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cera and Bowels(藏府)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7초

장부(臟腑)와 삼음삼양(三陰三陽)으로 살펴본 소갈(消渴) 병기(病機) 연구 (Study on the Mechanism of Wasting-thirst in Viewpoint of 'Viscera and Bowels' and 'Three Yin and Three Yang')

  • 김경신;김병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65-272
    • /
    • 2012
  • The applicability of Diabetes Mellitus(DM) in Oriental Medicine might be placed under the category in Wasting-thirst(消渴, WT). However, because of WT having so various concepts, classification, and names in Oriental Medicine, this resulted in confusion in applying WT treatment to DM. WT occurs mainly due to dryness-heat(燥熱) which by depleting 'Fluid and Humor'(津液) makes symptoms of thirst(口渴) swift digestion with rapid hungering(消穀善饑) frequent urination(小便頻數) according to the "Internal Classic"(內經). WT was also called Sodan(消癉), Bidan(脾癉), or Sojoong(消中) in the "Internal Classic", which was caused by not only the disorder of 'five viscera' (五臟), but also the failure of 'three yin and three yang'(三陰三陽). However, the doctors of those days had a tendency to manage WT (including DM) with herbal drugs of dryness-heat or with drugs that recover the pancreas and the kidney, that have a tendency to appreciate that WT is the disease of 'five viscera'(五臟). Accoding to the "Internal Classic"(內經) and "Jinguiyaolue"(金匱要略), WT was appreciated that WT is also due to the disorder of Meridian including 'three yin and three yang'(三陰三陽) theory. Disorder of 'yang brightness'(陽明) or 'reverting yin'(厥陰) would cause Wasting-thirst(消渴), so the 'three yin and three yang'(三陰三陽) theory should be considered in WT treatments. Furthermore, 'yang brightness'(陽明) and 'reverting yin'(厥陰) all belong to 'the door'(闔) in the bolt-door-pivot(關闔樞) theory, and the mean of 'the door'(闔) is the function of storage, so we could understood WT is the wasting disease due to the disorder of 'the door'(闔) system in Meridian. WT should also be understood by the point of the bolt-door-pivot(關闔樞) theory in addition to the 'three yin and three yang'(三陰三陽) theory.

사상체질인(四象體質人)의 병증(病證) 치료를 위한 한방음악치료(韓方音樂治療)에 관한 연구;장부대소(臟腑大小)와 호흡출납(呼吸出納)을 중심으로 (Oriental Medicine Music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asangin's disdases)

  • 이승현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9-126
    • /
    • 2007
  • The biological and pathological states of lung, spleen, liver and kidneys are determined by nature and emotion of sorrow, anger, joy and pleasure, It is considered that the music, besides medicine or acupuncture, can be a way of treating as a therapeutics for the treatment of Sasangin's diseases.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of music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Sasangin's diseases. The ways of music therapy in each constitution based on 'the great and small of Viscera and Bowels' and 'the exhale and inhale, the drawing in and sending out' are as follows: 1. In case of Soeumin, a skip going up melodic progression, dotted rhythm and the major triad harmonic progression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i of warm Yang. 2. In case of Soyangin, in regular sequence down melodic progression, a sixteenth note and the minor triad harmonic progression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i of cool Yin. 3. In case of Taeumin, in regular sequence going up melodic progression, a sixteenth note and the bright and active the major triad harmonic progression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i of dispersing exhale. 4. In case of Taeyangin, a skip down melodic progression, a quarter note and a diminished triad harmonic progression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Qi of gathering inhale.

  • PDF

멜라닌 및 색소 이상 질환과 장부(臟腑)와의 연관성 고찰 (A Study on Correlation of Melanin & Pigmentation Disorder and Viscera and Bowels(臟腑))

  • 정유진;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41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melanin with both Korean and Western medicine.Methods : We investigated the comprehension of melanin in both western and Korean medicin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tudied relationships between melanin and five viscera(五臟), especially liver(肝), spleen(脾), kidney(腎). We Also studied representative pigmentary disorders(melasma, vitiligo) i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to figure out how to understand pigmentary disorders in oriental medicine.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elanin is associate with liver, because free coursing(疎泄) function of liver is the origin of transport melanin to keratinocyte from melanocyte. Also, melanogenesis factors like MITF and CREB are closely associated with liver and pigmentary disorders occur frequently after stress conditions or women. 2. Melanin is absorbed and scattered in keratinocytes by the function of spleen. Pigmentary disorders result from failure of spleen and formation of phlegm-retained fluid(痰飮). 3. Kidney essence(腎精) is the origin of melanin formation. In addition, corticosteroid, the major hormone of melanogenesis is secreted by adrenalin and adrenalin belongs to kidney(腎) in Korean medicine. 4. Melasma is created by disorder of melanin transport and absorbtion, so melasma is associated liver (肝) and spleen(脾). Therefore the treatment for melasma may focus on improvement function of liver and spleen. 5. The destruction of melanocyte or abnormal melanogenesis by disorder of the immune system, metabolic and affective disorders can make vitiligo, so vitiligo is associated with liver and kidney which are major part of melanin formation. Therefore the treatment of vitiligo can focus on improvement function of liver(肝) and kidney(腎).Conclusion : We compared Korean and western medicine to understand melanin. We also interpreted the mechanism of melanin and pigmantary disorders in western medicine and considered the relationship with visceral manifestation theory(臟象論)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pply comprehension of melanin to clinical stage.

12 경락의 속성과 기능에 대한 연구: 경락과 장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the Twelve Main Meridian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al Organs and the Meridians)

  • 최우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1권4호
    • /
    • pp.208-217
    • /
    • 2014
  • Objectives and Methods :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and functions of twelve meridians. It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eridian names, and to study the properties of the six qi and the method of movement of the meridians by analyzing the six qi of the three yin and three yang from a meteorological perspective. The functions of twelve meridia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organs and the meridians are then examined. Results and Conclusions : (1) The three yin and three yang includes the properties of six qi at the meridians. (2) The fundamental qi at reverting yin meridian lesser yin meridian and greater yin meridian has the properties of wind, heat and dampness, respectively, which are yang qi, while the fundamental qi at lesser yang meridian, yang brightness meridian and greater yang meridian has the properties of ministerial fire, dryness and cold, respectively, which are yin qi. (3) In the circulation of meridian qi, yang qi ascends at yin meridians while yin qi descends at yang meridians. (4) Three yin meridians belonging to the viscera help the function of intestines, which saves essence qi and then makes it go upward, while three yang meridians belonging to the bowels help the function of converting foodstuff and making it go downward. (5) In the human body, the internal organs play the primary role, and the meridians serve as helpers of the functioning of the internal organs by controlling the six qi.

조선 의가 이규준의 『황제내경』 의학 계승 - 『의감중마』 「계경장부편」을 중심으로 - (Lee Gyoojoon, a Korean Medical Scientist's Succession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Medicine)

  • 오재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95
    • /
    • 2015
  • Objectives : I'd like to introduce a Korean medical scientist, Lee Gyoojoon (李圭晙, 1855-1923)'s achievements about Huangdi's Internal Classic (黃帝內經, HIC) to examine the Section of Viscera and Bowels to inspect the Medical Classics (稽經藏府篇, SVBIM) of the Double grinded Medical Mirror (醫鑑重磨, DMM), which is a medical book published in 1922, his last studies. And I'd like to describe its meaning of medical history. Methods : For this, I compared the DMM with two primary texts, the representative medical books of Joseon dynasty,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東醫寶鑑, TMEM) and Lee's former research result of HIC, Major Essentials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Plain Question (黃帝內經素問大要, MEHIC), in the aspects of the original text, annotation, editing, attached theses, and so on. Results : Lee Gyoojoon criticized the TMEM in two aspects. First, it was unfocused and miscellaneous, second, it intended to help Yin Qi (陰氣) and reduce Yang Qi (陽氣) so that it regards a prime mover, Yang Qi, as an enem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he deleted miscellaneous articles and sort out the points to accord with the HIC. As a result, he had written the Section of SVBIM of the DMM in the form of revising the subtitles or refuting the contents of TMEM and quoted the partial texts of MEHIC to be written by the view of Supporting Yang Qi (扶陽). Conclusions : Lee Gyoojoon proposed the Supporting Yang Qi medicine to preserve the Heart fire (心火) based on his lifelong Neo-Confucianism (性理學) study. The Section of SVBIM of the DMM showed how to apply his medical theory, which is achieved by the study of the medical classic HIC to real clinical medicine through a medium of the TMEM. In addition, it could explain concretely how the Confucianists studied the medicine and how Confucianism can impact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heory.

심병변증(心病辨證)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Bibliographical study on formation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syndrome of heart-disease)

  • 김용주;최달영;김준기;박원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67-89
    • /
    • 1997
  • 오장육부중(五臟六腑中)에서 심(心)은 인체(人體) 생리활동(生理活動)의 주재(主宰)으로서 장부(臟腑) 가운데에서도 수위(首位)를 차지하여 인체(人體)의 사추활동(思推活動)이나 장부기능(臟腑機能)의 협조(協調) 및 기혈(氣血)의 통창(通暢)등도 모두 심(心)의 기능(機能)에 의존(依存)하는 바이므로 심(心)을 생명활동(生命活動)의 중심(中心)이라고 한다. 본(本) 논문(論文)은 변증체계(辨證體系)의 형성과정(形成過程)을 심병변증(心病辨證)에 한(限)하여 문헌적(文獻的)으로 고찰(考察)한 것으로써, 첫째 심병(心病)의 허증분류(虛症分類)에 있어 심허증(心虛症)이라고 포괄적(包括的)으로 언급(言及)되어지던 것이 심음허증(心陰虛症)과 심양허증(心陽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으며, 다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으로 분류(分類)되었다가, 최근(最近)에 변증분류(辨證分類)에서는 이를 더욱 세분화(細分化)시켜 심기허증(心氣虛症) 심양허증(心陽虛症) 심혈허증(心血虛症) 심음허증(心陰虛症) 심기음양허증(心氣陰兩虛症) 심기혈양허증(心氣血兩虛症) 심음양양허증(心陰陽兩虛症) 심양포탈증(心陽暴脫證)으로 분류(分類) 발전(發展)시키고 있다. 둘째 심병(心病)의 실증분류(實證分類)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담(痰)과 화(火) 열(熱)의 문제(問題)였으며 이것들을 가지고 다양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는데, 초기(初期)에는 담증(痰證)과 열증(熱證)을 단지 분리(分離)하여 변증(辨證)하였던 것을, 최근(最近)에는 담증(痰證)과 화증(火證)뿐만 아니라 담화(痰火)를 같이 묶어 변증(辨證) 하였으며, 심기허심양허(心氣虛心陽虛)에서 기인(起因)된 심어증(心瘀證)을 점차 중요(重要)하게 여기는 방향(方向)으로 변증분류(辨證分類)를 하였다. 이러한 변증분류(辨證分類)의 다양화(多樣化) 세분화(細分化)는 점점(漸漸) 다양(多樣)해지는 질병양상(疾病樣相)에 보다 잘 대처하려는 연구결과(硏究結果)로 보여지며 이후로도 보다 실증적(實證的)인 연구(硏究)가 더욱 더 요망(要望)된다.

  • PDF

소음인(小陰人)의 장부경락론적(臟腑經絡論的) 고찰(考察) (Overview of four subgroups in Soeum(Lessor Yin) Constitution, Which are classified based on 'Chang(=Viscera) and Fu(=Bowels) meridian theory')

  • 염태환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23
    • /
    • 2000
  • 이제마선생에 의해 제창된 사상체질론은 지난 백년간 후세 사상연구가들에 의하여 발전되어 왔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권도원 선생에 의해 제창된 체질침(體質針)의 출현이었던 것이다. 체질침범에서는 종래의 방법과는 다른 새로운 맥법(脈法)과 맥도(脈圖) 그리고 체질에 따른 체질침방(體質針方)이 운용되고 있다. 이 체질침방의 경우 실제로는 장부경락(臟腑經絡)의 오행혈을 운용한 사암(舍岩)선생의 오행침을 체질침화(體質針化)한 것이다. 이제마 선생의 체질이론과 사암선생의 오행침이 결합된 것은 실로 역사적인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권도원 선생은 여덟 개의 맥도와 함께 8체질론을 내세웠으며 스물네개의 사암선생 침방 중 여덟 개를 체질침화하여 이 여덟 체질의 기본 치료처방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저자인 염태환은 지남 1986년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동양의학 학술대회에서 이미 24체질론과 24체질 맥도를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은 우선 체질의학의 발달에 대한 역사를 간단히 정리하였다. 4체질론에서 시작하여 24체질론까지의 발전되어 온 단계 단계가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이 설명 속에서 십이경락이 어떻게 사상의학과 이론적으로 결부되는가를 이해하게 되면, 24체질론의 출현이 쉽게 받아들여질 것이다. 본 논문은 이 24체질 중 특히 소음인에 속하는 네 체질에 대하여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네 개의 체질에 대한 체질맥진법, 맥도, 침법 그리고 한약처방 등이 이 논문에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논문의 뒷부분에는 이 네 체질에 대한 저자들의 임상 실례들이 실려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새로운 학설을 임상실례와 더불어 소개함으로써, 더욱 많은 한의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체질침을 임상에 응용하게 하며 또한 앞으로 치료효과를 객관적으로 밝히기 위한 이중맹검시험(Double blind controlled study) 등이 시행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사상의학(四象醫學) 장부론(臟腑論)의 현대적 접근과 퇴행성질환의 조건 (Modern approach of the discourse on viscera and bowels and retrogressive disorder)

  • 조황성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4-100
    • /
    • 2000
  • 1. 연구목적 "동의수세보원"의 장부론은 사상의학의 생리론에 해당된다. 이에 대한 현대적 접근은 철학적-관념적 언어로 구성된 사상의학의 표현을 오늘의 시각에서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하여야 하는가 하는 문제와, 더 나아가 생화학적-유전적 측면에서 체질의 객관화 지표선정을 위하여 매우 필요한 일이다. 2. 연구방법 사상의학 장부론에 나오는 용어 및 이론을 현대생리의 입장에서 어떻게 접근될 수 있는 가를 뇌의 기능, 신경계, 내분비계 등의 이론과 연계하여 전개하였다. 3. 연구결과 및 결론 1) 장부론의 현대적 접근<표2> 1. 사부지력(四腑之力)은 구강, 위, 십이지장, 노장, 대장의 소화액, 소화효소 등을 포함한 기능으로 사려된다. 2. 진고유액(津膏油液)의 유추<표3>-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무기질 비타민 수분대사를 상징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3. 진고유액지해(津膏油液之海)의 유추<표3>-흡수된 영양분(진고유액(津膏油液))이 호르몬(막혈정(膜血精))으로 이용되는 전(前)단계의 물질집단이며 뇌기능에서 사용될 전구물질이라 할 수 있다. 4. 폐비간신지용(肺脾肝腎之用)의 유추<표4><표5>-자율신경계의 조절기능과 같다. 폐비간신지력(肺脾肝腎之力)인 애노희락지기(哀怒喜樂之氣)(정기(情氣))의 흥분과 이완이란 곧 교감-부교감신경계의 작용과 유사하다. 5. 막혈정지해(膜血精之海)의 청즙(淸汁)의 유추<표7>-진고유액(津膏油液)의 대사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으로 이는 각각 포도당 단백질 지방 및 기타 무기염류 등의 대사 조절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추정된다. 6. 청시후미지력(聽視嗅味之力)의 유추<표6><표7>-뇌의 지적(知的)반경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된다. 7. 신기혈정(神氣血精)의 기능 유추<표7>-진고유액지해(津膏油液之海)의 청기(淸氣)가 뇌의 기능에 의한 전신발현을 의미한다. 8. 니막혈정의 기능 유추<표7>-인체기능 조절자로서의 기능과 피근육골(皮筋肉骨) 생산자로서의 기능은 호르몬의 역할과 유사하다. 9. 두수요족지력(頭手腰足之力)의 유추<표8>-신체의 감각과 운동기능을 주관하는 동시에 니막혈정지해의 탁재를 원료로 피근육골(皮筋肉骨)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10. 진고유액지해(津膏油液之海)의 탁재(濁滓)와 막혈정지해(膜血精之海)의 탁재(濁滓)의 유추<표9> (1) 진고유액지해(津膏油液之海)의 탁재(濁滓)는 오로지 사부(四腑)를 활성화하는 물질이다(아밀라제와 뮤신 등...) (2) 니막혈정지해의 탁재(濁滓)는 콜라겐(대표적 구조단백질)처럼 반감기가 길어 장기간 몸속에 존재하여 구조(構造)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탁재(濁滓)라 하였다. 11. 이목비구지력(耳目鼻口之力)과 폐비간신지력(肺脾肝腎之力)의 상호관계<표13 참조>-neuroendoctrine system이란 의미와 같으며 이들의 상호관계 역시 생리적 통합(Psysiological intergration)을 통하여 성장, 성숙 및 생식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다. 12. 피근육골(皮筋肉骨)의 현대적 해석 유추 - 피근육골(皮筋肉骨)은 조직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표10>. 13. 이상과 같이 체질의 특성이란 영양대사-뇌의 기능-인체조직의 형성-장부생리기능의 차별성으로 나타나므로 체질객관화에 대한 지표를 예측 가능하다. 2) 퇴행성질환의 조건 l. 퇴행성질환의 생리원인(生理原因) 및 치법(治法) (1) 직접적으로는 이목비구지용(耳目鼻口之用)(대뇌의 전달물질)에 의함 (2) 간접적으로는 자율신경계(肺脾肝腎之用)의 영향 (3) 두수요족지력(頭手腰足之力)(감각-운동계)의 영향 ${\Rightarrow}$ 두수요족지력(頭手腰足之力)의 단련(鍛鍊).

  • PDF

난경(難經) 1-23난중(難中) 맥학조(脈學條)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ulse taking diagnostics of Nan Jing 1-23 Nan)

  • 김법진;박원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31-154
    • /
    • 2000
  • <난경(難經)>은 <내경(內經)>의 사상(思想)을 보다 자세(仔細)하고 심도(深度)있게 문답(問答)을 가설(假說)하여 의난(疑難)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편찬된 서적(書籍)으로써, 논술(論述)은 기초이론(基礎理論)을 위주로 하고, 또 일부 병설(病說)도 분석(分析)하였는데 그 내용이 간요(簡要)하며, 변석(辨析)이 매우 정미(精微)하게 되어있다. 그 중 1-23난(難)은 맥(脈)을 논(論)하고, 23-29난(難)은 경락(經絡)을 논(論)하고, 30-47난(難)은 장부(臟腑)를 논(論)하고, 48-61난(難)은 병(病)을 논(論)하고, 62-68난(難)은 혈도(穴道)를 논(論)하고, 69-81난(難)은 침법(鍼法)을 논(論)하였다. 특히 <난경(難經)>에는 진법(診法)으로써 오늘날까지 한의학의 맥진방법(脈診方法)으로써, 가장 많이 응용되고 있는 '독취촌구법(獨取寸口法)'을 명확하게 밝히고 있다. 이에 본(本) 저자(著者)는 <난경(難經)>의 맥론(脈論)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난경지연구(難經之硏究)>를 중심으로 1-23난(難)에 나오는 맥론(脈論)들을 정리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팔십일(八十一) 난경중(難經中) 일난(一難)부터 삼십삼난(三十三難)까지의 맥학(脈學)에 관(關)한 조문중(條文中)에는, 백맥(百脈)이 조회(朝會)하고 그 시작(始作)과 끝이 되는 촌구(寸口)를 중심개념(中心槪念)으로 하고 정상적(正常的)인 생리적(生理的) 맥(脈)과 병적(病的)인 맥(脈)이 대비(對比)되면서 제시(提示)되어있다. 1. 십난(十難)에서 오사(五邪)와 강유(剛柔)의 이론(理論)과 각(各) 장부(臟腑)의 고유(固有)한 맥상(脈狀)이 등장(登場)하고 있다. 2. 십삼난(十三難)에서는 색(色)과 맥(脈), 형육(形肉)의 세가지 요소(要素)가 상응(相應) 또는 상승(相勝)하는가에 따라서 병(病)의 난(難) 역치(易治)를 결정(決定)한다고 하였다. 3. 십사난(十四難)에서는 맥(脈)을 손(損)(지맥(遲脈))과 지(至)(수맥(數脈))으로 구분하는데, 맥(脈)의 손(損)에 따른 이경(離經), 탈정(奪精), 사(死), 절명(絶命)의 구분(區分)과, 맥(脈)의 지(至)에 따른 이경(離經), 탈정(奪精), 사(死), 절명(絶命)을 구분(區分)을 설명(說明)하였다. 4. 십오난(十五難)에서는 현(弦), 구(鉤), 모(毛), 석맥(石脈)으로 사시(四時)에 따라서 맥(脈)이 다르다는 것을 말하였다. 이와같이 난경(難經)에서는 "독취촌구(獨取寸口)"의 맥법(脈法)을 명화(明確)하게 확립(確立)하였으며, <내경(內經)>의 이론(理論)을 더욱 다져서 진일보(進一步)시키면서도 <내경(內經)>과는 다른 독창적(獨創的) 이론(理論)을 제시(提示)한 것이 <난경(難經)>의 가치(價値)를 더하게 하였다.

  • PDF

이제마(李濟馬) 형상관(形象觀)의 구조적(構造的) 고찰(考察)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the Lee Je-ma's viewpoint of Morpho-Image)

  • 이전희;고병희;송일병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61
    • /
    • 1999
  • 연구목적(硏究目的) : 고대철학가(古代哲學家)들은 우주(宇宙)의 본원(本元)을 연구하는 동시에 인류생명의 기원과 본질을 탐구하였는데 기존의 정기학설(精氣學說), 음양학설(陰陽學說), 오행학설(五行學說) 등등은 이러한 시도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형상관(形象觀)을 사물(事物)을 바로보는 기본적인 인식체계(認識體系), 인식론(認識論), 자연현상(自然現象) 인체현상(人體現象)을 설명하는 이론적(理論的)인 도구 등으로 정의(定意)하고 동무(東武)의 형상관(形象觀)을 고찰하여 보았다. 연구방법(硏究方法) : 동무(東武)는 자신의 형상관(形象觀)을 자신의 저서(著書)인 "격치고(格致藁)",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등에서 서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동무(東武)의 저서(著書)를 바탕으로 그가 어떤 방법론으로 형상(形象)을 서술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인체(人體)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論)하였다. 결론(結論) :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격치고(格致藁) 태극잠(太極잠)", "격치고(格致藁) 유략(儒略) 사상(事物), "동의수세보원사상초본권(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에 나타나고 있는 인식의 구조는 태극(太極), 양의(兩儀), 사상(四象)을 그 기본으로 하고 있는데 태극지심(太極之心)이 있고, 거기서 이분법적(二分法的)으로 분파된 양의지심(兩儀之心)이 있고, 거기서 분파(分派)된 사상지심(四象之心)이 있다. 태극지심(太極之心)은 중앙지심(中央之心)이고, 양의지심(兩歲之心)은 신심(心身) 또는 지행(知行)으로 표현이 되는데, 심적(心的) 지적(知的) 요소의 축과 신적(身的) 행적(行的) 요소의 축이 교차하여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四象)을 형성한다. 사상(四象)으로부터는 기존의 주역(周易)에서와 같은 이분법적(二分法的)인 분파(分派)에 의해 입괘(八卦)가 형성이 되는 것이 아니라며 사분법적(四分法的)인 분파(分派)에 의해 사사단(四四端)을 형성한다. 이상이 동무의 기본인식체계의 구조라 할 수 있다. 2. 동무(東武)는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사상적(四象的) 시각에서 그 기본을 삼고, 이를 다시 심신양의적(心身兩儀的) 시각에서 요약하여 정리하고 이를 태극적(太極的)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요약하여 보는 인식의 요약과정을 갖는다. 3. 이상의 인식과정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성명론(性命論) 사단론(四端論) 확충론(擴充論)에도 마찬가지로 정리되어 나타나니, 천품지이정(天稟之已定)의 요소이며, 인(人)의 요소인 사물(事物)의 상하(上下)의 축과 천품지이정지외(天稟之已定之外)의 요소이며 아(我)의 차원인 심신(心身)(지행(知行))의 축을 그 기본구도로 전개하며, 그 양축을 바탕으로 사심신물(事心身物)(천인지행(天人知行))의 사원적(四元的)구도와 그 상호관계를 논(論)하고 있다. 4. 동무(東武)의 태극(太極), 양의(兩儀), 사상(四象) 다시 말해서 심(心), 심신(心身), 사심신물(事心身物)의 인식구조는 인체에서의 용어로 바뀌어져 병증론(病證論)으로의 가교 역할을 하는 장부론(臟腑論)에 표현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