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 techniqu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by Types of Subway Platforms and Transit Stations)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437-445
    • /
    • 2015
  • 지하철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의 배치, 정보안내의 경우 지하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현재 해당 항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출발하여 IPA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른 이동시설 및 환승편의시설, 정보안내의 만족도간 중요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역사 15개를 대상으로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이 동일함에 따라 이용자간 중요도 및 만족도 차이, 개선항목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동선교차가 많이 발생되는 승강장 유형(상대식 승강장)과 환승정거장 유형(+, L, T자형)으로 지하철역을 설계하는 경우 이동편의시설 및 정보안내표지의 적정한 위치 선정이 중요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이용자의 불편이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신규 역사 설계 및 기존 역사 개선시 활용이 가능하며, 승강장 및 환승정거장 유형에 따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하는 항목 도출로 지하철 개선비용 효율성 증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격자 기반의 물리적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댐 유입량 모의 (Simulation of dam inflow using a square grid and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model)

  • 최윤석;최시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289-30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분포형 유출 모형인 GRM (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을 모의함으로써 연속형 모의에 대한 GRM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GRM 모형은 기존에 강우-유출 사상의 모의를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최근에 연속형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되었다. 대상 유역은 충주댐 유역, 안동댐 유역, 용담댐 유역, 섬진강댐 유역이며, 500 m × 500 m의 공간 해상도로 유출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의 기간은 21년(2001년~2021년)이다. 모의결과의 평가는 17년 기간(2005년~2021년)에 대해서 수행하였으며, 17년 전체 자료(total duration), 풍수기(6월~9월, wet season), 갈수기(10월~5월, dry season)의 3개 자료 기간으로 구분하고, 각 댐의 관측된 일유입량과 비교하였다. 모의결과의 적합도 평가는 Nash-Sutcliffe efficiency 계수(NSE), Kling-Gupta efficiency 계수(KGE), 상관계수(CC), 총용적 오차(VE)를 사용하였다. 모의된 댐 유입량의 평가결과 total duration과 wet season에서 관측자료를 잘 재현할 수 있었으며, dry season에서도 저유량 자료의 불확실성을 고려할 때 양호한 모의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GRM 모형의 연속형 모의기법은 적절히 구현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의 댐 유입량 모의에 충분히 적용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중합 GIC충전후 경과시간 및 표면처리에 따른 복합레진과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OMPOSITE RESINS TO GLASS IONOMER CEMENTS BY SURFACE TREATMENT AND ELAPSED TIME)

  • 정혜인;김신;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2-94
    • /
    • 1997
  •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most appropriate method of bonding between glass ionomer liners and composite resin and comparing the materials for sandwich technique,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the two with the variables in the surface treatment of liners and elapsed time till composite buildup. Materials used were Vitrebond and Fuji II LC, each as the restorative and liner respectively, and each group was subdivided by surface treatment (acid etching and sandblasting) and time elapsed from GIC filling to composite buildup (immediately, 1 day, 7 days), consisting 12 groups as a whole. Each subgroup was composed of 10 specimens and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IC liners and composite resin was measured under UTM and analyzed.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two materials was highest when initially filled Fuji II LC was sandblasted after 1 days and composite built-up (Group FS1). And the lowest value was found when GIC was acid-etched after 7 days and composite built-up (Group FE7).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P<0.01) 2. In regard of surface treatment of GI liners, acid-etched group (VE) showed higher bond strength than sandblasted group (VS) for Vitrebond. But, the reverse was true for Fuji II LC. (P<0.05) 3. In regard to the time elapsed from GI filling to composite buildup, the group of 1 day elapse showed relatively higher strength for Vitrebond. On the contrary, immediate buildup group (FE0) was stronger for acid-etched group and 1 day elapse group(FS1) was higher for sand-blasted group in Fuji II LC. (P<0.05)

  • PDF

비 치료목적으로 시술되고 있는 치아교정과 양악수술에 대한 일부 대학생들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Non-therapeutic purposes in orthodontics and correction of tooth and jaw surgery for the recognition of some students on research)

  • 강미현;이은숙;이천희;김선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232-1240
    • /
    • 2012
  • Objectives : In this study, the treatment method for some college students, due to the misuse of non-therapeutic molding technique non-therapeutic procedure is applied in orthodontics or jaw surgery and therapeutic purposes, such as to properly recognize and to investigate whether. Methods : In this study used, 4 questions, the questionnaire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jor, whether the treatment experience and purpose) Orthodontic and knowledge about the jaw surgery (Corrective jaw surgery hope and reason, or jaw surgery benefits, side effects, etc.) 6 items, calibration and recognition jaw surgery on seven items 17 items was constructed. Results : Of the perception of the majors of the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non-therapeutic procedure for calibration or jaw surgery the correct way, and the purpose appeared to know roughly majors and all students major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non-therapeutic procedures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respondents' facial aesthetic improvement, and the most common reason, you want to make a non-therapeutic procedure, correction or contrast, I've found that looks supremacist influence on the non-therapeutic procedure or roughly know the correct way, and jaw surgery for the purpose that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Conclusions : Non-therapeutic procedure for the interest and knowledge to promote oral health as well as esthetic improvements to the original non-therapeutic procedure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how to deliver education and it is very important.

아마추어 테니스 대회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요인 도출 (Difficulty Factor for Activation of Amateur Tennis Tournament)

  • 차정훈;강혜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543-552
    • /
    • 2018
  • 이 연구는 목적은 대회운영 환경의 개선 및 효과적인 대회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요인추출을 위해 탐색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계층분석을 위하여 전문가 집단 설문지 제작 및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의사결정 방법 중 하나인 AHP(Analytical Hierarchy Process)기법을 사용하여 상대적 중요도 및 결정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평가의 구성요소 중 운영요인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나타냈으며, 참가자만족요인, 시설요인, 환경요인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대회운영의 안정화를 위해서는 예산확보가 우선시 되어야 하며 참가자 욕구를 파악하고 대회의 특성과 수준이 고려되어야 할 것 이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적합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집단을 통한 비교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석유공장의 탈황 폐촉매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에 관한 연구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the Desulfurizing Spent Catalyst Used in Domestic Petrochemical Industry)

  • 김종화;양종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4권3호
    • /
    • pp.2-9
    • /
    • 1995
  • 탈황 폐촉매 중에 함유되어 있는 Ni, V 및 Mo을 배소, 암모니아 침출 및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분리.회수하는 프로세스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폐촉매를 $400^{\circ}C$로 3시간 동안 배소한 후, 20mesh 이하로 분쇄하여, 고액비 50g/d㎥의 조건에서 100g/d㎥-(NH$_4$)$_2$CO$_3$를 침출제로 하여 $80^{\circ}C$에서 침출한 결과 Ni, V 및 Mo의 침출율은 각각 81.2%, 65%, 87.5%이었다. 이 침출액을 방냉하면 침출액 중의 74%의 V이 바나듐산 나트륨염의 형태로 침전되어 순도 95.7%의 V을 회수할 수 있었다. 1차 침출 후의 잔사에$ Na_2$$CO_3$를 가하여 $1000^{\circ}C$에서 재차 배소한 후, 온수에 침출하여 잔존된 Mo과 V을 95%이상 침출되었다. 1차 침출액 중의 Ni, V 및 Mo을 용매추출법으로 분리.정제하였다. 용액 중의 Ni는 MSP-8, V은 TOMAC을 추출제로 하여 추출.분리하고 Mo은 raffinate로 분리하였다. Batch 추출에 의하여 Ni은 95%, V은 98%가 유기상에 추출되었으며, 역추출액에 환원제를 첨가하여 순도 99%이상의 V을 회수하였다.

  • PDF

승모판막 치환술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Experience of Mitral Valve Replacement)

  • 김종원;황수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2호
    • /
    • pp.1347-1353
    • /
    • 1996
  • 부산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1982련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승모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하여 승모판막치환술 후 장기성적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 중 남자는 159명이었고 여자는 215명이 었으며 평균연령은 31.8세였다. 병원사망율은 24례(6.4%)였고 가장 흔한 원인은 저심 박출증후군으로 12례였다. 치환된 판막은 기계 판막이 314개, 조직판막이 60개였고 재치환술을 시행한 경우는 31례로 모두 기계판막을 사용하였다. 거의 전환자에게 coumadin을 투여하여 항응고요법을 시행하였고 국제정상화비(INR)가 1.5~3.0이 되도록 하였다. 생존례의 추적관찰은 93%에서 가능하였고 2270환자-년이었다. 만기 사망례는 12례였는데 그 중 3례가 뇌출혈, 3례가 뇌혈관전색으로 사망하였다. 병원 사망율을 포함한 만기 생존율은 술후 10년에 82.3%였다. 만기합병증의 발생율은 전색증이 1.3%환자-년, 항응고요법과 관련된 출혈성함병증이 1.3%환자-년이었다. 술후 예후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으로는 뉴욕심장협 회의 심기능평가를 포함한 술전 환자상태, 첫 수술인 경우, 판막부속기 보전의 수술법 및 너무 크지 않은 기계판막\ulcorner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안모의 수직고경에 영향을 미치는 교정적 요인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vertical dimension fo fac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최우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187-197
    • /
    • 2001
  • 전통적 교정술식인 edgewise technique으로 치료한 경우 잔여성장, 안모 유형과 발치 여부가 안모고경에 미치는 영향과 요소를 알아보고자 16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대상군들은 SN-GoGn angle, Frankfort mandibular plane angle, Occluso-mandibular plane angle을 이용하여 수직 비발치군, 수직 발치군, 수평 비발치군, 수평 발치군으로 구분하였다. 치료 전후에 두부계측방사선사진을 계측하고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모든 군에서 치료 후의 전하안모고경, 전안모고경, 후안모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상하악 구치고경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치료 전후의 안모고경 변화에서 수직, 수평 안모 유형 간에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3. 발치군과 비발치군 간의 안모고경 변화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4. 전하안모고경의 변화량이 성장군에서 상악 구치고경의 변화와, 성인군에서 하악 구치고경의 변화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5. 전하안모고경의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뚜렷하지 않았다.

  • PDF

목적함수에 따른 매개변수 추정 및 수문모형 정확도 비교·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Objective Functions on Hydrologic Model Calibration and Simulation)

  • 이기하;연민호;김영훈;정성호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22
  • 수문모형의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서 자동최적화기법이 자주 이용되며, 이러한 최적화기법은 관측값과 모의값의 오차를 최소로 하기 위해 목적함수를 필요로 한다. 다만, 다양한 목적함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수문응답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목적함수를 활용하여 단기 강우-유출 수문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목적함수에 따른 수문곡선의 재현성을 평가하고, 적정 목적함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강우-유출 모형으로는 현행 홍수예보에서 유역 유출모의에 활용되고 있는 집중형 수문모형인 저류함수모형을 선택하였으며, 모형의 5개 매개변수에 대해서 전역최적화기법인 SCE-UA를 적용하여 모형의 최적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목적함수별 수문곡선의 재현성 평가를 위해 용담댐 상류유역인 천천유역을 대상으로 9개의 강우사상을 추출하였으며, 7개의 목적함수를 선택하여 개별 강우사상별로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이를 활용한 모의 수문곡선의 재현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적함수에 오차제곱을 포함하고 있는 RMSE, NSE, RSR이 Event 7을 제외한 모든 강우사상에 대해 가장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관측유량과 모의유량의 오차만을 반영한 ABIAS의 경우, 정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관측유량 대비 오차 항을 포함하고 있는 PBIAS 및 VE의 경우 역시, 상기 3개(RMSE, NSE, RSR)의 결과와 유사하게 비교적 안정적인 수문곡선 재현성을 보여주었다. 다만, 고유량과 저유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에 민감한 매개변수를 조정하도록 개발된 MIA의 경우, 수문곡선 재현성 성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군집분석 기법을 이용한 도로 교통량의 첨두율 산정 (Calculation of the Peak-hour Ratio for Road Traffic Volumes using a Hybrid Clustering Technique)

  • 김형주;장수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30
    • /
    • 2012
  • 하루 동안 발생하는 교통수요는 대부분 특정 시간대에 집중됨으로써 수요 및 편익 산정에 어려움을 초래한다. 따라서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시간대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첨두/비첨두의 1시간 통행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으로는 직관적 방법, 경험적 방법, 통계적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의 일환인 혼합군집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첨두/비첨두/심야시간에 대한 지속시간과 집중률을 산정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제공하는 2009년 전국 24시간 수시교통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차종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승용차, 트럭, 전차종 등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의 검증을 위해 한국도로공사의 TCS 통행시간 자료를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본 연구결과가 타 연구에 비해 비첨두/심야 시간에는 오차율이 낮으며, 첨두시에는 통행거리가 멀어질수록 오차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의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첨두율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방법론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교통수요 분석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