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EGETATION COMMUNITY STRUCTURE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Gaps on Species Diversity in the Naturally Regenerated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of the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Liu, Yanyan;Liu, Shuang;Kim, Ji-H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0권4호
    • /
    • pp.325-330
    • /
    • 2007
  • Recognizing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forest gap formation for forest community structure,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species diversity between forest gaps and closed canopy areas for trees and shrubs in three developmental stages (seedling, sapling I, and sapling II) in a typical mixed broadleaved-Korean pine forest. We randomly placed 100 sample plots ($2{\times}2m$ for seedling and sapling I, and $5{\times}5m$ for sapling II) in forest gap and closed canopy areas of a 9 ha permanent sample plot for vegetation surveys of plants of each developmental stage in each habitat type. Even though the formation of forest gaps encouraged the occurrence of gap-dependent species and increased overall species diver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cies richness among the three developmental stages for both tree and shrub species (p>0.05). Comparing the two types of sites, statistical tests revealed no difference in species richness for trees, but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between forest types for shrubs for seedlings and sapling I, but not sapling II. Analysis of variance test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cies diversity among the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tree species (p>0.05) for both Simpson and Shannon indices. The variance for shrub seedling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orest gaps and closed canopy areas, but not for sapling I and sapling II.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pecies diversity in forest gap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losed canopy areas for seedling and sapling I (p<0.01), but not for sapling II (p>0.05).

Ecological Assessment of Plant Succession and Water Quality in Abandoned Rice Fields

  • Byun, Chae-Ho;Kwon, Gi-Jin;Lee, Do-Won;Wojdak, Jeremy M.;Kim, Jae-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3호
    • /
    • pp.213-223
    • /
    • 2008
  • The increasing area of abandoned rice fields could provide new opportunities for wetland restoration in Asia. However, it is unknown how quickly or completely abandoned rice fields will recover from agricultural disturbances. We assessed water quality and plant community succession in abandoned rice fields with different hydrology in a mountain valley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hydrological regime on recovery. Water level, soil redox potential, water quality, plant composition, and primary production were measured. The sites, coded as D6, N13, and N16, had been recovering for 6, 13, and 16 years by 2006. N13 and N16 have been recovering naturally whereas D6 has been drained with a nearby dike and was tilled in 2001. The typical hydroperiods of D6, N13, and N16 were no surface water, permanently flooded, and seasonally flooded, respectively. The major change in vegetation structure of both D6 and N13 was the replacement of herbaceous species by woody species. Drawdown accelerated this change because Salix koreensis grew better in damp conditions than in flooded conditions. Phragmites japonica reduced plot-level plant species richness. The removal efficiency of $NH_4-N$, $NO_3-N$, and $PO_4-P$ from water varied seasonally, ranging between -78.8 to 44.3%, 0 to 97.5%, and -26.0 to 44.4%, respectively. In summary, abandoned rice fields quickly became suitable habitat for native wetland plant species and improved regional water quality. Variation among our sites indicates that it is likely possible to manage abandoned rice fields, mostly through controlling hydrology, to achieve site-specific restoration goals.

마을의 비보연못 특성 및 관리 - 강진 달마지 마을을 사례로 -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Complementary Pond of Village - in Case of Dalmaji Village in Gangjin-gun -)

  • 박재철;한상엽;김도균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157-16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charactreistics and management direction of complementary pond of Dalmaji village in Gangjin. Accordingly, this village was indicated as Experience and Resort village by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constructi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es species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through field survey. For this, literature and field survey was performed. In field survey, vegetational survey was performed in Aug. of 2015. D(Dominant degree) and S(Sociability degree) was measured by Brown-Blanquet's method. The answer was searched from Myungsanron(明山論), a textbook of Fengsui(風水) in Joseon dynasty. Of these caus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representative one is a protection of fire and infectious disease because the Wolgak mountain is a fire mountain(火山) as a stone mountain in Fengsui. The results demonstrate decline of aquatic ecosystem because of neglect management. The total number of species was 24. Of the species, Zelkova serrata is a natural vegetation of this complementary forest. This is nominated as Lagerstroemia indica and Camellia japonica community. Species composition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uthern region as mixed forest of evergreen trees and deciduous ones which are indigenous plants. It was considered Juniperus chinensis KaizukaVariega in central round island was planted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have to be removed. It was considered that name of moon pond and moon island etc. projects the mind of village ancestors which are going to reach an ideal condition of moon. And management of quantity and depth of pond water was critical for restoration of disappearing lotus from related literature. Periodic management was needed for ec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 improvement because of ecological disturbance by the invasive plants like Humulus japonicus.

사방시공지 식물사회의 생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V) - 사방시공 후 9~26년 간의 변화 -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in the Erosion-Controlled and Rehabilitated Areas - During 9~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

  • 이현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9-69
    • /
    • 2003
  • Most denuded mountain areas in Korea were completely stabilized by the successful work of the 1st and 2nd 10-year Forest Development Plans which targeted the reforestation of denuded forest lan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stimate the depth of organic horizon in the soil profile, (2)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3) to estimate the change of biomass in the erosion controlled and rehabilitated mountain areas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the 5th times. The first study began in the year of 1985, the second study was in the year of 1988, the third study was in the year of 1992, 4th was in the year of 1998 and 5th was in the year of 2002. The first study started in the study sites which elapsed 9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increase rate of soil thickness was estimated to $Y_{(cm)}=2.906log_{(yr)}-3.2476(r^2=0.917)$ during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The important value of pines decreased to 14.7% on upper layer. But, the important value of alders. which did not plant on erosion control work increased to 27.1%. The decrease of whole crown projection indicates that pines. and alders were heavily injured by pine leaf gall midge in the year of 1993, 1995 years and Agelastica coerulea Baly in the year of 1986, 1987 years at Yoju-gun. The young growth of pines and alders not appeared on the soil surface which elapsed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On the lower layer, oaks occupied over 50% in I.V, RD, RC, RF. In process of years, the increase of biomass estimated to be $Y_{(t/ha)}={0.7505X_{(yr)}}^{1.6335}\;(r^2=0.9712)$ for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Seed Dispersal by Water, Wind, Birds, and Bats in the Caliraya Watershed, Laguna

  • Giancarlo Pocholo L. Enriquez;Lillian Jennifer V. Rodriguez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1호
    • /
    • pp.28-42
    • /
    • 2023
  • Seed dispersal supports community structure, maintains genetic connectivity across fragmented landscapes, and influences vegetation assemblages. In the Philippines, only two seed dispersal studies have compared different dispersal agents. We examined the seed dispersal patterns of water, wind, birds, and bats in the Caliraya Watershed, Philippines. We aimed to determine the floral species that were dispersed and how the forest characteristics influenced seed dispersal. By running seed rain traps and drift litter collection from March to June 2022, we analyzed 14,090 seeds in a privately owned study site within the watershed. Water did not exclusively disperse any species and acted as a secondary disperser. Seed density (seeds/trap)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ird-dispersed (n=166) and bat-dispersed (n=145) seeds than for wind-dispersed (n=79) seed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F2,87=16.21, P<0.0001). Species number (species/trap)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ird-dispersed (n=3.7) and bat-dispersed (n=3.9) seeds than for wind-dispersed (n=0.2) seeds (One-way ANOVA: F2,87 =16.67, P<0.0001). Birds dispersed more species because they are more diverse and access a wider variety of fruits, unlike bats. Birds and bats target different fruits and provide separate seed dispersal services. Generalized linear model analyses revealed that the number and basal area of fleshy fruit trees most strongly influenced the bird seed dispersal patterns. Therefore, we recommend a three-way approach to restoration efforts in the Caliraya Watershed: (1) ensure the presence of fleshy fruit trees in restoration zones, (2) assist the establishment of mid-successional and wind-dispersed trees, and (3) intensify the conservation efforts for both flora and faunal diversity.

남강댐 상류 습지에서 수생관속식물이 호소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quatic Vascular Plants on the Lake Ecosystem in the Upper Stream Wetlands of the Namgang-Dam)

  • 오경환;이정환;김철수;손성곤;이팔홍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9-44
    • /
    • 1999
  • 습지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한 보호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댐 상류의 습지에서 1997년 4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수생 및 습생 관속식물의 분포 및 군락 구조와 버들류의 생장 유형, 현존량, 양분 흡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분포하는 수생식물은 정수식물 27 종류, 부엽식물 4 종류, 부수식물 3종류, 침수식물 9종류 등으로 43종류이고, 습생식물은 241종류였다. 초본층에서 우점종은 여뀌였으며, 종다양도는 1.59~1.89이고 균등도는 0.87~0.96으로 매우 높았으며 군집유사도 지수는 0.35~0.83이었다. 관목층 및 아교목층에 분포하는 버들류(Salix spp.)는 선버들을 포함한 17종으로서, 조사지역에서 천이 초기의 개척식물로 추정되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100m^2$) 당 밀도는 27.5개체이고, 수간에서 분지된 가지수가 개체당 평균 5.0개였다. DBH 분포는 2cm 미만의 유목과 함께 역J자형의 경사분포형으로서 자연적인 후계림을 기대할 수 있었다. 버들류의 단위면적 ($m^2$)당 기저면적은 $24.87cm^2$이고, 용적은 $12,008cm^3$였다. 조사지역 전체에서 버들류의 식물현존량은 12,894 ton으로서, 이는 $9,551ton/km^2$에 상당하는 양이었다. 버들류의 부위별 생물량 분포는 수간부 64.1%, 분지 및 소지 28.1%, 잎 7.8% 등으로서 수간부의 생물량이 가장 많았으며, 버들류에 흡수된 질소 및 인의 현존량은 각각 68,022 및 19,823 kg이었다. 습지대 식물군락을 이용하여 댐내 수질오염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하고 습지대 식물군락을 보존하기 위한 대책이 제시되었다.

  • PDF

부산 태종대 식생관리를 위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Plants Social Network for Vegetation Management on Taejongda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상철;강현미;박석곤;백재봉;유찬열;황인천;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51-661
    • /
    • 2022
  • 식물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식물사회와 사회 연결망 분석을 결합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 태종대를 대상으로 식물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종간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관리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구축의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난온대림에 위치한 태종대는 부산광역시의 대표적인 해안림으로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이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태종대를 대상으로 100m2 크기의 방형구 100개소를 설치하여 출현수종을 조사하였고, 주요 종을 중심으로 종간결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Gephi 0.9.2를 활용하여 소시오그램을 작성하였으며, 네트워크 중심성 및 구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곰솔, 사스레피나무, 졸참나무, 팥배나무, 광나무, 때죽나무 순으로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대상지의 환경적 특성상 상록활엽수가 다수 출현하였다. 태종대 식물 사회네트워크는 노드수가 50개, 연결정도가 172개의 소규모 네트워크로 구축되었으며, 모듈화를 통해 4개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구축된 소시오그램을 통해 천이계열을 살펴보면, 현재 곰솔, 사스레피나무가 포함된 그룹은 벚나무, 개옻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졸참나무,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 후박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후박나무, 참식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군락으로 천이될 가능성이 높았고, 일부지역에서는 생강나무, 팽나무를 매개자로 하여 팽나무, 굴참나무, 느티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군락으로 천이가 예상된다.

안동·임하호 주요 유입지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군집안정성 분석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and Stability in Major Inflow Streams of Lake Andong and Lake Imha)

  • 유혁;이미진;서을원;이종은
    • 환경생물
    • /
    • 제34권4호
    • /
    • pp.320-328
    • /
    • 2016
  • 안동호와 임하호 주요 유입수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및 군집안정성을 파악하고자,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안동호 유입수계는 다양한 미소서식처가 조성되어 있고, 하상구조 또한 상대적으로 임하호 유입수계보다 다양하게 조성되어 있어 유수성 및 정수성 환경을 선호하는 분류군이 다수 출현하였다. 안동호는 깔따구류, 꼬마줄날도래 등 특정 종의 개체수 증가로 인해, 임하호에 비해 높은 우점도 및 낮은 다양도를 보였으며, 섭식기능군은 비교적 주워먹는무리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우 등 환경요인에 의해 썰어먹는무리의 종수가 및 개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은 모든 지점에서 붙는무리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안동호는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뛰어난 특성군 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이 61.3%로 임하호 59.1%보다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약하고 비교적 수환경이 안정적인 곳에서 서식하는 특성군 II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안동호에서 15.1%로, 임하호(20.5%)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 결과, 수온이 낮을수록 용존산소량은 높게 나타났고, pH와 전기전도도는 토양수분의 염류이온농도가 높아져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3차 조사시 강우에 의해 유입된 점 및 비점오염원의 영향으로 BOD와 SS는 감소, COD, T-P는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전기전도도 및 T-N이 종수 및 개체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하천 인근 유역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과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생생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생활하수와 유기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등 지속적인 관리 및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V) - 구룡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V) - Adequate Number of Plots for Tree and Shrub Strata in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at Guryongsan Area -)

  • 박인협;서영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4-400
    • /
    • 2002
  •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한 산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구룡산 상금정계곡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교목층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각각 10m$\times$10m, 5m$\times$5m 크기의 조사구를 15개씩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의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0개 이상이었다. 교목층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해지며, 조사구수 8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이었다 교목충의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7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교목층 전체 조사구수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이상,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관목층의 경우, 종수-면적 곡선에 의한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2개 이상이었다. 관목충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조사구수 13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으로 유지되었다. 관목층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6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관목층 전체 조사구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우점종과 준우점종이 구분되는 일반적인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과 관목층 모두 대체로 5개, 준우점종 내에서의 순위까지 구분되는 보다 정화겅을 요구하는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 10개, 관목층 13개 정도이었다.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ngbaekdongsan(Mt.) in Jeju-do, Korea)

  • 곽정인;이경재;한봉호;송지호;장종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1-2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m{\times}20m$ 조사구 20개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ordination,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감탕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곰솔군집, 곰솔-종가시나무군집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동백동산 암괴기반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이었고 일정 토심을 유지하는 지역은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였다. 곰솔군집은 동백동산이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기 이전 훼손된 지역 중 일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백동산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과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 모두 향후 종가시나무-동백나무 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상록활엽수군집에서는 1.0268~1.0717이었고 곰솔군집이 1.2102로 가장 높았다. 상록활엽수 10종의 상재도가 80% 이상이었으나 향후 교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실잣밤나무와 생달나무는 출현빈도와 우점도가 낮았다. 고령의 동백나무가 모든 조사구에서 출현했는데 과거 숲이 훼손될 시에도 신성시 여겨져 보호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백동산은 기존의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는 다른 식생구조를 보여 천이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이었고 과거 훼손 영향으로 다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와 천이경향을 일부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동백동산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되며, 식생이 안정될 수 있는 기간이 흐른 뒤에 천이방향과 군집특성을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