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검색결과 609건 처리시간 0.028초

스프레이 모델링: 증강현실 기반의 실체적인 3차원 모델링 인터페이스 제안 (Spray Modeling: An Augmented Reality Based Tangible 3D Modeling Interface)

  • 정희경;남택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19-1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조형작업의 프로세스 및 도구에 대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직관적이며 사용자 인지모델에 친숙한 3차원 모델링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전문적인 디자인 모형제작, 찰흙 조소, 나무 조각, 유리 공예 돈의 모델링 현장을 방문하여 조형작업의 과정, 도구, 작업행태 등을 관찰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스프레이 메타포(Spray Metaphor)에 기반 한 스프레이 모델링(Spray Modeling)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이는 스프레이 건(Spay Gun)의 입자 분사 방식과 찰흙 조소의 모형제작 프로세스를 결합한 가상 혹은 증강현실 공간상의 3차원 모델링 인터페이스 방식이다. 찰흙 조소에서 덩어리를 덧붙여 가듯이 가상치 단위입자를 대략적인 프레임 위에 분사하면서 형태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실제 공기분사 반작용을 느낄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실체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토타입 개발과 사용자 평가를 통해 스프레이 모델링이 새로운 형식의 형태 발상과 표현을 지원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조작 인터페이스, 보조적인 도구의 사용 등의 개선 사항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가상 및 증강 현실에서의 디자이너들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디자인 혹은 예술분야의 3차원 모델링 뿐만 아니라, 컴퓨터 작업공간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응용, 게임, 교육, 미디어 아트 등에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The Global Publication Output in Augmented Reality Research: A Scientometric Assessment for 1992-2019

  • Gupta, B.M.;Dhawan, S.M.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51-69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global research in the field of augmented reality (22078) as indexed in Scopus database during 1992-2019, using a series of bibliometric indicators. The augmented reality (AR) research registered high 54.23% growth, averaged citation impact of 8.90 citations per paper. Nearly 1% of global output in the subject (226 papers) registered high-end citations (100+) per paper. The top 15 countries accounted for 87.05% of global publications output in the subject. The USA is in leadership position for its highest publications productivity (19.25% global share). The U.K. leads the world on relative citation index (2.05). International collaboration has been a major driver of AR research pursuits; between 11.89% and 44.04% of national share of top 15 countries in AR research appeared as international collaborative publications. AR research productivity by application types was the largest across sectors, such as education, industry and medical. Computer science has emerged as the most popular areas in AR research pursuits.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Germany and Osaka University, Japan have been the most productive organizations and Nara Institute of S&T, Japan (66.55 and 7.48) and Imperial College, London, U.K. (57.14 and 6.42) have been the most impactful organizations. M. Billinghurst and N. Navab have been the most productive authors and S. Feiner and B. MacIntyre have been the most impactful author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 Computer Graphics, Multimedia Tools & Applications and Virtual Reality topped the list of most productive journals.

웨딩드레스 버추얼 피팅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활용 연구 (Study about Utilizing the Wedding Dress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

  • 오지혜;이인성
    • 복식
    • /
    • 제62권6호
    • /
    • pp.139-153
    • /
    • 2012
  • To prolong the rapid progress of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rough IT convergence among the existing goods & service and process areas to create new added-values. In particular, the wedding dress industry has infinite potential in utilizing various contents like virtual fitting by connecting with newly compelling IT areas such as smart phones, Augmented Reality (AR), and application contents. In the meantime, a large scale of the wedding industry has gained global competitiveness due to consulting expertise and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whereas most small-sized wedding dress shops in Korea fall short of developing wedding dress designs and receiving relevant inform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brides who have difficulties in choosing a wedding dress by decreasing their time and effort by providing wedding dress designs and information, according their desired image, body type, and circumstances through the utilization of virtual fitting application contents. Not only that, this study aims to diversify and specialize in wedding information and to help users to set a guideline for wedding dresse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m. Moreover, this study has an academic meaning in proposing an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model through the study of wedding dress design development, AR, and application contents utilization.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덕수궁 관광안내서비스 구축방안 연구 (Study on Establishment of Deoksugung Palac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using Augmented Reality(AR) Technology)

  • 오성환;김기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26-45
    • /
    • 2013
  • 최근 스마트폰 보급이 3천만 대를 넘어서고,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분야에서 증강현실 기술과의 접목이 시도되고 있다. 문화유산 분야도 그 중에 한 분야이며, 그동안 인터넷이나 3D 기술 등을 이용하여 구축되던 문화유산도 이용자가 보다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술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국내외 관광객들로 늘 붐비는 서울의 궁궐들은 턱없이 부족한 문화유산 해설사나 리플릿 등 단조로운 안내서비스로 일관하고 있어, 모바일 시대에 좀 더 입체적이고 종합적인 안내서비스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덕수궁 관광안내서비스 앱(App)구축에 적용하였으며, 지금까지 위치기반 증강현실 기술보다 앞서는, 비 마커(Markerless)기반 증강현실 인식기술을 실제로 덕수궁의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하여 구현하였다. 현실 세계에 있는 궁궐 현판이나, 문양, 입체물인 임금님의 좌대 등 특정 이미지를 인식하여 가상의 세계로 전환(트래킹, Tracking)하여 훼손된 문화재를 3D로 재현하고, 과거의 사진과 현재 건물을 합성하여, 그 당시의 시대적인 모습을 엿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현실감과 몰입감을 높이고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문화재 관람이나 역사를 쉽게 이해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스토리텔링 기반의 문화유산 구현을 통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라는 IT 신기술과 인문학과의 융합(Convergence)을 시도하여, 증강현실 기술이 실제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무한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가상 전술 지도 : 증강현실에 기반한 군사 훈련 브리핑 도구 (Virtual Tactical Map : Military Briefing Tools for Virtual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 정경부;이상원;최병욱;정승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4C호
    • /
    • pp.341-350
    • /
    • 2006
  • 사판 훈련이란 모래와 석회로 만든 훈련장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실제 군사 작전에 대한 모의 훈련으로서 시간적, 공간적, 경제적인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방식이다. 전통적인 사판 훈련은 모래와 석회로 만들어진 훈련장의 특성상 정확한 지형의 표현 및 보존이 어렵고 사실성이 떨어지며, 사판 내부에 많은 정보를 포함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의 관점에서 접근하며, 사실적으로 묘사된 가상의 사판 환경을 바탕으로 하는 효율적인 군사 훈련 브리핑 도구를 제안한다. 가상 전술지도를 통해서 학습자는 마커와 텐저블 인터페이스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가상의 군사 훈련을 실감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판 내부에 포함된 실시간 상황 정보를 통해 보다 폭넓은 시각에서 전체적인 작전 상황에 대한 유기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텐저블 인터페이스는 현실세계에 있는 사용자와 가상의 물체를 현실세계에 증강 시켜주는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이고 다루기 쉬운 콘텐츠 저작 환경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효과적인 군사 훈련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군사 훈련 브리핑 도구를 제안함으로써 군사 학습에 대한 효과를 증대시키고, 군사 훈련 내용을 추후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로 제작이 가능함을 보였다. 이는 증강현실의 새로운 응용 가능성에 대한 제시라고 말할 수 있다.

모바일 증강현실 기반의 마커리스 추적 알고리즘 성능 연구 (The Study on Marker-less Tracking Algorithm Performance based on Mobile Augmented Reality)

  • 윤지연;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032-1037
    • /
    • 2012
  • 증강현실이란 실제 환경에 가상으로 생성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증강하고 사용자가 그 정보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차세대 정보처리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물체 추적 방안으로 마커를 사용하지 않는 마커리스 추적 알고리즘을 연구하였다. 마커리스 방식의 증강현실은 마커를 따로 부착하지 않아도 되고 위치의 제약이 없어서 사용자가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커리스 추적을 위해 특징점 추출 기반의 SURF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SURF 알고리즘은 다른 특징점 추출 기반 알고리즘보다 연산량이 적어 PC 환경보다 비교적 낮은 하드웨어 성능을 가지고 있어 모바일 기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SURF 알고리즘은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최적화 작업이 되어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기기에 적합한 추적을 위해 SURF 알고리즘을 여러 환경에서 실험하여 성능을 비교하고, 최적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상호작용 음악 플레이어 (Interactive Music Player using Augmented Reality)

  • 이재영;김재신;한재현;김태용;최종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149-1154
    • /
    • 2006
  • 증강현실 (AR: Augmented Reality)은 카메라를 통하여 현실의 공간에 가상의 물체를 삽입하는 기술로 사용자에게 컴퓨터상에서 정보를 보강해 줌으로서 사용자가 카메라로 보이는 환경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취득 할 수 있게 해주는 분야이다. 가상환경(Virtual Reality) 및 혼합영상(Mixed Reality)을 이용해 보다 사실감 있는 가상의 영상을 일상 생활에 접목하려는 기술들이 부각되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데 이러한 시도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로 취득된 화면상에 사용자의 움직임, 즉 사용자가 대상되는 마커를 삽입하고 컨트롤할 수 있는 음악플레이어를 구현한다.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아닌 카메라에서 보여지는 마커의 움직임으로 원하는 음악을 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카메라상의 프레임에서 대상되는 마커의 움직임을 찾고 그 대상물체 위에 정보를 증강시켜주고, 그 음악을 화면상에 사용자의 마커 움직임을 통해서 제어하는 방법이다.

  • PDF

심리적 거리로서의 가상성 : 가상성에 따른 광고메시지 전략 (Virtuality as a Psychological Distance : The Strategy for Advertisement Message Appeal Depending on Virtuality)

  • 박도형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4권2호
    • /
    • pp.39-54
    • /
    • 2017
  • At present, various technologies are rapidly advancing, centering on the concept of virtuality. From the technology of virtual reality, which allows us to experience the senses as if they existed, to the technology of augmented reality, which provides new information or services based on reality, they are no longer strange things for ourselves because we experience them every day and night. Even though the concept of virtual is very familiar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ot known how individuals accept the concept of virtuality, how they change our way of thinking, and how their behavior changes. This study aims to approach virtuality perceived by the individual from the viewpoint of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Virtuality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situation facing an individual is far from actual reality. An individual can judge the degree of virtuality easily, which is considered to be a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 this study, we have confirmed whether the argument is applied to the real world in the context of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construal level theory, when an individual feels virtuality at a high level,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distant and accordingly has a high level construal. Therefore, it is more influenced by 'advertisement emphasizing symbolic appeal' which is matching with higher level. On the other hand, when an individual feels a low level of virtuality, the individual thinks that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is psychologically near and thus has a low level construal. Therefore, respondents are more sensitive to functional appeal, which is related to lower level.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erms that the degree of virtuality affects the psychological distance of the individual.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contribu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be actively used in the information delivery strategy centered on the advertisement.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의 내용분석 연구 (Content Analysis of Digital Reality Contents as a Branded Entertainment)

  • 조창환;이희준;김호현;이소윤;길영환
    • 광고학연구
    • /
    • 제29권5호
    • /
    • pp.127-160
    • /
    • 2018
  • 본 연구는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을 사용한 브랜디드 엔터테인먼트, 즉 리얼리티 브랜디드 콘텐츠(Reality Branded Content, RBC)에 대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그 형식과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RBC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300개의 표본에 대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분산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RBC는 주로 디리버티브 스토리텔링 기법을 사용하며, 감성적 소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디지털 리얼리티 기술유형(VR, AR) 별 상호작용성량을 확인한 결과, 증강현실을 사용한 RBC의 상호작용성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호작용성 유무에 따른 RBC의 인지된 가치량과 콘텐츠 수용에 관여하는 감각의 양적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인지된콘텐츠 가치량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높았고, 관여된 감각의 양은 상호작용성 기능이 없을 때 더 높게 나타났다. 이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학문적의의를 논하였으며, 향후 RBC를 활용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제고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문화재 콘텐츠 설계 및 구현 연구 (A Study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ultural Property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 서동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15-20
    • /
    • 2019
  • 증강현실은 카메라에 보인 현재 모습에, 중첩된 대상의 정보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문화, 교육, 군사,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 콘텐츠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시나 어린이 교육 콘텐츠는 이미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문화재를 가상으로 구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갈기비AR'과 '장영실의 발명품AR'을 통해 접근하기 어려운 문화재를 눈앞 가까이에서 경험 하도록 해준다. '갈기비AR'은 3D 블록 형태로 체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서 문화재 구조에 대해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다. '장영실의 발명품AR'은 물체를 확대, 축소, 회전하며 함께 사진을 찍어 문화재를 보다 밀접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바닥면을 인식하는 ARCore로 '갈기비 AR'는 증강된 화면 속에 비석을 위치하여 블록을 할 수 있게 한다. 측우기, 해시계, 물시계, 앙부일구를 손앞에 바로 보는 것과 같이 구현하여 체험자에게 사실감을 더 주고자 하였다. 문화재를 널리 알리기 위한 콘텐츠이며 문화재의 체험 콘텐츠를 통해 문화유산의 향유를 증대하고자 한다. 문화재 정보가 대중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제작되는 콘텐츠 기획에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이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