untimed essay (149 vs. 170; 186 vs 284 words). However, despite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spent writing an essay, these students neither described their images nor detailed them in their essays. Although their mental imagery generated an explosion of ideas for their writings, most visual thinking must merely be a means toward an end-pictures that writers spent in purchasing the right words or ideas.

과학 수업에서 비주얼씽킹 도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실행 - 교사 온라인 커뮤니티 자료를 중심으로 - (Perception and Practice of Elementary Teachers about Using Visual-Thinking in Science Classes - Focus on the Teacher's Online Community Materials -)

  • 박지원;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54-6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and practice using Visual Thinking (VT) in science classes. For this, we collected 161 VT teaching materials for science that uploaded on the elementary teacher's online communitie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lso we interviewed four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used VT in science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T teaching materials shared in teacher's online communities were most often used to review the science concepts that students learned. Most of the materials required 'remember' among the Cognitive Process, and most of them provided layouts for VT activities.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using VT materials to review the science concepts they learned, so that students remember them. Third,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because of the beliefs of effects as follows: facilitating learning and reviewing what students had learned; increasing students' positive reactions and confidence; learning through the interation among learners; the formation of habits thinking visually; indirect experiences of science class; possibility of class correspon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Fourth, the participants had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the VT science class, such as the burden of making VT materials, the long preparation time, concerns over overlapping contents, consideration of learners' VT skills, and the themselves' drawing ability. Furthermore, they also had difficulties in proceeding for the class, like different preference among learners about Visualization and loss of objectives in science class using VT. Fifth, the participants needed support as follows: platform to share students' VT results; VT case books and teachers' guidebooks; physical environment.

인터페이스에서 시각 메타포의 요소와 사용자 감성과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Metaphor and User Affection)

  • 이광득;송승근;이진호;정희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65-166
    • /
    • 2013
  • 기존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에서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사용을 통한 효율적인 의미 전달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전제로 인간이 지각하고 행동하고 사고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을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편안한 사용이 사용자의 편의성과 연관이 있으며, 편의와 효율은 인간의 감성과 연결되어 있을 것이라는 기초 가설에서 시작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적 메타포 요소가 사용자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가 주로 메타포를 언어적 수사의 표현으로 이해하는데 반해 메타포의 시각적 요소가 인터페이스의 편의성과 친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메타포의 개념과 감성디자인의 개념과 함께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메타포의 요소를 피 실험자가 구두화하는 과정을 통해 감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 할 것이다.

  • PDF

수량민감도와 시각작업기억 및 시각적 주의 간 개인차 연구 (A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across Numerosity Sensitivity, Visual Working Memory and Visual Attention)

  • 김기연;조수현;현주석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3-18
    • /
    • 2015
  • 인간의 수량지각은 선천적인 능력으로 생각되지만 그 민감도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시각작업기억과 시각탐색 효율성 그리고 수량민감도 능력 간의 상관 여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변화탐지 수행 능력에 기초해 개인의 작업기억 저장용량을 정량화시킨 K-값, 시각탐색 효율성의 지표인 탐색함수의 기울기 그리고 두 점 배열내의 점 개수 간 수량 차이에 대한 민감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들에 대한 상관 관계분석 결과 시각작업기억 고용량 개인의 경우 점 배열 간 위치 정보가 보전되었을 때 수량 차이에 상대적으로 저용량 개인에 비해 민감했던 반면, 시각탐색 고효율 개인의 경우 점 배열 간 위치 정보가 보전되지 않았을 때 수량 차이에 상대적으로 민감했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 고용량 개인들의 경우 점배열을 소수의 점 패턴 형태로 군집화하는 책략을 사용했을 가능성과 함께, 고효율 시각탐색이 가능한 개인들은 배열 내의 개별 점들에 대해 초점 주의를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이용하는 책략을 사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개인들의 수량 민감도는 개인의 작업기억 용량 및 초점주의 이동의 효율성에 의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