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ous Diets

검색결과 454건 처리시간 0.026초

Dietary glucosinolates inhibit splenic inflammation in high fat/cholesterol diet-fed C57BL/6 mice

  • Gu, HyunJi;Gwon, Min-Hee;Kim, Sang-Min;Yun, Jung-Mi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5권6호
    • /
    • pp.798-806
    • /
    • 2021
  • BACKGROUND/OBJECTIVES: Obesity is associated with chronic inflammation. The spleen is the largest organ of the lymphatic system and has an important role in immunity. Obesity-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are triggered by Toll-like receptor (TLR)-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88 (MyD88) pathway signaling. Phenethyl isothiocyanate (PEITC) and 3,3'-diindolylmethane (DIM), major dietary glucosinolates present in cruciferous vegetables, have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PEITC and DIM on the obesity-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spleen are un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EITC and DIM on the spleen and their mechanism in high fat/cholesterol diet (HFCD)-fed C57BL/6 mice. MATERIALS/METHODS: We established an animal model of HFCD-induced obesity using C57BL/6 mice. The mice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diet with AIN-93G diet (CON), high fat diet (60% calories from fat) with 1% cholesterol (HFCD), HFCD with PEITC 30 mg/kg/day or 75 mg/kg/day (HFCD+P30, HFCD+P75), and HFCD with DIM 1.5 mg/kg/day or 7.5 mg/kg/day (HFCD+D1.5, HFCD+D7.5).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used to evaluate pro-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Western blot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used to analyze protein and mRNA levels of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p65, interleukin 6 (IL-6), cyclooxygenase 2 (COX-2), TLR2, TLR4, and MyD88 in spleen tissue. RESULTS: Serum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CD group than in groups fed a HFCD with PEITC or DIM. Levels of NF-κB p65 protein and TLR2/4, MyD88, NF-κB p65, IL-6, and COX-2 mRN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CD group than in the CON group and were reduced by the PEITC and DIM supplements. CONCLUSIONS: PEITC- and DIM-supplemented diets improved splenic inflammation by modulating the TLR2/4-MyD88 pathway in HFCD-fed mice. We suggest that dietary glucosinolates may at least partially improve obesity-induced inflammation of the spleen.

인천 연안에 출현하는 참홍어(Beringraja pulchr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ottled Skate, Beringraja pulchra in the Coastal Waters of Incheon, Korea)

  • 정경숙;박준;손명호;이형빈;한송헌;조현수;김맹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2-237
    • /
    • 2018
  • 인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참홍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7년 2월부터 2018월 3월까지 총 203개체를 채집하였다. 참홍어의 체반장은 31.1~77.7 cm의 범위였으며, 16개체는 공복상태였다. 참홍어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새우류인 마루자주새우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어류는 까나리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참홍어의 체장이 커질수록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와 중량은 증가하였다.

Effects of dietary flavonoids on performance, blood constituents, carcass composition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a meta-analysis

  • Prihambodo, Tri Rachmanto;Sholikin, Muhammad Miftakhus;Qomariyah, Novia;Jayanegara, Anuraga;Batubara, Irmanida;Utomo, Desianto Budi;Nahrowi, Nahrow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3_spc호
    • /
    • pp.434-442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ietary flavonoids on the growth performance, blood and intestinal profile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broilers by employing a meta-analysis method. Methods: A database was built from published studies which have reported on the addition of various levels of flavonoids from herbs into broiler diets and then monitored growth performance, blood constituents, carcass proportion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A total of 42 articles were integrated into the database. Several forms of flavonoids in herbs were applied in the form of unextracted and crude extracts. The database compiled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ixed model methodology. Different studies were considered as random effects, and the doses of flavonoids were treated as fixed effects. The model statistics used were the p-values and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The significance of an effect was stated when its p-value was <0.05. Results: Dietary flavonoids increased (quadratic pattern; p<0.05) the average daily gain of broilers in the finisher phase. There was a reduction (p<0.01) in the feed conversion ratio of the broilers both in the starter (linear pattern) and finisher phases (quadratic pattern). The mortality rate tended to decrease linearly (p<0.1) with the addition of flavonoids, while the carcass parameter was generally not influenced. A reduction (p<0.001) in cholesterol and malondialdehyde concentrations (both linearly) was observed, while super oxide dismutase activity increased linearly (p<0.001). Increasing the dose of flavonoids increased (p<0.01) the villus height (VH) and villus height and crypt depth (VH:CD) ratio (p<0.05) in the duodenum. Similarly, the VH:CD ratio was elevated (p<0.001) in the jejunum following flavonoid supplementation. Conclusion: Increasing levels of flavonoids in broilers diet leads to an improvement in growth performance, blood constituents, carcass composition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Effects of different stocking density and various phytogenic feed additives dosage levels on growing-finishing pigs

  • Hyun Ah Cho;Min Ho Song;Ji Hwan Lee;Han Jin Oh;Yong Ju Kim;Jae Woo An;Se Yeon Chang;Young Bin Go;Dong Cheol Song;Seung Yeol Cho;Dong Jun Kim;Mi Suk Kim;Hae Ryoung Park;Hyeun Bum Kim;Jin Ho C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3호
    • /
    • pp.535-549
    • /
    • 202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phytogenic feed additives (PFA) dosage levels in growing- finishing pigs stressed by high stocking density. A total of 72 mix sexed 12 weeks growing pigs ([Landrace × Yorkshire] × Duroc) with initial body weight (BW) of 49.28 ± 4.58 kg were used for 8 weeks. There were 3 replicate pens in each treatment group, with 3 pigs per pen. The dietary treatment groups consisted of basal diets in animal welfare density (negative control [NC]), basal diet in high stocking density (positive control [PC]), PC + 0.04% essential oil (ES1), PC + 0.08% essential oil (ES2), PC + 0.10% bitter citrus extract & essential oil (CES1), PC + 0.20% bitter citrus extract & essential oil (CES2), PC + 0.05% grape pomace extract (GP1), PC + 0.10% grape pomace extract (GP2). The reduction of space allowance decreased (p < 0.05) average daily gain, feed efficiency, and digestibility of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gross energy. Also, the fecal score of PC groups increased (p < 0.05) compared with other groups. Basic behaviors (feed intake, standing, lying) were inactive (p < 0.05) and singularity behavior (biting) was increased (p < 0.10) under high stocking density. There was no difference in blood profile. However, the supplementation of PFA alleviated the negative effects such as reduced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some increasing stress indicators in th blood (cortisol) and animal behavior (biting). In conclusion, the negative effect of high stocking density was most effectively mitigated by the normal dosage of the mixture of bitter citrus extract and essential oil additive (CES1).

광주, 전남지역 일부 대학생들의 식생활 형태와 식품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etary Pattern and Food Preference of Un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 홍윤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8-327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dietary habits as well as attitudes toward food, within other life pattern elements, of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Korea. Questionnaires from 1,000 student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physical condition and health status, dietary consciousness, food preference,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and dietary culture. The results showed that 1.6% of the students considered their own physical condition to be extremely poor, and 2.7% and 2.1% also considered their father's and mother's physical conditions as extremely poor, respectively. Among the respondents, 18.3% were smokers and consumed an average of 14.8 cigarettes per day. With regard to their dietary habits,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preferred to eat meals with friends rather than with family members, fruit was chosen for eating over health food supplements, and there was very little participation or interest in various food and cultural festivals. The female students had a tendency to alleviate mental stresses by eating, while the male students performed more physical activity to deal with stress. The female students also preferred cereal, fruit, fast food, and sweetened foods more than the male students.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significantly more non-smokers chose fruit (p<0.01), ethnic foods (p<0.05), and sweetened foods (p<0.05) as compared to the smokers. Body mass index (BMI)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ft drink (p<0.01), health food supplement (p<0.01), and alcoholic beverage (p<0.001) consumption, while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ereal (p<0.01), fruit (p<0.001), and sweetened food (p<0.01) intake. The health status of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father's health status (p<0.01), mother's health status (p<0.001), and BMI (p<0.05), as well as cereal (p<0.001), high protein side dish (p<0.01), fruit (p<0.01), vegetable (p<0.01), and traditional food (p<0.001) intake. The average body weight for female students was approximately 5 kg less tha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s standardized weight, therefore,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measures be taken to develop a systematic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hose students who often unintentionally skip breakfast or go on extreme diets to improve body image.

Effect of partially replacing soybean meal with sunflower meal with supplementation of multienzymes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meat quality, ileal digestibility,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caecal microbiota in broilers

  • Yaqoob, Muhammad Umar;Yousaf, Muhammad;Imran, Safdar;Hassan, Safdar;Iqbal, Waqar;Zahid, Muhammad Umer;Ahmad, Naveed;Wang, Minqi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10호
    • /
    • pp.1575-1584
    • /
    • 2022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rtially replacing soybean meal (SBM) with sunflower meal (SFM) with added exogenous multienzymes (MEs) on various biological parameters in broilers. Methods: One week-old, 40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reatments (control, 3SFM, 6SFM, and 9SFM) with 5 replicates/treatment (20 chicks/replicate). Control diet was without SFM and MEs, while diets of 3SFM, 6SFM, and 9SFM treatments were prepared by replacing SBM with SFM at levels of 3%, 6%, and 9%, respectively, and were supplemented with MEs (100 mg/kg). Feeding trial was divided into grower (8 to 21 day) and finisher phases (22 to 35 day). External marker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nutrient digestibility. At the end of trial, twenty birds (one birds per replicate) with similar body weight were slaughtered for samples collection. Results: No significant effect of dietary treatments was found on all parameters of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except relative weight of bursa. Weight (25.0 g) and length (15.80 cm) of duodenum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SFM than control. Lowest (p<0.05) villus height/crypt depth ratio was found in 3SFM and 9SFM than control. Most of meat quality parameters remained unaffected, however, highest pH of breast meat (6.16) and thigh meat (6.44) were observed in 9SFM and 3SFM, respectively. Lowest (p<0.05) cook loss of thigh meat was found in 6SFM (31.76%). Ileal digestibility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SFM (72.35%) than control (69.46%). In addition, amylase (16.87 U/mg) and protease (85.18 U/m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3SFM than control. However, cecal microbial count remained unaffected. Conclusion: Partial replacement (up to 9%) of SBM with SFM, with added MEs can help to improve th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morphology,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without affecting cecal microbial count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해조류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계통 다양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Five Seaweed Species)

  • 손승원;이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5-152
    • /
    • 2024
  • 해조류는 풍부한 필수 영양소 공급으로 인해 귀중한 해양 자원으로 여겨지며 특히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500종 이상의 해조류가 서식하며 그 중 50종 이상이 식품용으로 이용되어 일상 식단의 중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가장 흔히 섭취되는 해조류 5종(매생이, 톳, 김, 다시마, 미역; Capsosiphon fulvescens, Hizikia fusiforme, Porphyra yezoensis, Saccharina japonica, Undaria pinnatifida)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알라닌, 류신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이 다섯 종류의 해조류가 아미노산 구성에 따라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이는 부분적으로 계통 분류 결과와 일치하였다. 다양한 아미노산 중에서도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이 구분을 주도하는 주요 아미노산이였다. 특히, 가까운 계통적 근접성을 보이는 Undaria pinnatifida와 Capsosiphon fulvescens는 뚜렷하게 유사한 아미노산 프로필을 나타내었다. 그에 비해 Porphyra yezoensis와 Saccharina japonica는 계통적 관계를 공유하더라도 다른 아미노산 구성을 보였다. Hizikia fusiforme는 두 분석 모두에서 독특한 군집으로 나타났다.

벗굴 (Ostrea denselamellosa) 유생의 생육조건에 따른 성장과 생존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Flat Oyster, Ostrea denselamellosa, by Condition of Larval Cultivation)

  • 양문호;오봉세;한창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42
    • /
    • 2003
  • 벗굴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 확립의 일환으로 유생사육조건인 수온별, 밀도별, 먹이별, 염분별에 따른 성장 및 생존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내 자연수온 (18 -22$^{\circ}C$), 24$^{\circ}C$, 28$^{\circ}C$ 및 32$^{\circ}C$의 수온별에 따른 성장은 실험개시 시 평균 각장, 각고가 각각 136.0, 120 ${\mu}$m였던 D형 유생이 사육 후 8일까지는 시험구별의 성장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육 12일 째부터는 성장 차를 보이며 부착기인 20일에는 각장이 실내 자연수온구에서 275.0 ${\mu}$m (성장율 202.2%), 24$^{\circ}C$구에서 327.0 ${\mu}$m (240.4%), 28$^{\circ}C$구에서 349.0 ${\mu}$m (256.6%) 및 32$^{\circ}C$구에서는 165.0${\mu}$m (121.3%)로 28$^{\circ}C$에서 가장 높은 성장율을 나타내었다 . 수온별의 최종생존율은 실내 자연수온구 (18-22$^{\circ}C$) 에서 16.0%, 24$^{\circ}C$에서 32.0%, 28$^{\circ}C$에서 13.0%, 32$^{\circ}C$에서 0%로 24 $^{\circ}C$에서 32 0%로 가장 생존율이 양호하였다.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은 2개체/ml구 (228.1%), 5개체/ml구 (203.9%), 10개체/ml구 (181.7%), 20개체/ml구 (174.5%) 로 성장하여 밀도가 가장 낮은 2개체/ml구에서 228%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생존율도 각각 29.0%, 28.0%, 13.0%, 9.0%로 밀도가 낮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먹이생물 공급에 대한 벗굴 유생의 성장은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calcitrans및 Tetracellmis suecica 의 3종을 혼합 공급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성장율은 208.4%였다. 생존율도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alcitrans 및 Tetracellmis suecica의 3종을 혼합 공급한 실험구에서 38.8%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유생의 성장은 최초 평균 각장이 132.0 ${\mu}$m인 D형 유생이 시험종료 시에는 25 psu 에서 303.0 ${\mu}$m (229.5%), 30 psu는 318.0 ${\mu}$m (240.9%), 35 psu는 298.0 ${\mu}$m (225.7%), 40 psu가 181.0 ${\mu}$m (137.1%)가 로 성장하여 30 psu 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다. 염분별의 최종생존율은 25 psu에서 31.0%, 30 psu는 28.0%, 35 psu는 11.0%, 40 psu가 0% 순으로 25 psu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 청소년의 다양한 급원을 통한 비타민과 무기질 최대섭취량 평가 (Dietary maximum exposure assessment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arious sources in Korean adolescents)

  • 한지혜;이현숙;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5호
    • /
    • pp.447-460
    • /
    • 2013
  • 본 연구는 전국의 1,407명의 청소년 중 일반의약품과 또는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를 섭취한다고 응답한 청소년 921명 중 조사지 기입과 상시 면담이 가능한 남녀 각각 30명씩 총 60명 (15~18세)을 선정해, 조사지 작성 및 직접면담을 통해 일반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3일간의 식사, 간식 섭취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비타민과 무기질 최대섭취량을 파악하고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일상식사, 일반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및 강화식품 섭취를 통한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량을 산출해 평균, 97.5 백분위수 (최대섭취량) 등을 구하고 권장섭취량 및 상한섭취량과 비교하였다. 일상식사를 통한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량은 권장섭취량의 0.3~4.4배이었다. 각각의 급원에서 상한섭취량 이상을 섭취한 대상자가 있는 영양소는 식사로는 비타민 A (1.7%)와 니아신 (5.0%), 일반의약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로는 비타민 C (9.1%)와 철 (5.6%),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로는 니아신 (8.6%), 비타민 $B_6$ (7.5%), 엽산 (2.9%), 비타민 C (2.3%)이었다. 식사, 일반의약품과 또는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 강화식품을 통한 총섭취량이 상한섭취량 이상인 대상자가 가장 많은 영양소는 니코틴산 (33.3%)이었으며, 그 다음 비타민 C (26.6%) > 비타민 A (13.3%), 철 (13.3%) > 아연 (11.7%) > 칼슘 (5.0%) > 비타민 E (1.7%), 비타민 $B_6$ (1.7%)이었다. 이런 연구 결과로 볼 때, 한국 청소년 중 일상식사를 통해 충분한 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는 경우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와 강화식품을 섭취하면 비타민과 무기질 과잉섭취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더 큰 표본을 대상으로 정확한 섭취량 평가가 이루어져 비타민과 무기질의 상한섭취량 설정 및 바른 비타민 무기질 보충제와 강화식품 섭취에 대한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국의 하추잠작 안정을 위한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Cocoon Crops in Summer and Autumn in Korea)

  • 이상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
    • /
    • 1974
  • 우리나라의 다회육 육잠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하추잠작을 안정시키기 위한 각종 요인 및 동요인이 실용형질에 미치는 경향을 구명코저 실시한 수개시험중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에서는 우선 우리나라에서 3회육 이상의 다회육을 할 경우 사육시기별 잠작의 정도를 구명코저 연간 11기를 4개장소, 3개년에 걸처 실시하였고, 결과에서 하추잠작이 불량했던 원인을 알고저 실시한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에서는 우리나라 전형적인 양잠농가로 추정되는 19호에 대한 주재 관찰조사 및 실험분석을 통한 실제의 불작요인을 조사하였다. 동조사에서 지적된 불작요인을 개선할 경우의 효과를 알고저 실시한 육잠기술 지도효과에서는 춘추 연40개 농가에게 불작요인을 개선 지도하였을 때 얻어지는 지도효과를 지도전년, 지도당년, 지도후년, 육잠기술 상, 하위 농가 및 춘추별로 인근 춘추 연758농가를 대조로 비교분석 하였다. 이상에서 간제되는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 추이를 알고저 시기별로 채취한 상엽분말을 동일시기 인공사료육을 통해서 양부의 판정을 시도하였고 이상에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 영양 및 온도조건이 하, 초추잠작에 있어서 누에 계량형질에 미치는 정도를 알고저 하잠시험에서는 치, 장잠별 엽질과 온도 등 4개요인을 하, 초추잠시기의 양부조건 2개수준(2$^4$), 초추잠시험에서는 하잠과 같은 4개요인에 변온 혹은 경엽구 1개수준을 추가한 3개수준(3$^4$)의 요인시험으로 실시했다. 이상에서 얻어진 시험들의 결과를 종합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육시기별 잠작에 관한 시험 1)잠작의 일반적 경향은 춘잠은 소잠이 빠를수곡 양호하였으며 추잠은 관행소잠시기를 정점으로 하여 그 시기로부터 빠르거나 늦어질수록 점차로 불량하나, 빠를수록 급격하게 불량하다. 2) 우리나라의 잠기별 잠작은 춘(1~4기), 추(7~10기), 만추(11기), 하(5기) 초추(6기)잠 순으로 불량하였다. 3) 잠작과 영역접배를 고려한 다회 보통육은 1, 3, 8, 10기 등 4회육이 적합하고 조상 4회육은 10기 대신에 11기 대치로 무난하다. 2. 양잠농가의 추잠작 불안정 요인시험 1) 양잠농가의 수견량을 지배한 치명적인 요인은 잠실 잠구의 소독불충분에 의한 병원축적이며 2) 이차적 요인은 사육온습도 관리불량, 배게치기, 적숙엽 선정기술 불량 및 결상총과소 등이며 잠작과 경영구 요소는 관련이 없는것 같다. 3) 견층비율에는 뽕의 엽질이 가장 크게 영향되고, 다음으로 통원누적으로 인한 누에의 건강도에 영향한 것 같다. 3. 육잠기술 지도효과 1) 지도농가의 상자당 수견량 춘잠기 32.3kg, 추잠기 25.8kg으로서 대조 농가보다 각각 20%, 35%가 증수되어 연평균 29.0kg으로서 26%의 증수를 실증하였다. 2) 지도농가의 3등견 이상의 고치는 춘잠기 77.1%, 추잠기 83.7%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14.3%, 11.3%가 많았다. 3) 지도농가의 지도후년도의 상자당 수견중은 춘잠기 31.2kg, 추잠기 26.9kg, 연평균 28.9kg으로서 대조농가보다 각각 3%. 16%, 8%가 증수되였으므로 이는 기술지도의 잔류효과로 인정하였다. 4) 기술수준에 따른 잔류효과는 기술수준 상위농가는 0% 하위농가는 19%이었다. 4. 상엽질의 계절적 변화추이 1) 장잠기 상엽을 주재로 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하>추≒> 초추의 순으로 우수했다. 2) 치잠기 상엽을 주재로한 인공사료육의 결과는 춘, 만추, 추, 하, 초추 순위의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5. 하추잠작 흉작 요인시험 1) 초추잠 (1) 치잠기의 고온은 생존율과 수견량을 크게 감소케 한 요인이 었으며, (2) 장잠기의 온도는 고온순으로 생존율, 수견량 및 견질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장잠기의 적온유대가 양과 질의 양면에서 중요함이 인정되었다. (3) 치잠기 연엽과 경엽은 단견중을 다소 가볍게 하고 경과일수를 크게 연장케 하였으나 생존률, 수견량 및 견층중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장잠기의 경엽은 수량과 특히 견질을 크게 저해 하였으나 연엽, 경엽 모두 생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5) 장잠기 온도를 변온으로 하였을 경우 치잠기 온도도 변온으로 한 것이 유리한 경향을 보였는바 평강한 문제는 금후 검토되어져야 할 것이다. 2)하 잠 (1) 치잠기의 고온은 수견량과 단견중을 크게 감소케하였으며 다음으로 생존율을 저해하였다. (2) 장잠기의 고온은 수견량, 생존율 및 견질을 크게 저해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