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flow of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webtoon - Focused on the interactiontoon of webtoon

기술 융합형 웹툰의 몰입도 연구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를 중심으로

  • 백은지 (상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 손기환 (상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8.02.01
  • Accepted : 2018.03.22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Since the advent of the Smart Devices, the smartphone has become a popular tool to view Webtoon. This phenomenon has caused the convergence of cutting-edge technologies and Webtoons in diverse forms, creating unique versions of Webto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mart-toon, Effect-toon, Cut-toon, Dubbing-toon, Moving-toon, AR-toon, VR-toon, and Interaction-toon. By comparison to these rich diversities of Webtoons in the online industry, there is a lack of academic research on this topic. There are some papers which talk about the different types of multimedia technology conversion and its case presentation or the effectiveness and problems of visual effect, but the effects of these convergence technologies on comic readers' concentration and reading effectiveness have never been investigated so far. Therefor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unique method of immersive storytelling that is often used in comics and analyze each aspects of immersive method in technology-converged Webtoons along with its problems. Furthermore, this paper will analyze different aspects of "immersion" and interaction elements that can be found in the popular Interaction-toon, (Encountered). Through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interaction elements on comic readers' immersion level and its limitation. To classify the technology-converged Webtoons in terms of the immersion level, the Effect-toon sometimes interferes viewer's flow by using excessive use of multimedia effect, creating information overload. The Smart-toon which applied motions to each frame under horizontal mode of smartphones was a good try, but it hindered the readers' activeness and made it hard for the readers to be fully absorbed in the story. The VR-toon, which utilizes virtual reality gadgets to allow viewers to explore the world of Webtoon was also a nice 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vertical screens. However, it often caused dispersion of user's attention and reduced the users' immersion level. The Moving-toon which only emphasized the reading convenience also invaded readers' activeness and disturb users'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cartoonist Il-Kwon Ha applied high technologies such as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360-degree panorama technology, and haptic technology to his cartoon (Encountered). This allowed the readers to form a sense of closeness towards the cartoon characters which let the readers t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characters and interact with them. By this way, the readers can be fully immersed in the story. However, technology abuse, impractical production and hackneyed storylining often showed later in the story remains as its limitations.

스마트 기기의 등장 후 웹툰을 스마트폰으로 보는 독자가 증가하게 되면서, 스마트툰, 효과툰, 컷툰, 더빙툰, 무빙툰, AR툰, VR툰, 인터랙션 툰 등 다양한 첨단기술이 결합된 기술 융합형 웹툰들이 선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멀티미디어 기술 융합 유형과 사례 제시, 연출 효과와 그에 따른 문제점 제시 정도로, 만화와 기술과의 융합이 독자의 만화 읽기와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논의는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몰입의 관점에서 만화만의 독특한 몰입방식을 알아보고, 기술 융합형 웹툰들이 시도한 몰입 양상과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석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의 인터랙션 요소와 몰입 양상을 분석해 봄으로써 첨단 기술을 통해 새롭게 시도 되고 있는 인터랙션 요소들이 웹툰의 몰입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몰입의 관점에서 기술 융합형 웹툰을 유형별로 분석해보면, 효과툰은 멀티미디어 효과가 과하게 사용될 경우 정보의 과부하를 일으켜 몰입을 방해하였다.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가로 읽기 방식에 맞춰 칸에 움직임을 부여한 스마트툰은 그 시도는 좋았으나, 독자의 능동적인 만화 읽기를 방해하여 몰입감을 떨어트렸다. VR 기기를 이용해 독자가 직접 웹툰 세계를 탐색하도록 한 VR툰 역시 웹툰의 세로 연출을 극복하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주의 집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만화의 몰입을 저해하였다. 만화 읽기 방식의 편이성만을 중시한 무빙툰은 독자의 만화 읽기의 자율성을 침해함으로써 몰입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하일권의 인터랙션 툰 <마주쳤다>는 얼굴인식 기술, 증강현실 기술, 360도 파노라마 기술, 햅틱기술 등 웹툰에 다양한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독자가 웹툰 캐릭터와의 관계에서 친밀감을 형성하고, 독자 스스로가 주인공과 동일시되어 캐릭터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몰입을 유도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다만, 작품 후반부에 나타나는 기술의 남용과 이를 위한 무리한 상황 연출, 지루한 스토리 전개 등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 긍정심리학-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008, p93.
  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6 만화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pp.183-184.
  3. 김성재, 시간구조를 통한 서사 웹툰의 재미 연구, 상명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 박사학위논문 (2016, 8), pp.47-51.
  4. 김용현, 웹툰에서의 몰입(Flow)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영상디자인학 석사학위논문, (2010, 2), p.23.
  5. 문지현, 무빙카툰을 통한 웹툰의 새로운 표현방식 연구, 순천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 석사학위논문(2015, 12), pp.17-18.
  6. 백은지, 웹툰 만화연출 연구- 웹코믹스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만화영상학 석사학위(2009, 12), pp.58-59.
  7. 김보현, 홍난지, 매체발달에 따른 만화의 멀티미디어와의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Vol.13 No.1, 2012, pp.123-124.
  8. 김유미, 웹툰 연출의 애니메이션 기법 활용과 문제점 분석,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6, 2017, p.85.
  9. 이승진, 만화를 기반으로 한 융합콘텐츠 모델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1, 2012, p96.
  10. 한상정, 한국 웹툰의 연출문법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Vol.11 No.3, 2015, p128.
  11. 블로터, "움찔움찔 네이버 효과툰, 이렇게 만들었어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293&aid=0000017070, 2015.09.15.(접속일: 2018.03.06)
  12. 이데일리, "네이버 웹툰, 증강현실 접목한 AR툰 '폰령' 선보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18&aid=0003660703, 2016.10.26.(접속일: 2018.01.21)
  13. 중앙일보, "셀카 찍으면 내가 만화 주인공...IT 만나 진화한 웹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25&aid=0002783759, 2017.12.22.(접속일: 2018.03.10)
  14. 네이버 웹툰, <폰령> 1화 '여관 201호', NAVER, 2016.
  15. 윤인환, 김선희의 <심연의 하늘> 시즌 3, NAVER, 2015.
  16. 지강민, <와라 편의점 VR>, 코믹스브이, 2017.
  17. 하일권, <고고고>, NAVER, 2015.
  18. 하일권, <마주쳤다>, NAVER, 2017.
  19. 한지혜, 안정은, <아메리칸 유령잭: 무빙툰>, DAUM, 2015.
  20. 호랑, <봉천동 귀신>, NAVER, 2011.
  21. DEY, <2015 소름> 1화 '사생사', NAVER,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