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llage Composition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3초

전주한옥마을 간판정비를 위한 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Application for Signboard Arrangement of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 형성은;홍정표;정성환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461-470
    • /
    • 2009
  • 본 연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서 진행하였던 간판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구성 방법은 표준화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과 설명방법 그리고 각종 사인물에 있어서 올바른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인디자인 적용과 기본방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전주시 시민과 외부인 그리고 한옥마을에 주거하는 주민 등 600명을 대상으로 한옥마을의 일반적 특성, 한옥마을의 정보습득과 이동성 그리고 한옥마을의 간판 규제와 범위 등 3분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디자인 컨셉과 세부적인 간판 적용방법을 규정하였고 사인물 디자인에 대한 픽토그램과 전통 한옥에 있어서 사인물 설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사인물 정비의 행정적 절차 규정에 있어서는 전주시와 간판 광고업자, 한옥마을 심의위원회, 지역주민의 상호협력 방법 등 행정적으로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사인디자인 사업진행 방향을 종합하였고 관련 담당부서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전통과 역사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옻골마을 비보경관의 환경생태적 의미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Meaning of Bibo Landscape in Otgol Village)

  • 장병관;황보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2-41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비보 못과 비보 숲의 형태가 남아있는 대구광역시 소재 경주 최씨의 씨족마을인 옻골마을을 대상으로 실증적인 조사를 하여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비보경관인 비보연못, 비보숲 그리고 마을수계를 환경생태적으로 해석하고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지에 현재 남아 있는 비보경관에 대해 풍수지리적으로 서술하고 이것에 대한 환경생태적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환경생태적 의미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로서 삶의 질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지속적인 수계기능의 활성화를 규명하고자 수질을 측정했다. 즉 선비의 상징 및 휴식공간이 있는 동계, 생활주거공간인 서계, 이 두 계곡의 물이 합쳐지는 비보연못 그리고 연못에서 머문 후 마을 밖으로 흐르는 개울의 수질을 측정했다. 둘째, 마을의 안과 밖을 경계하는 비보숲의 미기후에 대한 기능을 평가하고자 했다. 즉 숲을 중심으로 각각 200m 떨어진 지점에 각 지점별 2개의 온도기를 설치하여 시간대별로 기온을 측정했다. 셋째, 건전한 생태계를 지속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측정했다. 즉 경관생태지표를 선정하여 측정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보연못은 수질정화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또한 동계정, 정려각 등 조경공간의 기능이 배치되어 있는 동계는 암벽과 계류 등 경관이 빼어나 주로 남성들이 이용하는 공간이었던 것에 비하여 주거공간이 많은 서계는 빨래 등 여성들의 활동에 필요한 공간으로 사용된 것으로 수질의 차를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둘째, 비보숲의 경우는 그 목적인 방풍과 온도저감을 기대하기는 적합하지 않는 소규모의 마을숲으로 다만 마을의 영역을 구분하는 기능을 한다고 해석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경관생태지표를 통한 생태적 건전성은 양호하며 보통의 전통농촌마을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녹지연결측면에서 본다면 마을 경계녹지와 마을숲의 연결은 매우 양호하다. 특히 훼손된 마을숲을 잘 복원한다면 생물서식환경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를 고찰해보면, 전통마을공간은 인간과 자연이 유기적인 통합체로 공존하는 환경생태학적 사고를 바탕에 둔 풍수지리사상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환경생태적 방법으로 볼 때, 풍수지리사상 중 비보사상에 의해 조성된 비보못과 비보숲의 의미는 지속 가능한 마을을 조성하는 중요 요소로 볼 수 있다. 다양한 수공간은 물의 순환체계를 원활하게 해주어 수질정화와 수량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숲은 마을을 위요시켜주면서 미기후를 조성하게 해주어서 겨울과 여름철의 기온차와 습도차를 줄어줄 것이다. 하지만, 숲의 규모가 작고 훼손이 심한 경우 상징적인 영역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전체 녹지체계와 식생구성은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고 종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연결녹지로서 기여할 것이다. 옻골마을은 마을형국을 보다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비보경관을 조성했다. 즉 땅의 생태질서를 최대한 유지하고 그것에 대한 점진적 이해를 바탕으로 조정된 마을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전통마을계획방법은 유기적이고 환경생태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생태학에서 보는 전통마을은 객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대상이다.

제주도내 6개부락 공동목장 야초지에 대한 방목기의 건물수량 , 일반조성분 및 식생구성율의 변화 (Changes in Dry Matter Yield , Chemical Composition , Botanical Composition of Native Pasture during the Grazing Period at Six Co-operative Village Farms Situated)

  • 김문철;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2-157
    • /
    • 1983
  • 濟州道內 6個部落 共同牧場 野草地를 對象으로 野草의 生産性과 植生比率이 家畜 增體에 미치는 效果를 究明하기 위해 1981년 5월부터 동년 11월까지 調査,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乾物收量은 7月收穫보다 10月收穫에서 2培二上 높았으며 모든 牧場이 같은 趨勢였다. 2. 野草의 祖蛋白質 含量은 7월보다 10월에서 낮았으며 粗纖維는 그 반대였다. 3. 牧場別로 볼 때 1일 增體量이 높은 河源과 海安牧場이 野草의 組蛋白質 含量이 가장 높았고 增體率이 제일 낮은 吾羅牧場에서 組蛋白質 含量이 낮았다. 4. 本 野草地에 分包된 全植生中 잔디가 56.61%로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고사리 16.44%, 억새 3.76% 순위였다. 科別로는 禾本科가 72.08%. 登科 1.81% 고사리과 16.49%, 기타 9.62%였다. 5. 1일 增體率이 높은 河源牧場은 禾本科와 登科의 比率이 높았고 增體率이 낮은 吾羅와 龍崗牧場은 독생이 있는 고사리 比率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목포각국공동거류지(木浦各國共同居留地)의 도시공간(都市空間)의 형성과정(形成過程)에 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Process of the Urban Form in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 양상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4권1호
    • /
    • pp.113-140
    • /
    • 1995
  • This thesis is a historical research about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as the fourth among the Open Ports which express the historical characters of Korean Modern, as a city which did not exist before the Korean Modern. So I analyzed positively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he process of urban form during the period which contained the characters of Concession, from 1897 to 1910. Even though the urban basic form of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was planned by Korean Goverment, it's townscape was changed to Japanese style by Japanese since Mokpo port was opened. Because it had settled by Japanese residents which had majority. But I found that the urban form was not composed by the Modern urban planning theory or method, but by the existing conditions such as topography and roads. The center in the settlement had shifted from the front region of Japan Consulate to the East region which was in the vicinty of Korean village. And also former internal oriented urban form had changed to the relevant composition with Korean village. All the changes in the Foreign Settlement at Mokpo was made by the Japanese which had majority, and it is a good example which expresses Korean Modern history.

  • PDF

아산(牙山) 외암(外岩)마을의 주거변화(住居變化)에 관한 연구(硏究) -1988년 전통건조물보존지구 지정 이후 2001년까지-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Oe-am Folk Village -From 1988 to 2001 (after Designated as a Traditional Preservation Area) -)

  • 이왕기;이강복;최홍기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3호
    • /
    • pp.77-91
    • /
    • 2001
  • The study is the analysis on Oe-am village which is designated as a folk-preservation village in 1988 and is included in the fact of the dwelling change through Spot-Survey and Case-Investigation in the last decade from now(2001), The result shows the main change on the stand-up dining room installation, the place with the boiler and bathroom installation, the additional expans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small twice or third space, the using change, the prototype restoration.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shown the following. 1. There is the dual structure that the villager repairs that because the repairing operation is biased the prototype restoration since the government construction. 2. The internal change is come from more at thatched house than at tiled house and the order of the main element's change is Kitchen (35%), main room (30%), living room (24%) and other rest room (11%). 3. The change of the dining room in the internal composition material is the strongest and the change is included in the using change, the installation of the new sub-division in the spot and the expansion of the outside if necessary. The reason of the main change is life-style's. Therefore we can know the change of the dwelling structure and we are able to make a modern-life. Also, If the restoration or repair is necessary, the change element on that must be considered.

  • PDF

개발제한구역의 농촌마을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한 주민수요조사 분석 - 대청호변 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sidents Needs Survey and Analysis for Rural Village Development Planning - With Villages on Surrounding Area of Daecheong Dam -)

  • 김대식;권용대;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523-534
    • /
    • 2010
  •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revitalized strategy for Daecheongdong district located on surrounding area of Daecheong dam, which general development projects are restricted by the acts of Green-belt area and Water supply protection zone. The study area consists of 13 villages in Donggu, Daejeon city. This study performed not only survey of amenity and human resources in the whole study area, but also development of new strategy integrating $1^{st}$, $2^{nd}$, and $3^{rd}$ industries for agriculture with potential. In the sample survey to 11% of village people, the new strategy was accepted positively with 88% of Understanding and 65% of Agreement in answer. The composition plans of farming association and total brand in the study area were agreed by 30% of residents with strong opinion. Representative groups of people living in Donggu, outside of the study area, have also positive opinion of 86% for Purchasing of agricultural products, 89% of Experience tourism, and 61% of Corporation for the study area, which the answering rate was 11% among 326 people. Finally,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corresponding Acts on performing of the new projects extracted in this study.

귀촌형 공동체마을 단독주택의 개성화 - 남원 '작은마을'의 사례연구 - (Personalization of Detached Houses in the Back-to-countryside Community Village - Case Study of the 'Jagun-Maul' in Namwon -)

  • 박경옥;이상운;류현수;황진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9-8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ersonalizing characteristics of detached housing that reflect the housing needs according to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back-to-countryside community village. For this study, 15 households of Jagun-maul at Namwon in Jeonbuk provided responses to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on housing consciousness, housing needs, and views on lifestyle. In addition, 15 plans were analyzed about the shape of the plan, the composition of LDK, the type of access, and the type of special sp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households under the elementary education stage was larger than the number of households above the middle education stage. Most of the households revealed the housing consciousness of 'house as resting place'. Households under the elementary education stage showed a housing consciousness for family-oriented life and households above the middle education stage showed a housing consciousness to interact with neighbors. 2) Households under the elementary education stage preferred LK style while households above the middle education stage preferred LDK style. Most of the floor plans had a front entrance and sliding door for the access from living room to garden. 3) Special spaces such as a loft, 'Ondolbang' (room with underfloor heating), study, maru, 'Toenmaru' (narrow wooden porch), family room, workroom, and toilet with outside door were arranged on each floor plan.

일본 가고시마 이즈미 후모토 마을의 근세 무사주택의 평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amurai Houses in Izumi Fumoto Village, Kagoshima, Japan)

  • 김윤상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29-3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group of samurai residences among other traditional Japanese villages and to accumulate the village-level sample data of a residential group, which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discussions. Using data that had been gathered since 1989, this study draw up a prototype floor plans to analyze the indoor spatial features of the residences in the modern period, and sampled 35 samurai house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Japanese houses were found among many Izumi Fumoto samurai residences up until the early Meiji period. However, after gradually the floor plan became more and more simplified; connections between rooms were reduced, decreasing their flexibility; and there was a rise in the number of houses with a larger area devoted to the Nando, a room for women and family members. The access of a visitor involved changes in one's eye-level view and establish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ich this study conjectures was used as a method to ensure that the visitor recognized the authority of the patriarch and to raise the family's reputation. As their floor plan was simplified, Izumi Fumoto samurai houses established one's eye view, boundaries, and procedures as a way to enhance the authority of the man of the family and the family's reputation. In addition, while there was an increasing number of residences that expanded the area of the Nando, in which family members slept and used the space in a stable way, they maintained the exclusivity of private space and did not clearly show who would use it.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 당선안과 조성 현장 비교를 통해 본 전통 재현의 양상 (The Study on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 in the Winners of Landscape Competitions of Land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Original Designs and the Constructions)

  • 김현희;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38-149
    • /
    • 2015
  • 본 연구는 전통 재현을 위한 합리적 계획 방향을 모색하고자 '의정부 민락 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2008)'와 '화성 동탄 2지구 택지개발사업 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2012)' 당선안의 설계 도판과 조성 현장을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설계 도판에 제시된 텍스트와 평면도,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투시도를 분석하여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과 식재 양상을 파악한 후 조성 현장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현 대상과 재현 경관의 유형은 대상지의 향토 경관으로써 농업 경관, 전통마을의 생활공간, 전통 수(水) 공간, 전통문화로 구분된다. 둘째, 재현 공간의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주변 토지이용과 지역문화유산이 고려된 전통 테마 공간들을 구성하였으나 조성 시 일부는 근린공원에 요구되는 운동공간이나 편의시설공간으로 변경되었다. 셋째, 재현 시설물의 경우 방지원도(方池圓島), 정자, 화계는 현장에 도입되었으나 창의적으로 디자인된 시설물은 설치되지 않았다. 넷째, 전통 식재 기법은 마을숲, 방지 내 원도, 화계에 수목을 도입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다섯째, 전문 자료를 토대로 한 주제 선정과 실험적 시설물 디자인 제시 등 전통 재현 작업이 진일보한 측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여섯째, 조성 시 실현 가능한 주제 선정, 정보 해석을 위한 전문성, 전통 시설물의 창의적 디자인 등 앞으로 이루어질 전통 재현 작업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짚어보았다.

경주 양동마을의 외래식물 현황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in Gyeongju Yangdong Village)

  • 김기송;신현탁;이명훈;윤정원;김용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74-189
    • /
    • 2012
  • 경상북도 경주시에 위치한 양동마을은 중요민속문화재 제189호로 지정된 500년 역사의 한국의 전통마을이다. 최근 유네스코(UNESCO)의 세계유산인 양동마을은 보존 가치가 높아짐과 동시에 관광객의 증가에 따라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양동마을의 관속식물과 외래식물 및 귀화식물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전통문화공간 관리체계의 부재를 인식하고 차후 외래 식물 관리보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관속식물상은 89과 227속 261종 1아종 5품종 26변종 총 293분류군이다. 외래식물은 53과 98속 104종 2품종 8변종 총 114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15과 36속 37종 2변종 총 39분류군이다. 이에 따른 양동마을의 귀화율은 13.31%, 도시화지수는 13.64%이다. 양동마을의 전체 관속식물상 293분류군 중 외래식물은 114분류군으로 38.91%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통유산으로서 양동마을의 식물관리지침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외래식물 유입 방지와 관리 및 식재계획을 세워야 하며, 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