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ine

검색결과 776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s of varying the dietary valine : lysine ratios on the performance of lactating sows and their litters

  • Palanisamy, Thanapal;Liang, Xiangxue;Kim, In 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377-385
    • /
    • 2021
  • A total of 18 sow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BW) of 211.6 kg (within 24 h after farrowing) were used for a 5-week experimen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dietary valine : lysine (V : L) ratios on the performance and fecal score in lactating sows and litters. Sows were raised in individual pens and assigned to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s consisting of different V : L ratios (0.83, 0.85, and 0.88%). Sows BW was improved with the 0.85% V : L ratio compared to the 0.83 and 0.88%.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BW loss, average daily feed intake, back fat thickness and days to return to estrus among the three treatment group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Furthermore, the growth performance of the piglets, the weaning weight, was improved in the group receiving the diet with the 0.85% V : L ratio compared to the 0.83 and 0.88%. Moreover, the average daily gain of the piglets was increased when the V : L ratio was 0.88% compared to 0.83 and 0.85%. The fecal score of the sows was better (p > 0.05) when the V : L ratio was 0.85% compared to the V : L ratio of 0.83%. In the piglets, the V : L ratios 0.88 and 0.85% had a better fecal score compared to the V : L ratio of 0.83% at day 14. In conclusion, the V : L ratio had no effect on the gut microflora shown by the fecal scores of the sows during lactation.

Determination of optimal dietary valine concentrations for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d innate immunity of juvenile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 Daehyun Ko;Chorong Lee;Kyeong-Jun L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171-179
    • /
    • 2024
  •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dietary valine (Val) requirement for Pacific white shrimp (Penaeus vannamei). Five isonitrogenous (353 g/kg) and isocaloric (4.08 kcal/g)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graded levels of Val (2.7, 5.1, 8.7, 12.1 or 16.0 g/kg) were formulated. Quadruplicate groups of 12 shrimp (average body weight: 0.46 ± 0.00 g)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2%-5% of total body weight) for 8 weeks. Maximum weight gain was observed in 8.7 g/kg Val group. However, the growth performance was reduced when Val concentration in diets were higher than 12.1 g/kg. Feed conversion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2.7 and 16.0 g/kg Val inclusion. Shrimp fed the diets containing 2.7 g/kg Val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otein efficiency ratio, whole-body crude protein and Val concentrations. Dietary inclusion of Val significantly improved the relative express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and immune-related genes (prophenoloxidase, lysozyme and crustin) in the hepatopancreas and 8.7 g/kg Val group showed highest expression among all the groups. The dietary requirement of Val for maximum growth of juvenile P. vannamei, estimated using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on growth, was 9.54 g/kg of Val (27.2 g/kg based on protein level) and maximum growth occurred at 9.27 g/kg of Val (26.2 g/kg based on protein level) based on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Monosodium Glutamate와 숙성온도 변화가 김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and Temperature Change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Kimchi)

  • 이예경;이명예;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99-404
    • /
    • 2004
  • 김치의 숙성 시 무첨가(C-I, C-II) 및 MSG 첨가(M-I, M-II)와 숙성 방법으로 2$0^{\circ}C$에서 2일간 숙성시킨 후 1$0^{\circ}C$에서 5일간 숙성한 경우(C-I, M-I)와 1$0^{\circ}C$에서 7일간 숙성한 경우(C-II, M-II)로 구분하여 pH, 산도 총균수와 젖산균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측정과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pH와 산도로 평가한 김치의 숙성은 MSG첨가가 무첨가보다, 1$0^{\circ}C$숙성김치가 온도변화구보다 숙성이 지연되었다. 총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높아 MSG첨가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C-I김치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homocystine, valine 및 ser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33%를 차지하였다. C-II 김치에서는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이 C-I에서보다 높음과 동시에 특히 g1utamic acid와 ornithine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M-I김치에서는 homocystine, alanine, asparagine, valine 및 proline이 주 아미노산으로 total의 50%를 차지하였으며, M-II 김치에서는 glutamic acid, alanine, hydroxyproline, asparagine, homocystine, ornithine, valine 및 proline으로 total의 36%를 차지하였고, M-I 비하여 특히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및 ornithine의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MSG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낮았으며 2$0^{\circ}C$ 숙성 후 1$0^{\circ}C$로 옮긴 경우는 계속 1$0^{\circ}C$에서 숙성시킨 경우보다 숙성지연 효과가 낮았다. 아삭아삭한 맛은 산미의 결과와 반대로 온도변화구보다 저온구에서 MSG첨 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높았다. 맛난 맛과 종합적인 맛은 M-I이 C-1보다. M-II보다 C-II에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김치의 숙성 시 상온에서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저온으로 옮겨 숙성 시키는 방법은 저온에서의 숙성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SG첨가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존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전어 내장(內臟)젓 의 맛성분(成分) (The Taste Compounds in Fermented Entrails of Clupanodon Osdeckii)

  • 정승용;김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2
    • /
    • 1980
  • 젓갈은 전통(傳統)있는 수산발효식품(水産醱酵食品)으로서 옛부터 즐겨 먹어온 우리나라 고유(固有)의 기호식품(嗜好食品)으로 널리 애용(愛用)되고 있으나 이들에 관(關)한 상세(詳細)한 연구(硏究)는 많지 않다. 본(本) 연구(硏究)는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을 밝히기 위해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betaine, TMAO 및 TMA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전어내장(內臟)젓 숙성(熟成)중 ATP, ADP, AMP 및 IMP는 감소(減少)하고 반면 hypoxanthine은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7.2u mole/g으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2배(倍)나 증가(增加)하였다. 원료(原料)의 유리(遊離)아미노산조성(酸組成)을 보면 함량(含量)이 많은 것은 lysine, glutamic acid, valine, alanine, serine이며 함량(含量)이 적은 것은 arginine, phenyl-alanine, tyrosine이었고 cysteine 및 proline은 흔적량(痕迹量)에 불과(不過)하였다. 젓갈 숙성(熟成) 중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양적(量的)인 변화(變化)는 있었으나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고 대부분(大部分) 원료(原料)에 많았던 lysine, valine, glutamic acid, serine methio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젓갈중에도 함량(含量)이 많았으며 엑스분질소(分窒素)에 대한 유리(遊離)아미노산질소(酸窒素)의 비율(比率)은 50일간(日間) 숙성(熟成)시킨 젓갈이 가장 높았다. betaine은 젓갈의 숙성(熟成)과 더불어 계속해서 증가(增加)하여 숙성(熟成) 50일(日) 후에는 14.5mg%로서 원료(原料)에 비(比)하여 약(約) 4.5배(倍) 증가(增加)하였다. TMAO는 성숙(成熟) 50일(日) 후에 17.1mg%, TMA는 56.0mg%였다.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성분(成分)으로서는 함량(含量)이 많은 lysine, valine, glutamic acid, leucine, methionine, serine, alanine, arginine 등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과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로서는 hypoxanthine 등이 식염(食鹽)의 짠맛과 조합(組合)되어 전어내장(內臟)젓의 맛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고 추정(推定)된다.

  • PDF

탱자 과피와 과육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in Peel and Flesh of Trifoliate Oranges(Poncirus trifoliata))

  • 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2-346
    • /
    • 2004
  • 탱자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을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완숙한 과실을 수확하여 껍질과 육질의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총당, 비타민 C,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탱자의 조단백질 함량은 과피에서 5.15$\%$, 과육에서 3.31$\%$를, 조지방은 과피에서 3.82$\%$,과육에서 6.65$\%$를, 조회분은 과피에서 2.62$\%$, 과육에서 2.09$\%$를 각각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과피에서 4.70mg$\%$, 과육에서 70.93 mg$\%$를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확인되었고 각 성분 및 전체 양이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약 2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및 ox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함량은 과피보다 과육에서 3.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과피에서는 aspartic acid, histidine, tyrosine, arginine, valine, lysine, ammonia, cysteine, ala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등이 검출되었고, 과육에서는 Iysine, valine, ammonia, arginine, tyrosine, isoleucine, methionine,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등이 검출되었다.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分解酵素) 첨가시(添加時) 우육(牛肉)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Papain처리(處理)에 의한 우육(牛肉)의 유리(遊離) Amino Acid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Ripening of Beef at Adding the Proteolytic Enzyme I. Changes of Free Amino Acid in Beef According to the Papain Addition)

  • 윤정의;오석흔;황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73
  • 한우(韓牛)의 사태근육에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해서 유리(遊離) amino acid를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로 분석(分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사태근육에서 유리(遊離) amino acid 의 함량(含量)은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glycine, histidine, leucine, threonine, arginine, cystine, serine, prol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methionine, aspartic acid, valine 의 순서(順序)로 함유(含有)되었다. 2) 효소(酵素)를 0.01%, 0.05%, 0.1%로 첨가(添加)함에 따라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의 9개(個) 유리(遊離) amino acid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3) Proline, histidine 은 control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이다가 0.01%의 효소첨가(酵素添加)에서 감소(減少)된후 효소량(酵素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유리(遊離) amino acid 의 량(量)이 증가(增加)되었다. 4)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은 0.05%의 효소첨가(酵素添加)까지 증가(增加)하다가 0.1%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육(肉) 조리시(調理時) 효소(酵素)의 첨가량(添加量)은 육중량(肉重量)의 0.05%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다.

  • PDF

밀 단백 효소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Gluten Hydrolysate with Asp. saitoi Protease)

  • 이상덕;주정현;이규희;이기택;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45-751
    • /
    • 2003
  • 밀 단백질에 효소가수 분해할 때 생산되는 peptide의 항균활성과 천연항균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밀 단백질에 7종의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작용시켜 생성된 가수분해물의 항균활성을 측정하고 한외여과, membrane filtration, HPLC를 이용하여 항균성 peptide를 분리 정제한 후 분자량과 아미노산 결합순서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밀 단백질에 7종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적용시켜 제조한 가수분해물중 Asp. saito protease를 적용시켜 얻어진 peptide만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Asp. saito protease는 37$^{\circ}C$, pH 6.0에서 작용시킨 경우에 항균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5$0^{\circ}C$ 이상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밀단백 효소가수분해물은 membrane filtration에 의하여 분자량 1,000~3,000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Membrane filtration으로 얻어진 항균활성분획을 HPLC로 분리한 결과 retention time 31.1~31.8 min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밀단백 효소가수분해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하여도 효소활성이 유지되는 매우 안정한 화합물이었다. 항균활성분획을 MALDI-mass로 질량을 분석한 결과 1,633이었다. 항균성 peptide의 아미노산 결합순서는 cysteine, glycine, prolin, valine, valine, alanine, alanine, arginine의 순서였다.

Comparative Genomic and Genetic Functional Analysis of Industrial L-Leucine- and L-Valine-Producing Corynebacterium glutamicum Strains

  • Ma, Yuechao;Chen, Qixin;Cui, Yi;Du, Lihong;Shi, Tuo;Xu, Qingyang;Ma, Qian;Xie, Xixian;Chen, Ni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1호
    • /
    • pp.1916-1927
    • /
    • 2018
  • Corynebacterium glutamicum is an excellent platform for the production of amino acids, and is widely used in the fermentation industry. Most industrial strains are traditionally obtained by repeated processes of random mutation and selection, but the genotype of these strains is often unclear owing to the absence of genomic information. As such,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growth and amino acid production of these strains via metabolic engineering. In this study, we generated a complete genome map of an industrial L-valine-producing strain, C. glutamicum XV. In order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s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core genome, structural variations, and gene mutations referring to an industrial L-leucine-producing strain, C. glutamicum CP, and the widely used C. glutamicum ATCC 13032. The results indicate that a 36,349 bp repeat sequence in the CP genome contained an additional copy each of lrp and brnFE genes, which benefited the export of L-leucine. However, in XV, the kgd and panB genes were disrupted by nucleotide insertion, which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precursors to synthesize L-valine. Moreover, the specific amino acid substitutions in key enzymes increased their activities. Additionally, a novel strategy is proposed to remodel central carbon metabolism and reduce pyruvate consumption without having a negative impact on cell growth by introducing the CP-derived mutant $H^+$/citrate symporter. These results further our understanding regarding the metabolic networks in these strains and help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different genotypes on these processes.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

능이버섯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onal Components of Mushroom(Sarcodon aspratus))

  • 이숙희;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5-69
    • /
    • 2003
  • 본 연구는 능이버섯의 식품영양학적 및 기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서 영양 성분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능이버섯의 일반성분은 수분 89.93%, 회분 1.18%, 조단백질 3.67%, 조지방 0.96%, 탄수화물 4.26%로 나타내었다. 능이버섯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trehalose, xylose 로 구성되어 있었고, trehal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능이버섯의 총아미노산의 함량은 796.85mg/100g-fr.wt.이었고,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300.77mg/100g-fr.wt.으로 valine, leucine, threonine, Iysine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은 486.08mg/100g-fr.wt.으로 alanine, glyc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등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중에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24.95, 138.52mg/100g-fr.wt.이며, methionine, Iysine, valine, arginine, Aspartic acid, tyrosine 등의 함량이 높았다. 능이버섯에 존재하는 유리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은 46.81 mg/100g-fr.wt.이었고, omithine, sarcosine, $\beta$-alanine, phosphoserine의 함량이 비교적 높았다. 능이버섯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5.43 mg/100g이었고, 환원형과 산화형 비타민 C는 각각 3.50과1.93mg/100g이었고, 무기질 함량은 K, Na이 매우 높았고, 이들 함량은 각각 375.73, 61.82mg/100g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