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edge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18초

석션 가물막이 보강 상판의 구조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Investigation on Structural Behavior of a Lid with Stiffeners for Suction-installed Cofferdams)

  • 김정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17
    • /
    • 2019
  • 대형 해상 구조물 시공이 증가됨에 따라 석션 가물막이 또한 대형화되고 있고, 이로 인해 가물막이 상판의 휨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상판 보강 설계가 가물막이 설계의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본 연구는 석션 가물막이 상판의 보강으로 인한 구조 거동 변화를 유한요소모델을 이용해 분석하고, 효과적인 상판 보강 배치 방안 도출을 위한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석션 앵커를 조사하여 각형 석션 가물막이 상판의 여러 보강 유형을 결정하였으며, 각 보강 상판을 분석하였다. 보강 상판의 응력과 변형을 비교하여 구조성능을 평가하였고, 추가로 상판 가장자리의 반력 분포를 분석함으로써 보강재 배치가 상판-케이슨 벽체 연결부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조사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방사방향 보강재가 상판의 처짐 및 응력 감소에 크게 기여한 반면, 상판-벽체 연결부의 수평 전단력을 집중 및 증가시켜 연결부 설계에 불리하게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내/외측 환형 보강재는 자체 보강 효과가 미미하나, 부분적으로 배치된 방사 보강재와 함께 연결해 배치되면 응력 및 처짐 개선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높은 유효 표면적을 갖는 3차원 TiO2 나노벽 유사구조의 성장 (Growth of 3D TiO2 Nano-wall-like Structure with High Effective Surface Area)

  • 김미리;김기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3-418
    • /
    • 2021
  • 높은 유효 표면적을 갖는 나노소재는 고감도 가스센서와 바이오센서 및 높은 촉매효율을 구현하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i Sheet와 Urea를 이용하는 Chemical Bath Deposition(CBD) 공정으로 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성장하는, 높은 유효 표면적을 갖는 3차원 나노벽 유사구조의 Titanate Sheet를 합성하였다. CBD 공정에서 합성온도 및 합성시간 등을 조절하여 3차원 나노벽 유사구조의 최적 합성조건을 탐색하였다. 합성된 3차원 나노벽유사구조의 Ammonium Titanate를 공기 중에서의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TiO2 3차원 나노벽유사구조로 변환시켰다. 연구결과 3차원 나노벽 유사구조의 Ammonium Titanate가 균일하게 성장되는 CBD 합성온도는 90 ℃이었고, 550 ℃ 이상에서 3시간 열처리하였을 경우, 3차원 나노벽 유사구조의 TiO2 상으로 변환되었다. 특히 700 ℃에서 열처리하였을 경우, Rutile 상이 우세한 TiO2 3차원 나노벽 유사구조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700 ℃의 열처리에서는 3차원 나노벽의 가장자리가 손상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비동기 히브 및 피치 운동에 따른 에어포일 비정상 공력 특성 Part 1 : 진동 주파수 비 (Unsteady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Non-Synchronous Heaving and Pitching Airfoil Part 1 : Frequency Ratio)

  • 지승환;한철희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62
    • /
    • 2023
  • 자유로운 이착륙과 뛰어난 비행능력을 가진 플랩핑 날갯짓 비행체에 관한 집중적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플랩핑 날갯짓에 관한 연구는 동기화된 운동의 다양한 운동변수에 대한 연구들로 비동기 운동을 수행하는 에어포일의 비정상 공력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은 크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히브와 피치 진동운동 주파수가 서로 다른 에어포일의 비정상 공력특성을 수치적으로 연구했다. 먼저 비동기 운동에 따른 운동특성과 받음각 변화를 파악하였다. 해석 결과 진동수 비가 1.0인 경우 양력은 발생하지 않았고 추력이 크게 발생했다. r=0.5인 경우 양력이 크게 발생하였다. 에어포일 주변의와 분포와 표면에서의 압력계수를 분석하여 비동기 진동운동을 하는 에아포일의 공력특성을 분석했다. r=0.5인 경우 r=1.0인 경우 보다 더 큰 앞전 및 뒷전 와들이 관찰되었으며, 이 와들이 비동기 진동운동을 하는 에어포일의 공력특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 피치진동의 진폭이 비동기 진동운동을 하는 에어포일의 비정상 공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계획이다.

하악전돌자에서 3차원영상을 이용한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과 관련된 하악골의 해부학적 연구 (MORPHOLOGIC STUDY FO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USING 3-D IMAGE IN MANDIBULAR PROGNATHISM)

  • 박충열;국민석;박홍주;오희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50-359
    • /
    • 2005
  •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SSRO) has been commonly performed in the mandibular prognathism. The previous studies of the mandibular anatomy for SSRO have mostly been used in dry skull without consideration of age, sex or jaw relationship of patien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and the anatomy of ramus, such as the location of mandibular lingula and the ramal bone marrow, which were associated with SSRO procedures, in the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and normal young adults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s(CT) and 3D images. The young adults at their twenties, who were considered to complete their skeletal growth, and seen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0 and May 2003, were selected. This study was performed in 30 patients (15men, 15women)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 normal relationship, and another 30 patients (15men, 15women)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 upon clinical examination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 Class I group, the patients who had skeletal class Ⅰ normal relationship(n=30, 15men, 15women), and Class III group, the patients who had skeletal class III relationship(n=30, 15men, 15women). Facial CT was taken in all patients, and pure 3D mandibular model was constructed by V-works version 4.0. The occlusal plane was designed by three points, such as the mesiobuccal cusp of both mandibular 1st molar and the incisal edge of the right mandibular central incisor, and used as a reference plane. Distances between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and the occlusal plane, the sigmoid notch,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borders of ramus were measured. The height of ramal bone marrow from the occlusal plane and the distance between mid-point of mandibular canal and the buccal or lingual cortex of the mandible in the 1st and 2nd molars were measured by V-works version 4.0. Distance(Li-OP)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Li-SN) between the sigmoid notch and the tip of mandibular ligula of Class III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Li-RA) between the anterior border of ramus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Distance(Li-RP) between the posterior border of ramus and the tip of mandibular lingula of Class III Group was slightly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between both groups. Distance(RA-RP) between the anterior and the posterior borders of ramus of Class III Group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Longer the distance(SN-AN) between the sigmoid notch and the antegonial notch was, longer the vertical ramal length above occlusal plane, higher the location of mandibular lingula, and shorter the antero-posterior ramal length were observed(p<0.01). Height of ramal bone marrow of Class III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p<0.01). Distance between mandibular canal and buccal cortex of Class III Group in 1st and 2nd lower molars was shorter than that of Class I Group in men and women (p<0.05 in 1st lower molar in men, p<0.01 in oth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some anatomical differences between the normal occlusal patients and the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such as the anterior-posterior length of ramus, the height of ramal bone marrow, and the location of mandibular canal.

기술 융합형 웹툰의 몰입도 연구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flow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webtoon - Focused on the interactiontoon of webtoon )

  • 백은지;손기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50호
    • /
    • pp.101-130
    • /
    • 2018
  • 스마트 기기의 등장 후 웹툰을 스마트폰으로 보는 독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스마트툰, 효과툰, 컷툰, 더빙툰, 무빙툰, AR툰, VR툰, 인터랙션 툰 등 다양한 첨단기술이 결합된 기술 융합형 웹툰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술 융합 유형과 사례 제시, 연출 효과와 그에 따른 문제점 제시 정도로, 만화와 기술과의 융합이 독자의 만화 읽기와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몰입의 관점에서 만화만의 독특한 몰입방식을 알아보고, 기술 융합형 웹툰들이 시도한 몰입 양상과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의 인터랙션 요소와 몰입 양상을 분석해 봄으로써 첨단 기술을 통해 새롭게 시도 되고 있는 인터랙션 요소들이 웹툰의 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몰입의 관점에서 기술 융합형 웹툰을 유형별로 분석해보면, 효과툰은 멀티미디어 효과가 과하게 사용될 경우 정보의 과부하를 일으켜 몰입을 방해하였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가로 읽기 방식에 맞춰 칸에 움직임을 부여한 스마트툰은 그 시도는 좋았으나, 독자의 능동적인 만화 읽기를 방해하여 몰입감을 떨어트렸다. VR 기기를 이용해 독자가 직접 웹툰 세계를 탐색하도록 한 VR툰 역시 웹툰의 세로 연출을 극복하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주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만화의 몰입을 저해하였다. 만화 읽기 방식의 편이성만을 중시한 무빙툰은 독자의 만화 읽기의 자율성을 침해함으로써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하일권의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는 얼굴인식 기술, 증강현실 기술, 360도 파노라마 기술, 햅틱기술 등 웹툰에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독자가 웹툰 캐릭터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고, 독자 스스로가 주인공과 동일시되어 캐릭터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몰입을 유도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다만, 작품 후반부에 나타나는 기술의 남용과 이를 위한 무리한 상황 연출, 지루한 스토리 전개 등이 한계점으로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