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192초

토양수분함량이 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Content on the Growth of Korean Valeria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이종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1-83
    • /
    • 1995
  • 토양수분함량의 차이가 쥐오줌풀의 지하부생육 및 뿌리의 엑스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광룽쥐오줌풀 (Valeriana jauriei var. dasycarpa HARA)을 사용하여 토양수분을 최대용수량의 30, 45, 55, 70, 70 및 90%로 조절하여 pot시험으로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엽장 및 엽폭은 토양수분함량이 증가 할수록 미미한 증가를 보였으나 엽병장 및 근장은 80%까지 토양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2. 토양수분함량과 근수량 및 근의 엑스함량간에는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쥐오줌풀의 생육의 최적수분함량은 최대용 수량의 $80{\sim}90%$ 였다.

  • PDF

광릉쥐오줌풀의 산지별 정유성분 비교 (Difference of Essential Oil in Korean Valerian Root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Grown at Various Locality in Korea)

  • 이종철;김영희
    • 생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5-178
    • /
    • 1995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ultivation area with different sea levels on essential oil in the root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Valerianaceae). The total content of the essential oil was not different in various cultivation area, however, its composition varied. The major components were bornyl acetate and sesquiterpene alcohol in three cultivation areas. Among the valepotrate components known as major active components in Europe and Nepal valerian, valtrate was detected in a small amount, but the quantity was not changed.

  • PDF

Comparison of Valerenic Acids and Valepotriates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ulture Conditions for Cultured Roots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Li, Mei-Yang;Ahn, Jun-Cheul;Kim, Kwang-Soo;Kim, Ok-Tae;Park, Yoon-Jung;Hwang, Bai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1-106
    • /
    • 2006
  • We established a practical method for rapid and large-scale production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roots by bioreactor culture and confirmed valerenic acids and valepotriates production. We also compared valerenic acids and valepotriates production patterns according to various media conditions. Among the media tested, B5 medium gave the maximum biomass production of 101 g fresh weight, which was a 5.03-fold multiplication rate obtained 4 weeks after inoculation of 20 g of fresh weight. The best production of total valerenic acids $(7.86\;mg/l)$ and valepotriates $(8.96\;mg/l)$ was B5 medium.

온도가 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Growth of Korean Valeria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이종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7-80
    • /
    • 1995
  • 한국산 광릉쥐오줌풀에 대한 광합성 및 호흡특성과 아울러 광합성의 일중(日中)변화와 이와 관련된 특성 및 생육상황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던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도와 쥐오줌풀 잎의 광합성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2차곡선회귀가 인정되었으며, 이 회귀식에 의해 산출한 최대광합성을 위한 은도는 $17.7^{\circ}C$이었다. 2. 쥐오줌풀 잎의 기공수는 잎의 표면에서 약 $25/mm^2$, 이면에서 $85mm^2$이었으며 기공의 크기는 $21{\sim}30/{\mu}m$로 나타났다. 3. 온도와 쥐오줌풀의 엽폭 및 근중간에는 각각 고도로 유의한 2차곡선회귀가 인정되었으며 이 회귀식에 의해 산출한 근생장(根生長)의 최적온도는 약 $20.3^{\circ}C$이었다.

  • PDF

한국산 쥐오줌풀(Vai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의 정유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ssential Oil of Korean Valerian Root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김용태;박준영;김영회;김근수;장희진;권영주;이종철;최영현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6-78
    • /
    • 1992
  • The essential oil of Korean valerian root ( Valeriana fauriei roar. dasycarpa Hara) was isol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Sl extraction. The oil content of fresh root was 0.7% (wb) and that of dried root was 2.1 5 (db) and sensory analysis of the oil indicated sweet-balsamic, woody and floral characteristic aroma notes. The oil was fractionated into one hydrocarbon fraction and three oxygenated hydrocarbon fractions by using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y. Each fraction was analyzed by capillary GC and GC-MS. Out of 81 characterized compounds, the major compounds were a-pinene, camphene, $\beta$-pinene, bornyl acetate, borneol , bornyl iso-valerate and sesquiphellandrene and the characteristic floral and woody aroma of neutral fraction of Korean valerian root could be due to be the presence of oxygenated compounds such as borneol, bornyl acetate, bornyl iso-valerate, p-ionone ana $\beta$-ionone epoxide. Comparing the yield of Korean valerian root with those from other origins reported, oil content of Korean valerian root was higher than those of European and Indian origins.

  • PDF

한국산 쥐오줌풀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from Korean Valerian Roots)

  • 김삼곤;김근수;김용하;이운철;안대진;김영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0-86
    • /
    • 2003
  • The contents of valepotriates, valerenic acid and their derivatives as mild sedative and antispamodic principles in two Korean valerian roots (Valeriana officinalis var. latifolia Miq. and V. fauriei var. dasycarpa Hara) were investigat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in European valerian roots(Valeriana officinalis L.) by BPLC method. Among valepotriate compounds, valtrate was detected as a small amount in two Korean valerian roots, and iso-valtrate and dihydrovaltrate were detected as a trace amount. Among valerenic acid and their derivatives, valerenic acid were contained from 0.9∼3.46 mg/g base on dry weight. Over the vegetation periods investigated, the content of valepotriates remained more or less constant, hut the content of valerenic acid reached its maximum in 3-year old age. The compound isolated from Korean V. officinalis var. latifolia was elucidated as valerenic acid by spectroscopic data such as GC-MS, $^1$H-NMR and $^{13}$ C-NMR, and comparison of GC retention time with that of authentic compound.

한국산 쥐오줌풀의 지방산, 무기성분 및 유기산 조성 (Compositions of Fatty Acids, Inorganic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Acids in Korean Valerian Roots)

  • 최영현;조장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62-167
    • /
    • 1994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광릉쥐오줌풀 및 넓은잎 쥐오줌풀의 지하부에서 지방산, 무기성분 및 휘발성 유기산의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릉 및 넓은잎 쥐오줌플의 조지방질 함량은 $3.7{\sim}4.5%$ 범위 이었고 지방산은 총11종이 동정되었는데 그중 특히 양적으로 많이 함유되어있는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및 palmitic acid 등은 산지에 따라 함량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2. 희분함량은 $4.3{\sim}6.3%$ 이었고 무기성분중 많이 검출된 성분으로는 조규소$(SiO_2)$를 위시하여 K, Na, Ca, Mg, Al, Fe, Mn, Zn등 이었으며, Na, Fe, Zn 및 Cu 는 산지에 따라 함량차이가 큰 경향을 보였다. 3. 광릉 쥐오줌풀로 부터 분리한 산성분획으로 부터 40종의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dimethoxy-2-propenoic acid, 3, 4-dimethoxy benzoic acid, 4-methoxy phenyl-2-propenoic acid 이외에도 3-methyl butanoic acid(isovaleric acid), 3-methyl pentanoic acid, 2-methyl butanoic acid 등 branched-chain fatty acid 류가 양적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 PDF

한국산 쥐오줌풀의 생육, 수량 및 정유성분 조성에 미치는 시비량의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Rates on Growth, Root Yield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Korean Valeria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조장환;한옥규;최영현;윤승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814-820
    • /
    • 1997
  • 국내 자생종인 광릉쥐오줌풀의 재배법을 구명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무처리, 6, 9, 12kg/10a 등 4수준으로 처리하여 생육 및 뿌리 수량을 조사하고 정유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쥐오줌풀의 생육 및 뿌리 수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고, 비료효율은 질소 > 칼리 > 인산 순이었다. 2. 추출물 및 정유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103당 9kg 시용한 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외 처리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3. 정유성분 조성은 시비량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주요 성분의 조성은 대체적으로 각 비료당 9kg/10a시비수준에서 높았고, 그 이상 시용량이 증가되면 감소되었다.

  • PDF

쥐오줌풀 부정근으로부터 valepotriates와 valerenic acid 생산에 미치는 elicitor의 효과 (Effect of Elicitors on the Production of Valepotriates and Valerenic Acid in the Adventitious Roots of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 김홍실;김미란;이미양;박형재;남승현;황백;황성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1-245
    • /
    • 2007
  • 쥐오줌풀 부정근으로부터 valepotriates와 valerenic acids 함량을 증진시키고자 다양한 elicitor를 처리하였다. 쥐오줌풀 부정근의 생장은 YE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그러나 valepotriates와 valerenic acids 생산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특히, valepotriates는 $100\;{\mu}M$ MeJA 처리구에서 $12.56\;{\pm}\;0.78\;mg/{\ell}$, valerenic acids는 1 $g/{\ell}$ YE 처리구에서 $10.63\;{\pm}\;1.1\;mg/{\ell}$ 로 가장 높았으며, 이는 대조구에 비해 1.6배와 1.8배의 생산성증가를 가져왔다.

광릉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네팔산쥐오줌풀의 정유성분(精油成分)차이 (Differences of Essential Oil Content i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V. officinalis var lalfolia Miq and V. wallichii DC)

  • 최영현;김영회;이종철;조정환;김충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7-22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식물자원(植輪資源)을 발굴(發掘)하여 약용(藥用) 또는 향료자원(香料資源)으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국내(國內)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쥐오줌풀 중 광릉쥐오줌풀 및 넓은잎쥐오줌풀과 세계시장에서 유통(流通)되고 있는 네팔산(産) 쥐오줌풀과의 유효성분(有效成分) 차리(差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정유성분(精油成分) 함량(含量)은 광증릉쥐오줌풀이 1.7%, 넓은잎쥐오줌풀과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각각 0. 82% 및 0. 83% 이었다. GC 및 GC-MS 분석에 의해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 47종(種), 넓은쥐오줌풀에서는 21종(種)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25종(種)의 성분(成分)을 동정하였다. 확인된 성분들 증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는 bornyl acetate(전체(全體) 정유(精油)의 33, 8%), camphene (10. 8%), cedrol (4. 1%) , ${\alpha}-pinene$(3. 2%), 분자양(分子量) 222의sesquiterpene alcohol(3%)이 주성분(主成分)이었고 넓은잎쥐오줌풀에서는 borneol (62. 5%), ${\beta}-sesquiphellandrene$(6.8%) , spathulenol (2. 1%)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borneol(74.3%), {\alpha}-elemene(2. 7%)$${\beta}-sesquiphellandrene$(2.3%)이 주성분(主成分)이었다. 쥐오 줌풀의 약리효능(藥理效能)의 원인물질(原因物質)들 중 valeranone, valrrenal, $[\alpha}-kessyl\;acetate$는 넓은잎쥐오줌풀이나 네팔산(産) 쥐오줌풀보다는 광릉쥐오줌풀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kessoglycol diacetate는 세 시료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Valepotriate계열(系列) 화합물의 함량(含量)은 네팔산(産) 쥐오줌풀이 광릉쥐오줌풀이나 넓은잎쥐오줌풀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광릉쥐오줌풀은 넓은잎쥐오줌풀에 비해 항산화첨성(抗酸化添性)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