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Landscape Model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1초

서부 영화에서 황야의 재현에 대한 미학적 해석 (Representation of Wilderness in Western Film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 이명준;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0
    • /
    • 2013
  • 이 연구는 서부 영화에서 황야를 재현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미학적 특성을 해석한다.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영화 장르로서, 시각 재현 매체가 자연 경관을 재현하는 방식의 원형을 보여준다. 서부 영화는 먼저 동부의 황야를 배경으로 제작되다가 이후에 서부의 황야를 포착하였고, 경관의 물리적 특징에 적합한 재현 방식을 통해 독특한 미적 특질을 조직하였다. 서부 영화에서 황야는 카메라에서 먼 거리에 위치하여 시각적 관조의 대상으로 재현되었다. 동부의 숲 경관의 재현은 허드슨 강 화파의 회화 양식의 영향을 받았고, 초월적 숭고의 미학을 구현하였다. 서부의 반건조지대의 재현에서는 높은 지대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하향적 시선이 등장하였고, 이때의 황야는 버크가 정의한 숭고의 특질을 보여준다. 서부의 사막은 한편으로 지면 높이에서 포착되어 지평선이 부재하고 무한함이 강조됨으로써 불모지로서의 황야를 표상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모뉴먼트 밸리는 장엄한 규모와 오랜 시간성의 측면에서 숭고함의 범주에 포섭되고, 광활한 사막에 지평선과 함께 시각적 상징물로서 재현되었다. 서부 영화의 황야 재현 방식에서는 안전한 거리를 두고 경관을 관찰하려는 인간의 생물학적 욕구인 조망과 은신의 관계가 발견되고, 이러한 점에서 서부 영화는 자연 경관의 구성 방식에 관한 원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지역의 생태적 특성을 반영한 대형공원의 식재계획 전략 - 광주광역시 중앙근린공원을 사례로 - (Planting Design Strategy for a Large-Scale Park Based on the Regional Ecological Characteristics - A Case of the Central Park in Gwangju, Korea -)

  • 김미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1-28
    • /
    • 2021
  • 대형공원은 그 크기와 복잡한 특성 때문에 기존 도시 내에 조성되는 기회가 흔하지 않다. 또한, 대규모 부지에서의 식재설계 방법에 관한 실천적 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중앙공원을 사례로 대형공원에서의 식재설계 접근방법과 생태적 이론이 실질적인 식재설계 방법으로 구체화 되는 과정을 설계가의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사한 규모의 공간 설계 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인 식재설계의 선행과정으로서, 거시적인 스케일에서 녹지의 연결, 식생의 변화, 경관의 흐름, 오픈스페이스의 분포 등 공원 전체의 녹지구조를 계획하고, 나아가 녹지구조를 구성하는 식생형과 식물군락의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물은 식재 설계 단계에서 공간의 기능과 성격, 식재 연출효과 등 설계자의 의도와 해석을 담아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의 의의는 대형공원의 복잡성과 규모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범주 내에서 설계를 진행함으로써 첫째, 기존 수림을 포함한 공원전체 경관의 시각적 일관성과 의도된 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과, 둘째, 대형공원이 지닌 변동가능성, 예측불가능성 등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녹지계획에 우선하여 대상지의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특히, 토지이용변화를 분석하여 잠재된 서식처로서 습지와 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녹지구조는 서식처 유형에 따른 식생형으로 구성되며, 녹지의 모양, 배치, 관계에 대한 계획과 함께 식생형을 구성하는 식물군락의 특징과 목록도 제시하였다. 각 식물군락은 지역의 자연식생을 참고하여 군락의 구조를 모델화하였다. 특히, 이 모델은 특정식물군락을 목표로 한 것이 아니라 기대하는 효과에 부합되는 군락을 개념화한 것이므로 식생형의 조건과 군락의 목표에 부합된다면 다른 식물군락도 이 모델에 적용하여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함을 갖는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공원의 식재설계임에도 불구하고, 야생동물 및 조류, 곤충 등을 위한 서식환경에 대해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둘째, 대상지내 기존 산림, 특히 조림 숲에 대한 관리 방안이 계획에서 배제되었으며, 셋째, 식물군락 모델계획은 기존의 식물사회학 연구를 참고하여 자연의 식물군락구조를 적용하였는데, 일부 식물군락의 경우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의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비오톱의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Evaluation Model for Biotope Appraisal as Related to Nature Experiences and Recreation)

  • 조현주;이현택;사공정희;나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1-24
    • /
    • 2010
  • 본 연구는 지구단위 차원에서 자연체험 및 휴양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평가지표를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체계적인 평가모형을 설정하는데 가장 큰 목적을 두었다. 우선 문헌분석 결과,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 들로는 층위구조, 포장율, 헤메로비(hemeroby) 등 총 10개의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한,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평가지표 항목 모두가 4.4 이상으로 높은 중요도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헤메로비 및 독특한 경관요소 항목은 5.8 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평가지표들을 특성별로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경관구조 및 자연체험 질', '일반적 이용성', '미 시각 질' 등 총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상과 같은 설문분석 결과를 토대로 각 요인별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미 시각 질' 요인이 3.510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에 반해 '경관구조 및 자연체험 질' 요인은 3.035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체계적인 가치평가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도출된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기 위해 실 사례지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우선 사례지의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비오톱 유형군은 유수지 비오톱 등 총 13개로 분류되었으며, 이에 귀속되는 비오톱 유형은 총 61개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기 설정된 평가모형을 적용한 비오톱 가치평가 결과, I 등급으로는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하천, 산림과 접해 있는 소규모 수림 등 총 16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반면 II 등급은 9개 유형, III 등급은 8개 유형, IV 등급은 8개 유형, 가치가 매우 낮은 V 등급은 19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경주시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관만족요인 분석 (Analysis on Landscape Satisfaction Factors for Bicycle Lane in Kyongju)

  • 김용수;김수봉;박수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11
    • /
    • 200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s of bicycle lanes in terms of landscape architecture with special reference to Kyongju. The research is mainly based on landscape satisfaction factors analysis regarding 16 variables and 10 slide photos of bicycles lanes. The 43 students of Landscape Department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Satisfaction degree of 16 variables are assessed in terms of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assess group is generally satisfied with variables concerning bicycle lane environment such as $\ulcorner$inclination of the lane (5.2)$\lrcorner$and $\ulcorner$road pavement conditions (5.1)$\lrcorner$. But the group expresses rather low satisfaction degree on the variables related lanes'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ulcorner$visual variety (3.9)$\lrcorner$, spacious resting place (3.7)$\lrcorner$ and $\ulcorner$variety of facilities (3.1)$\lrcorner$. 2. The level of satisfaction degree regarding 16 variables and 10 photos shows that the male gives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degree than the female group. But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 regarding satisfaction degree of each variable and photo except 4 variables and 2 photos. 3. The assess group gives the highest satisfaction degree on the$\ulcorner$no. 10 slide (6.5)$\lrcorner$ and the lowest on the $\ulcorner$no. 7 slide (2.7)$\lrcorner$. The two photo shows variables of more than 4 points difference of satisfaction degree, such as $\ulcorner$good looking planting threes (4.8)$\lrcorner$, $\ulcorner$enough shadows (4.8)$\lrcorner$ and $\ulcorner$comfortable atmosphere(4.1)$\lrcorner$. 4. $\ulcorner$Aesthetic and amenity factor$\lrcorner$, $\ulcorner$use condition factors$\lrcorner$, $\ulcorner$ike lane environment factors$\lrcorner$, and $\ulcorner$inclination and open view factors$\lrcorner$are the main four factors influencing landscape satisfaction of bicycle lane. Regression model using factor scores for landscape satisfaction degree of bike lane is S(Satisfaction degree)=4.526+1.099(aesthetic and amenity factor)+0.720(use condition factors)+0.486(bike lane environment factors)+0.048(inclination and open view factors($R^2$=0.811).

  • PDF

Transforming Text into Video: A Proposed Methodology for Video Production Using the VQGAN-CLIP Image Generative AI Model

  • SukChang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225-230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AI technology, there is a growing discussion about Text-to-Image Generative AI. We presented a Generative AI video production method and delineated a methodology for the production of personalized AI-generated videos with the objective of broadening the landscape of the video domain. And we meticulously examined the procedural steps involved in AI-driven video production and directly implemented a video creation approach utilizing the VQGAN-CLIP model. The outcomes produced by the VQGAN-CLIP model exhibited a relatively moderate resolution and frame rate, and predominantly manifested as abstract images. Such characteristics indicated potential applicability in OTT-based video content or the realm of visual arts. It is anticipated that AI-driven video production techniques will see heightened utilization in forthcoming endeavors.

도로경관의 자연환경성 모형 -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A Model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for Roadscape - 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

  • 홍영록;권상준;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05-512
    • /
    • 2004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review the information data for minimizing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and the visual damage of landscape from road construction by establishing a model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for national roads in the suburb areas to suggest an answer to a research question, ' hat does decide the environmental naturalness of roadscape?'. We found that 1) The road-side slop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escription of environmental naturalness of roadscape, but the fact that the road-side slope from road construction is the destruction of natural topography cannot be overlooked. 2)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value variations for independent variables, signboard and telegraph post, soundproofing and protection wall, structure, and building acted toward negative (-) direction, while mountains, sky, road trees, fields, and surrounding green including the road-side slope acted toward positive(+) direction. 3) The variable with highest relative contribution to dependent variable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is building, which has importance as many as 148 times of road-side slope, while the variable road-side slope has the least importance. Building has the importance of 7.22 times, mountains 5.51 times, road trees 2.59 times, surrounding green 2.54 times, structure 2.41 times, signboard and telegraph post 2.37 times, soundproofing and protection wall 2.20 times, and sky 1.32 times of the fields as a standard criterion values 1.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Landscap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Biotope Classification)

  • 박천진;나정화;조현주;김진효;권오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4-126
    • /
    • 2012
  • 본 연구는 대규모 택지개발 예정지로 계획되어 있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논공읍 일대 약 $10km^2$를 대상으로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미 시각 측면에서의 경관가치 평가 모형을 설정해 보고, 이를 실사례지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비오톱 유형분류 결과, 평가대상이 되는 23개의 비오톱 유형과 이에 귀속되는 140개의 세부 비오톱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평가지표 선정을 위한 설문조사는 1차, 2차, 3차 설문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먼저 1차 설문분석은 우선 문헌연구 및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선정된 22개의 평가지표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2차 설문분석은 요인분석을 실시, 내재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지표들을 재분류하였다. 3차 설문분석은 선정된 평가지표 항목의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로서, 평가지표 항목의 중요도 평균을 기준으로 합이 10이 되도록 표준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차 평가 시 각 지표항목의 점수에 가중치를 곱하여 최종 평가에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전문가 설문분석 결과, 최종 선정된 평가지표는 활력충전요소, 시각적 방해요소 등 총 1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다. 1차 평가 결과, 특별히 가치 있는 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하천유형(D), 습지 및 늪지 유형(I) 등 총 7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II등급으로는 식생이 풍부한 인공형 하천유형(E), 침엽수림 중심의 산림유형(Q) 등 총 4개 유형, III등급은 식생이 풍부한 자연형 실개천 및 도랑유형(F) 등 총 5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IV등급, V등급은 각각 식생이 빈약한 실개천 및 도랑유형(G) 등 총 2개 유형과 녹지가 빈약한 복합형 주거지역(B) 등 총 5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2차 평가 결과, 경관 가치가 특별히 높은 비오톱 유형(1a, 1b)은 15개 공간으로 조사되었으며, 경관의 가치가 높은 유형(2a, 2b, 2c)은 총 28개 공간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경관평가 모형이 타 유사지역에서도 높은 적용성을 가지기에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하나의 연구대상지만으로는 부족함이 있었던 바, 차후에는 다양한 사례지를 종합하고 표준화하여 객관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주거지역 가로환경 및 일상 걷기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대상으로 -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Daily Walking Hours and Days on the Mental Health of Urban Residents - The Case in Seoul -)

  • 구본유;백승주;윤희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87-100
    • /
    • 2024
  • 본 연구는 도시민의 가로환경 이용을 매개로 하여 주거지역 가로환경 질이 도시민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통해 보행 활동과 가로환경이 도시민의 우울 증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범위는 2017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로 한정하였으며, 우울 유병 증세를 종속 변수, 가로환경 변수 및 보행 변수, 개인 특성을 독립 변수로 이용하였다. 나아가, 가로 녹지와 보행 빈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 녹지에서 걷는 행위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상승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로 녹지 면적 비율이 높을수록 우울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 빈도가 높을수록 우울 증세가 나타나지 않거나, 우울 증세가 존재할 경우에도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로 녹지에서의 보행 빈도가 늘어날수록 우울 증세가 약하게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각적 복잡성은 낮을수록 우울 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도시민의 정신 건강 문제를 지역사회차원에서 다루는 데에 기여하며, 가로 녹지와 보행 빈도의 시너지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주거지역 가로 녹지 환경이 도시민 정신 건강 증진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원삼면 전원주택단지 기본계획 (The Plan of Rural Housing Development in Wonsam-myun)

  • 김성희;김신원
    • 농촌계획
    • /
    • 제8권3호
    • /
    • pp.49-5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new orientation for the residential culture that can meet the shifting demands of modern people as their attitudes toward life change. One of the rural regions that has lately attracted considerable attention, Wonsam-myun, Yongin city, is selected as the residence zone to develop a housing complex. In this study, a new housing complex is designed to supplement the defects of existing housing complexes by making the utmost use of the merits that Wonsam-myun as a residential environment can off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o present a new Korean model, yellow soil houses and traditional trees were used to utilize Korea's traditional landscape beauty in the construction and landscape aspect, instead of imitating indiscreetly foreign styles in which most newly developed housing complexes were built. 2. To provide convenience to prospective residents, a package sales scheme covering from lot purchase to building permit was adopted. 3. As for the planting plan, existing plants was preserved as much as possible to keep harmony with new plants. In selecting plant types, a traditional method that emphasizes on the visual effects of aesthetic plants and shade trees with the change of seasons and plants various kinds of plants according to directions was adopted. 4. Each household was given the opportunity to design its own garden according to the family's preference and taste. 5. The advantages of a rural area that city does not offer were fully utilized to provide the residents with convenience and pleasure of living.

농촌체험농장 개발모형 연구 - 수청마을농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f basic developmental model for experiential farm - Case study on the farm of Sucheong Village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

  • 박주성;권영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1권1호
    • /
    • pp.21-33
    • /
    • 2009
  • The agricultural tourism is something that urban people can have an experien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knowledge of the agriculture, so that it result the improvement of the agricultural profit and keep the special agricultural system. Recently, the demand of the agricultural tourism was increasing, but it was not really enough today that the practice of the tourism for essential farm experience or physical plan. The experiments were practiced by a land in Sucheong-li, Namjong-myun, Gwangju-si, Gyeonggi-do which provides the program for the basic plan and management of the experiential farm, so it shows a developmental model of that typical farm. The basic design of developmental model was formed by the analysis of the natural, civilized and visual environments. The site plan for the experiential farm was composed of a parking lot, public facilities, resting place, experiential site, sports facilities and pedestrian space. There was an examination that the activation of experiential farm should change the concept of the big production or labor-focused farm from a tourism-focused fo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