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llage Image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2초

심층 CNN 기반 구조를 이용한 토마토 작물 병해충 분류 모델 (Tomato Crop Diseases Classification Models Using Deep CNN-based Architectures)

  • 김삼근;안재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7-14
    • /
    • 2021
  • 토마토 작물은 병해충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지 않으면 농업 경제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토마토의 다양한 병해충의 진단을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ImageNet 데이터 셋 상에서 다양하게 사전 학습된 딥러닝 기반 CNN 모델을 적용하여 토마토의 9가지 병해충 및 정상인 경우의 클래스를 분류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PlantVillage 데이터 셋으로부터 발췌한 토마토 잎의 이미지 셋을 3가지 딥러닝 기반 CNN 구조를 갖는 ResNet, Xception, DenseNet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기본 CNN 모델 위에 톱-레벨 분류기를 추가하여 제안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훈련 데이터 셋에 대해 5-fold 교차검증 기법을 적용하여 학습시켰다. 3가지 제안 모델의 학습은 모두 기본 CNN 모델의 계층을 동결하여 학습시키는 전이 학습과 동결을 해제한 후 학습률을 매우 작은 수로 설정하여 학습시키는 미세 조정 학습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모델 최적화 알고리즘으로는 SGD, RMSprop, Adam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RMSprop 알고리즘이 적용된 DenseNet CNN 모델이 98.63%의 정확도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는 수퍼픽셀 기반 사과잎 병충해의 분류 (Superpixel-based Apple Leaf Disease Classification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김만배;최창열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08-217
    • /
    • 2020
  • 원예작물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병해충의 종류를 판단하려는 연구가 오랫동안 있어왔다. 일반적으로 영역분할로 병해충 영역을 추출하고, 통계적 특징을 추출한 후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으로 병해충 종류를 판단한다. 최근에는 딥러닝의 종단간 학습으로 병해충을 판별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영역분할은 조명 등의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만족스러운 성능이 어렵고, 전체 잎 영상을 사용하는 종단간 신경망은 학습 영상과 실제 영상과의 차이 때문에 실제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수퍼픽셀 및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하는 병해충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PlantVilllage의 사과 병충해 영상들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분류정확도는 전체영상과 수퍼픽셀이 각각 (98.29, 92.43)%이고, 다변량 F1-score는 각각 (0.98. 0.93)이다. 제안하는 수퍼픽셀 기법은 성능 측면에서 약간 저하되지만, 현실적으로 실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NEW CLASSIFICATION TECHNIQUES FOR POLARIMETRIC SAR IMAGES AND ASSOCIATED THREE-COMPONENT DECOMPOSITION TECHNIQUE

  • Oh, Yi-Sok;Chang, Geba;Lee, Kyung-Yup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9-32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on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technique using the degree of polarization (DoP) and the co-polarized phase-difference (CPD) statistics, instead of the entropy and alpha. It is shown that the DoP is closely related to the entropy, and the CPD to the alpha. The DoP explains the feature how much the effect of multiple reflections is contained. Hence, the DoP could be us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classifying classes. The CPD can also be computed from the measured Mueller matrix elements. For the smooth surface scattering, the CPD is about $0^{\circ}$, and for dihedral-type scattering, the CPD is about $180^{\circ}$. A DoP-CPD diagram with appropriate boundaries between six different classes is developed based on the SAR image. The classific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Entropy-alpha diagram as well as the IPL-AirSAR polarimetric data. The technique may have capability to classify an SAR image into six major classes; a bare surface, a village, a crown-layer short vegetation canopy, a trunk-layer short vegetation canopy, a crown-layer forest, and a trunk-dominated forest. Based on the DoP and CPD analysis, a simple three-component decomposition technique was also proposed.

  • PDF

경관형용사를 이용한 면소재지 중심가로 이미지 분석 - 광주광역시에 인접한 10개 면소재지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Streetscape Image using Landscape Adjectives in Rural Town - Focused on 10 Rural Towns near Gwangju Metropolitan City -)

  • 김영태;조동범
    • 농촌계획
    • /
    • 제28권3호
    • /
    • pp.25-33
    • /
    • 2022
  • Due to the standardized urban development since the industrial era, many urban spaces have experienced non-placeness. Recently, although interest in urban landscape, history, and cultural elements has been increasing, landscape management and control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mainly in large cities due to the low status of rural areas in the countr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basic research in related fields by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treetscapes located near large cit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managing streetscapes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andscape adjectives, the village felt secluded due to the low density compared to the city street overall, but it did not have a unique image of the region. Three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preference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aesthetic, regularity, and uniqueness. In addition, the research site was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s by type were due to aesthetics and naturalness. On the other hand, the uniqueness is generally low in all regions, so it seems that fundamental countermeasures are needed.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고도담장정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cient City Wall Renewal in Gongju, a Historic Cultural City)

  • 온형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54-2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하나인 담장에 대한 이론과 담장 디자인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도에서의 담장에 어울리는 담장 정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를 유목화하고, 담장 디자인 이론을 고찰한 후, 고도 지정 지구의 의의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고도담장정비 사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여러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담장의 선행 연구는 담장의 성격 분석, 담장 디자인 원리 응용, 담장 구조·색채와 형태 및 응용, 현대적 재해석, 궁궐 담장, 주택·사찰·마을의 담장 등 6개 항목으로 유목화되었다. 담장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에 해당하며 시지각적 인지도가 내부 건축물보다 선경험으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고도담장정비 사례 대상지는 고도별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의 구성 분포 비율을 기준으로 무령왕릉과 인접한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을 선정하였다.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의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한옥 신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담장 정비는 한옥 신축과 동시에 시행된 게 아니었다. 가로변 건축물 외관 정비 사업으로 추후에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옥과 담장이 동시에 설계되어 심의 후 신축되었다면 한옥의 규모 및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담장이 되었을 것이지만 서로 기간을 두고 신청, 설계, 시공되었기에 한옥의 처마와 담장이 대지 경계선에 거의 맞닿아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간적으로 가깝고 높은 한옥 본채와 담장의 배치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구조물로 인식된다. 송산리길의 담장 디자인은 고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색상과 재료로 차분하고 은은하며 안온한 분위기를 자아내야 하는데, 날카롭고 옹색하여 난처한 지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담장 설계 디자인을 먼저 고려한 후, 한옥 본채 설계 디자인을 후순위로 진행하는 방안의 도입도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담장 지원 사업의 문제 요인은 전통 담장이 가져야 할 미적 요건에 상당히 부족하다. 첫째, 담장의 자연 재료 선정 및 활용에서 미적 의식이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 완성도와 조화의 부재이다. 조사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고도담장정비의 문제 요인을 분석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 설계와 담장·대문 시공 설계 도면을 함께 심의해야 한다. 둘째, 한옥 담장 디자인의 자연석 돌담 일변도를 재검토 진단하여야 한다. 셋째, 계획·설계 과정에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정하는 상시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넷째, 한옥의 개별성을 집단화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가치를 높여야 한다.

우리나라 옛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장애 등장인물의 상호작용과 이미지 (Interaction and Image of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Displayed in Korean Folk Tales Picture Books)

  • 유수옥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5-250
    • /
    • 2007
  • Using content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Korean people's traditional view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ping to contribute t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icture books for an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tory book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mainly interacted with their families and village people, had lower positions, did not accomplish their work on their own, and suffered from others' anger and beating. Differences in types of disabilities were that physical disabilities were viewed positively, while mental disabilities were viewed negatively. The former had wider scope of activities and maintained mor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characters than the latter; furthermore, the former had higher position than the latter and had cooperative interactions with people without disabilities.

  • PDF

사용자 참여디자인에 의한 ′A′유치원 놀이터 계획과정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Planning Process of ′'A′ Kindergarten′s Playground Applied User Participatory Design)

  • 최목화;최병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87-9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esign process for the 'natural-friendly' kindergarten playground using participatory design method. The 'A' kindergarten in Daejon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The concept of the design was decided by the user's needs which draw out the pictures of children, own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quest of the teachers. As a result, the concept approached to 'our neighborhood (Korean traditional village)' image, and was planned with a focus on open space, which allows rich in natural elements(earth ground, trees, flowers vegetable farm, animals, water and sand etc.) and various play activities. And a user participatory design method proved that it was proper to design a kindergarten playground.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Rurality Characteristics in Rural Amenity Resources)

  • 이정원;정윤희;임승빈
    • 농촌계획
    • /
    • 제12권2호
    • /
    • pp.1-9
    • /
    • 2006
  •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of rural area are connected to loss of rural functions which is food security as well as conservation of environment, balanced development of country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 projects are focusing on social changes in rural area and conservation of rurality creating values of rural amenity resources. At this point, full implications of rurality which is the various aspects of rurality should be defined to be applied in direct plans to conserve the rurality. In this study, nine attributes of rurality are found as various meanings with adjectives included in image of rurality. For practical use of these adjectives of rurality attributes, we evaluate the list of rural amenity resources and suggested plans for conservation of rural amenity. These attribut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village plan which brings one of the attributes into relief.

'A'유치원의 실외놀이터 계획과정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n Design Process of 'A' Kindergarten's Playground)

  • 최목화;최병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 /
    • pp.153-15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ature-friendly’ kindergarten playground design process, which is adopted from users needs. The concept of the design was decided by the pictures drawn by children, kindergarten owner's educational philosophy, and by the request of the teachers. As a result the concept approached to 'our neighborhood (Korean traditional village)'image, and was planned with a focus on an open space, which allows nature-like elements(earth ground, trees, flowers vegetable farm water and sand etc.) and various play activities.

  • PDF

전문가 인식에 따른 농촌경관 색채계획 방향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ural Landscape Color Plan according to the Expert Perceptions)

  • 김은자;한채원;임창수;박미정;최진아;권순찬
    • 농촌계획
    • /
    • 제23권1호
    • /
    • pp.31-40
    • /
    • 2017
  • People are making efforts multilaterally to create agricultural landscape beautifully. Still in farming villages, however, large-scale facilities or houses are disharmonized with natural environment because of their outer colors, mostly primary colors, not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The main study is done on experts' color perception. Investigation about perception of color experts ' view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he energy business based on the color to set the direction of the rural landscape in the futur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image of the rural area is not reflected well, and the symbolic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s the reverse image according to the energy business. The rural village's image in the future, "Harmonious", "Natural", "Rural" were higher Figure. There were the most important and harmony with nature. Based on such future harmony with nature in the color planning The colors match and is expected to be the color within the scope. Lack of awareness in the current farming town scenery is unsatisfactory.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urther improvement was higher. Therefore, color according to a harmony with nature imag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farming model should be plan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