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ITOR CROWD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옥외휴양공간에서의 사회적 수용능력연구: 국립공원에서의 혼잡지각의 경로모형 분석 (A Study on Social Carrying Capacity in Outdoor Recreation Setting: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Perceived Crowding Path Model in National Park)

  • 박청인
    • KIEAE Journal
    • /
    • 제5권1호
    • /
    • pp.35-42
    • /
    • 2005
  • The primary concerns of recreation plan are to provide visitors with quality of recreational experience and to protect of recreation resources. The quality of recreational experience is often defined in terms of social carrying capacity. The carrying capacity is revealed as perceived crowding. In this respects, measuring perceived crowding is useful tool of social carrying capacity determination. This study is to te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includes variables affecting perceived crowding. Through an on-site questionnaire survey, 467 visitors on Naejangsan national park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s. The encounter level on facility area is higher evaluated as crowding factor than other area in the park. It can be concluded that visitor perceived crowding when facility area situates high density use level rather than other areas expose high density use level. In the path analysis, the input variables(attitude, experience, encounter level)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ffect significantly on perceived crowding. Especially, the attitude on the park management polocy is the most affecting factor on perceived crowding.

자연공원의 사회적 수용능력 분석 - 국립공원과 도립공원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f Social Carrying Capacity in Natural Park)

  • 배민기;장병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9-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causal model determining social carrying capacity(SCC) in natural park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is the mechanism for determining SCC in natural parks (NP)\ulcorn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on SCC and recreation activities in Korean natural parks, we constructed a conceptual framework and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obtained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which surveyed 487 visitors at 6 of the 73 NP in Korea during 2001, based on a stratified sampling method. We analyzed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s, the mean differenc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ethod. We found that 1) The direct effect of resources, activity space(AS), visitor's expectation(VE), encounter, crowding, damage of resources(DR), maintenance condition of resources and facility(MCRF) to SCC are 3.45, 3.62, 2.75, 2.72, 1.32, and 4.77 time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crowding, respectively, while the indirect effect of resources, AS, VE, encounter, and DR to SCC is 13.03, 11.19, 3.34, 1.3, 2.05, 1.10, 0.05 and 2.30 times more important then that of crowding, respectively, 2) Causal effects of resources, facility, AS, VE, number of visitors(NV), encounter, crowding, VM, DR, and MCRF to SCC turned out to have 0.3523, 0.3321, 0.1751, 0.1465, 0.0307, 0.0762, 0.0604, -0.0510, -0.1177 and 0.2165, respectively, and 3) The causal effect of activity base(AB) and activity atmosphere(AA) to SCC turned out to have 2.57 and 1.1 times higher than that of MCRF, respectivel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1) this conceptual framework is highl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ubstantive theory and methodology; 2) management issues of AA and MCRF turned out to have 0.81 times in SCC that of AB, i.e, SCC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from control of AA and MCRF; and 3) supply of excellent resources and convenient facilities is needed to increase social carrying capacity. It is recommended that more empirical studies be performed in the future according to the season, visitor characteristics, and AS by NP.

휴양환경 이용수준에 대한 방문객의 적응 및 대응행동 - 북한산 국립공원 소귀천 탐방로를 대상으로 - (Visitor Adjustment and Coping Behavior for Use Level in a Recreational Setting - A Case Study of Bukhansan National park -)

  • 허학영;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38-46
    • /
    • 2003
  • Perceived crowding is known as a necessary method to evaluate social carrying capacity in recreational settings.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perceived crowding, use density, and satisfaction have shown weak and indirect correlations. The theory of visitors’ adjustment is one of several possible explanations for this poor relation. But the validity of the visitors’ adjustment theory has not been not inspected clearl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visitors’ adjustment theory and to examine visitors’ adjustment to the overuse of recreational settings. Study hypotheses were formul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lated to visitors’ adjustment in recreation density. Pour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inspected with the case study, i.e., Rationalization : Visitors’ satisfaction isn't related to use density in recreation setting, 2) Product-shift : Preference norm is related to current use density, 3) Self-selection : Visitors’ satisfaction for the use level is generally high, and 4) Displacement : Norm interference is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during May and June,2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urvey, visitors adjust to overuse of recreation setting through rationalization and product shift (hypotheses l/2 acceptance). Current use density isn't related to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3). And visitors’ preference norm is modified by situation (see table 4). Visitor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don't show a high correlation but moderately high (see table 5, hypothesis 3 acceptance). Differences between visitors’ preference norm and current use density is norm interference. Norm interference isn't related to willingness to revisit (see table 7). Therefore, the norm interference concept is not a useful method to explain visitors’ adjustment to the degree of overuse in a recreational setting (hypothesis 4 rejection). As for future directions, the following are proposed: 1) correctly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the visitor norm and norm interference concept, 2) introducing a composite research method to monitor visitors’ behavior and survey visitors’ attitudes and coping responses. These efforts would be helpful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of recreational sett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itors’ experiences.

VERP 모델을 이용한 한라산국립공원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he Carrying Capacity Indicator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VERP model in Hallasan National Park)

  • 권헌교;신원섭;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08-516
    • /
    • 2010
  • 2007년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 후 한라산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적정 이용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의 적정 수용력 관리에 필요한 영향지표 및 평가기준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8개의 영향지표(계곡수질, 탐방객 수, 탐방로 훼손정도, 혼잡 등)를 선정하였으며, 각 영향지표별 현지 조사를 통해 실험적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VERP 모델을 이용한 수용력 지표관리프로그램은 자원 및 탐방행태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국립공원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또한, 통합 데이터 관리 및 활용으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업무수행을 지원한다.

국립공원(國立公園) 입장료(入場料) 폐지(廢止)에 따른 국립공원(國立公園) 관리정책(管理政策) 수립(樹立) 방안(方案) (Establishment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with Elimination of Entrance Fee)

  • 이주희;배민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96-1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장료 폐지가 국립공원의 탐방만족도 및 휴양자원, 공원시설, 교통, 탐방서비스, 탐방정보, 탐방분위기라는 국립공원의 관리부문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국립공원 관리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6년 가을 가야산 국립공원 탐방객 3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기술적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72.6%가 찬성하였다. 2) 입장료가 폐지되면 자연훼손과 쓰레기 투기 등 탐방분위기가 가장 많이 나빠질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상업 숙박시설, 특산품 판매, 축제, 탐방정보 제공은 입장료 폐지 후 개선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응답자들은 입장료가 폐지됨에 따라 탐방만족도가 상당히 저하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탐방만족도 저하에 가장 기여도가 큰 변수는 탐방분위기 변화수준이며, 가장 영향력이 작은 변수는 휴양자원 변화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입장료 폐지 후 국립공원 관리정책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계룡산국립공원에서의 이용객 형태와 이용 및 관리속성에 대한 이용객 태도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o Park Use and Management Attributes in Kye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김동필;김용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24-331
    • /
    • 2001
  •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객들의 전반적이 이용형태, 이용만족도, 그리고 이용 및 관리 관련 속성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서 효율적인 공원관리방안 수립에 필요한 기초 정보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응답자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계룔산국립공원의 3개지역 (동학사. 갑사, 신원사)를 방문한 316명의 이용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응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은 타국립공원에서 실시된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계룡산국립공원은 휴식 목적의 방문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동반자 유형에 있어서 가족동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도착지에서의 이용정보의 질과 제공수단에 불만족을 나타냈으며 응답자들이 현지에서 느낀 혼잡의 정도는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전반적인 휴양만족도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 PDF

속리산 국립공원의 이용객 및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User and Use Characteristics of Soknisan National Park, Korea)

  • 공영호;김재현;최진호;손철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9-88
    • /
    • 1990
  • 본 연구는 속리산 국립 공원의 이용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의 제시를 목적으로 이용객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방문동기, 시설 및 서어비스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여 현재의 이용객 및 이용특성을 경험적으로 정의하고, 시간적, 공간적 이용량 분포를 조사분석하여 속리산국립공원의 이용분포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속리산국립 공원을 찾는 방문객들은 혼잡한 도시에서의 탈출,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자연과의 접촉을 가지려는 동기로써 방문하며, 공원내에서 주로 사찰방문, 산책, 등산 등의 활동을 하였다. 이용객들은 비교적 규모가 큰 단체로 이용하고 있었으며, 20대의 고졸이상 학력 자들의 비율이 높았다. 속리산지역은 법주사 일대, 화양동 계곡 등 일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많은 사람이 몰리어 혼잡상태가 심각하며, 등산로도 매우 단조로워서 등산로에서의 혼잡도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원내에서는 보통 5~6시간 정도 머무는 경우가 많고, 이용객들의 태도를 볼 때, 등산로 상태, 공원내 시설물, 교육적 환경, 관리인의 서어비스 등 모든 면에서 불만의 소리가 높았으며, 이용 후 만족수준도 높지 않았다. 통행량의 분포를 보면, 주로 법주사 일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물리고 있으며, 문장대까지 등산하는 비율은 전체 입장객의 15% 미만이었다.

  • PDF

방문객 유형별 이용객수에 대한 규범적 평가기준, 혼잡지각과 치유경험방해 지각: '장성 편백치유의 숲'의 '치유필드'를 대상으로 (Normative Standards on Number of Users, Perceived Conflict, and 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by Types of Visitors at 'Healing Field' of '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 김상오;김상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1-243
    • /
    • 2018
  • 본 연구는 방문객 유형별로 장성 편백치유의 숲(Jangseong Pyunbaek Healing Forest: JPHF) 내 '치유필드'의 이용객수에 대한 지각(perceived number of users: PNU)과 이용객수에 대한 평가기준(evaluative standards)을 설정,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2017년 9월 중 JPHF 내 '치유필드' 이용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8명의 표본으로부터 설문지기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유필드 방문객 중 휴양객(일반 휴양을 목적으로 한 방문객)은 49.3%, 치유객(건강 및 치유를 목적으로 한 방문객) 15.3%, 휴치객(휴양과 치유를 동일정도로 추구하는 방문객) 35.3%로 구성되어 있었다. 응답자가 지각하는 치유필드 이용객수는 전체적으로는 평균 23.8명(중앙값: 20.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평균범위는 21.1-27.8명(중앙값: 20.0명 동일)으로 조사되었다. 응답자의 PNU는 혼잡지각(perceived crowding: PC)(r=0.23) 및 치유경험 방해 지각(perceived interference of healing experience: PIHE) (r=0.20)과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방문객 유형 간에 치유필드 적정이용객수(optimal number of users: ONU)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으로 적정이용객수는 평균 28.9명(중앙값: 25.0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 적정이용객수 범위는 평균 25.4-31.4명(중앙값: 25.0-27.5명)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최대 허용가능 이용객수(maximum acceptable number of users: MANU)는 전체적으로 38.1명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양객 36.9명, 치유객 32.0명, 휴치객 38.0명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방문객 유형별로는 MANU에 차이가 없었다. 응답자의 PC는 평균 2.73(SD: 3.26, 9점 척도), PIHE는 평균 3.26(SD: 1.77, 9점 척도)으로 나타났으며 방문객 유형별로는 휴치객이 휴양객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PC와 PIHE를 보였다. PNU가 ONU를 초과한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높은 PC와 PIHE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리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에 대하여 토의하였다.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s of Local Festival Mobile Application and Data Analysis System Applying Beacon)

  • 김송이;김원표;정철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1권
    • /
    • pp.21-32
    • /
    • 2017
  • 지역축제는 문화를 형성하는 소통의 장으로 국내 관광 사업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지역의 이미지 창출, 전통 문화의 보존, 관광객 유입, 일자리 창출, 지역문화의 콘텐츠 개발, 지역특산품 판매 촉진 등 지역경제에 많은 파급효과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무선통신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 요소기술은 점차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특히 사물인터넷 서비스 중 하나인 비콘은 국내·외에서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디지털 및 모바일 기술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수 없이 많은 지역축제에 대한 정보를 개인이 하나하나 찾기란 쉽지 않고, 기존에 개발된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은 단순 정보전달 수준에 국한되어 있거나 일회성인 축제 정보제공, 축제장 내의 정보제공 방식, 개발 축제마다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형태제공, 단발성 사용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비콘을 활용한 위치기반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하여 축제 방문객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기술개발을 통해 '축제장 혼잡도 알고리즘', '방문객 통계분석 알고리즘', '맞춤형 정보 알고리즘'의 총 3개의 알고리즘 및 데이터분석 시스템을 개발했고, 개발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통해 실제 축제장에서 베타테스트를 실시했다. 그 결과, 방문객 행태 DB 구축, 지역축제 방문객에게 Hot place 기능, 대기시간 기능, 맞춤형 정보제공의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출시 3개월 간 1만 3천 건 이상의 다운로드 실적 달성, 구글플레이스토어에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 중 노출 1위를 달성하는 등 지역 관광 축제 플랫폼으로서의 시장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기술개발과 관련된 지역축제, 사물인터넷, 비콘 서비스, 축제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지역축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설계와 데이터 분석 시스템의 구현환경을 상세히 기술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분석 시스템이 제대로 적용되지는 실험하기 위해 베타테스를 실시하여 제품의 성능평가를 기술하고,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