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DISTRIBUTION

검색결과 2,022건 처리시간 0.034초

누출사고 방지를 위한 위험물 탱크의 기초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Foundation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Tank for Preventing Leakage Accidents)

  • 임종진;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96-100
    • /
    • 2020
  • 산업단지내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결함으로 인한 위험물질의 유출사고는 인근 지역의 대형 인명사고 및 대형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기초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위험물탱크 단지가 건설된 대표지반을 선정하여 3차원 모델링에 의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탱크 기초 유형을 4종류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탱크기초의 응력 및 침하량 크기와 분포 특성은 링월기초의 경우 옆판 직하부분이 탱크 중심부에 비해 40배 이상의 응력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침하영향범위는 수평방향으로 탱크 반경만큼, 수직방향으로 탱크 직경만큼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각 기초 유형별로 위험물 저장탱크의 설계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아데노신 3인산(ATP; Adenosine-5′ triphosphate)을 이용한 심해저 및 연안퇴적토의 총 미생물 생체량 측정 (Total Microbial Biomass Measured by ATP in Three Marine Sedimentary Environments)

  • 현정호;김경홍;권개경;이정현;이홍금;김상진;김기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9-126
    • /
    • 2002
  • 심해와 연안의 서로 다른 해양퇴적토 환경에서 ATP농도를 이용한 총 미생물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표층 ATP의 분포는 연안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육지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수직적으로는 깊이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 저층의 생태계가 수층으로 부터의 영양원 공급에 의해 일차적으로 조절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기물은 퇴적물로의 흡착으로 인해 환경 내 체류시간이 길어짐으로 인해, 유기탄소의 함량 변화가 ATP에 비해 급격히 일어나지 않았으며, 특히, 연안퇴적토의 경우 유기탄소의 함량 변화에 비해 ATP의 농도변화가 일정하게 나타나 두 변수간의 유의성 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해가능한 유기물의 공급이 많은 연안퇴적토의 경우, 영양원에 의한 조절보다는 상위영양단계의 포식활동이 미생물의 생체량을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 인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분포 특성 및 수직적 분포 특성으로부터 ATP는 서로 다른 저서 생태환경의 생체량 분석을 위한 일차적 인 도구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의 변화패턴 분석 (Analysis of Pattern Change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3-70
    • /
    • 2014
  •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실거래가자료를 이용하여 2006~2010년까지 5년간의 서울시 아파트실거래가 변화패턴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파트별 평균 실거래가, 동별 평균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위치정보자료와 연결하여 GIS데이터로 구축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먼저 공간보간기법 중 크리깅(kriging)을 이용하여 개별 아파트의 시기별/면적별 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였다. 둘째 행정구역(행정동)별 아파트실거래가의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단위 면적별 실거래가의 평균을 계산하여 Moran I 값으로 변환한 후 거래가격의 공간상의 군집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공간상의 분포패턴을 파악하고, 변화유형까지 유추할 수 있어 주택 및 지역정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시계열 자료를 바탕으로 종적인 변화패턴과 GIS를 이용한 횡적 변화패턴을 분석하기 때문에 아파트가격의 지역 불균형을 한눈에 살펴 볼 수 있다.

CMIP5 모델에 나타난 동아시아 여름몬순의 모의 성능평가와 미래변화 (Evaluation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Season Simulated in CMIP5 Models and the Future Change)

  • 권상훈;부경온;심성보;변영화
    • 대기
    • /
    • 제27권2호
    • /
    • pp.133-150
    • /
    • 2017
  • This study evaluates CMIP5 model performance on rainy season evolution in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Historical (1986~2005) simulation is analyzed using ensemble mean of CMIP5 19 models. Simulated rainfall amount is underestimated than the observed and onset and termination of rainy season are earlier in the simulation. Compared with evolution timing, duration of the rainy season is uncertain with large model spread. This area-averaged analysis results mix relative differences among the models. All model show similarity in the underestimated rainfall, but there are quite large difference in dynamic and thermodynamic processes. The model difference is shown in horizontal distribution analysis. BEST and WORST group is selected based on skill score. BEST shows better performance in northward movement of the rain band, summer monsoon domain. Especially, meridional gradient of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and low-level circulation for evolving frontal system is quite well captured in BEST. According to RCP8.5, CMIP5 projects earlier onset, delayed termination and longer duration of the rainy season with increasing rainfall amount at the end of 21st century. BEST and WORST shows similar projection for the rainy season evolution timing, meanwhile there are large discrepancy in thermodynamic structure. BEST and WORST in future projection are different in moisture flux, vertical structure of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and the subsequent unstable changes in the conditional instability.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한 동해 울릉분지 심해 퇴적물 내 고세균 군집 구조 및 다양성의 수직분포 특성연구 (Community Structure, Diversity,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Archaea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 the Deep Sea Sediment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 김보배;조혜연;현정호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309-319
    • /
    • 2010
  • To assess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archaea, a clone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an archaeal 16S rRNA gene was conducted at three sediment depths of the continental slope and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A total of 311 and 342 clones were sequenced at the slope and basin sites, respectively. Marine Group I, which is known as the ammonia oxidizers, appeared to predominate in the surface sediment of both sites (97.3% at slope, 88.5% at basin). In the anoxic subsurface sediment of the slope and basin, the predominant archaeal group differed noticeably. Marine Benthic Group B dominated in the subsurface sediment of the slope. Marine Benthic Group D and Miscellaneous Crenarchaeotal Group were the second largest archaeal group at 8-9 cm and 18-19 cm depth, respectively. Marine Benthic Group C of Crenarchaeota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by accounting for more than 60% of total clones in the subsurface sediments of the basin site. While archaeal groups that use metal oxide as an electron acceptor were relatively more abundant at the basin sites with manganese (Mn) oxide-enriched surface sediment, archaeal groups related to the sulfur cycle were more abundant in the sulfidogenic sediments of the slope. Overall results indicate that archaeal communities in the Ulleung Basin show clear spatial variation with depth and sites according to geochemical properties the sediment. Archaeal communities also seem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biogeochemical carbon (C), nitrogen (N), sulfur (S), and metal cycles at each site.

응력 및 변위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엽식 고분자 판막의 유한 요소 해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Monoleaflet Polymer to Minimize Stress and Displacement)

  • 한근조;안성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85-92
    • /
    • 1996
  • 병변이 있는 판막을 대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인공판막으로는 기계식 판막, 고분자 판막 등이 있는데 고분자 판막이 기계식보다 항혈전성이 우수하므로 폴리우레탄을 이용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다. 고분자 판막에는 단엽식, 삼엽식, 젤리피쉬식 등으로 제작되어 연구되고 있는데 이중 단엽식 판막은 제작이 가장 간편하고 심실내 씻김현상이 실제와 유사하며 혈류의 소용돌이 현상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혈압 강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분자 판막의 두께를 얇게 할때 판막이 프레임 위 정상접촉 위치로 부터 탈구현상이 발생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판막의 수직변위를 최소로 하는 지지대 최적위치를 구하고, 그때 판막 끝의 수평 변위 및 판막에서의 응력분포상태를 구한 결과 최적위치는 지지대에 의해 나눠지는 3영역의 폭이 각각 6.2mm, 4.7mm, 5.1mm 일때 이고, 그때 최대 처짐이 0.19mm, 수평 최대변위가 0.047mm 이고 최대 주응력이나 등가응력의 최대치는 판막이 지지대가 접착되는 부위와 비접착 부위의 불연속점에서 발생하여 이 값들은 판막 각 영역의 폭이 커지면 증가함을 알았다.

  • PDF

Spatial Patterns of Methane Oxidation and Methanotrophic Diversity in Landfill Cover Soils of Southern China

  • Chi, Zi-Fang;Lu, Wen-Jing;Wang, Hong-Ta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4호
    • /
    • pp.423-430
    • /
    • 2015
  • Aerobic CH4 oxidation is an important CH4 sink in landfill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community diversity of methanotrophs and link with soil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parameters (e.g., concentrations of O2, CH4), cover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depths from the Mengzi semi-aerobic landfill (SAL) in Yunnan Province of southern China. Specific PCR follow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realtime PCR were used to examine methanotrophs in the landfill cover soil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locations did harbor distinct methanotroph communities. Methanotrophs were more abundant in areas near the venting pipes because of the higher O2 concentrations. The depth of 20-25 cm, where the ratio of the CH4 to O2 was within the range from 1.3 to 8.6, was more conducive to the growth of CH4-oxidizing bacteria. Type II methanotrophs dominated in all samples compared with Type I methanotrophs, as evidenced by the high ratio of Type II to Type I methanotrophic copy numbers (from 1.76 to 11.60). The total copy numbers of methanotrophs detected were similar to other ecosystems, although the CH4 concentration was much higher in SAL cover soil. Methylobacter and Methylocystis were the most abundant Type I and Type II methanotrophs genera, respectively, in the Mengzi SAL. The results suggested that SALs could provide a special environment with both high concentrations of CH4 and O2 for methanotrophs, especially around the vertical venting pipes.

한국 통영 연안의 계절적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Tongyeong Coast, Korea)

  • 박미선;유현일;허진석;김영대;최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32-739
    • /
    • 2011
  •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our sites at Tongyeong,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Eighty-two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0 green, 25 brown, and 47 red alga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at the Dukpo (61 species) site followed by the Gajodo (60 species), Yepo (58 species), and Chilchundo (53 species) sites. Seaweed biomass ranged from 578.11 to 678.26 g, with the maximum and minimum at Chilchundo and Yepo, respectively. Dominant species in term of biomass were Sargassum thunbergii at Yepo, Dukpo, and Gajodo and Gelidium amansii at Chilchundo. The vertical distribution from the high to low intertidal zone was Sargassum thunbergii and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and Ulva linza; Ulva pertusa, Sargassum fulvellum, and Gelidium amansii. Two groups clearly segregated in a cluster analysis, a Yepo/Dukpo group (group A) and a Gajodo/Chilchundo (B), indicating relatively strong differences in similarity. The seaweed community structure of group A was characterized by higher biomass and higher species richness of brown algae than were observed in group B. Additionally, the biomass ratio and the species richness of green algae was lower in group A. These differences in seaweed community structure may have been resulted from the effects of cold effluents.

쌍극자 안테나를 고려한 3차원 지표레이다 탐사 모델링과 방사 패턴에 대한 고찰 (Dipole Antennas and Radiation Patterns in the Three-Dimensional GPR Modeling)

  • 최윤경;설순지;서정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4권2호
    • /
    • pp.45-54
    • /
    • 2001
  • 지표 레이다(Ground Penetrating Radar; GPR) 탐사를 모사하기 위해서, 시간 영역 유한 차분법을 이용하여 송수신 안테나를 고려한 3차원 모델링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GPR탐사기기인 쌍극자 안테나를 모사하고, 안테나 끝점에서의 내부반사(ringing) 현상을 줄이기 위해 subcellular법을 사용하였다. 반무한 매질에서 종단 저항에 따른 출력 전압의 변화를 비교하여, 종단 저항의 수가 많아지면 내부반사가 줄어드는 반면 출력 전압이 작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를 토대로 내부반사를 줄이는 쌍극자 안테나를 구현하였다. 각도에 따른 전기장 분포를 알기 위해 안테나에 직교하는 면과 안테나를 포함하는 면에서 방사 패턴을 구하였다. 안테나를 포함하는 면의 전기장 에너지가 안테나에 직교하는 면보다 안테나 직하부로 집중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 PDF

등산화 아웃솔의 독립적 서스펜션 기능이 발의 안정성 및 부하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Independent Suspension Function of Hiking Boots on the Stability and Load of Foot)

  • 이기광;최치선;은선덕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15-119
    • /
    • 2006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ependent suspension technology(IST) of hiking boot on the stability and load of foot, eight participants performed medial and lateral drop landing from 33.4cm height and 85cm distance to uneven surface while wearing normal & IST hiking boots. For the stability of foot during the drop landing, the balance angle & suspension angle and rearfoot angle was analyzed using high-speed video analysis. Also kinetic analysis using the force plate and insole pressure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analyze vertical & breaking ground reaction force and pressure distribution. Not only the balance angle & suspension angle but also rearfoot angle was improved with IST boots for lateral drop lan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e IST boots may have the suspension function which keeps the foot to be stable during landing. However the IST boots did not show any effect for medial landing. This might be related to the hardness of medial part of outsole. Therefore the softer outsole of medial part could be recommended. Furthermore the impact force & breaking force and insole pressure were reduced with IST boot. These results means that IST boot has not only cushioning effect but also good grip effect. Therefore the hiking boots applied the independent suspension function may help to reduce fatigue and prevent injury such as ankle sprain in hiking on uneven surf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