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곡선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26초

음향현미경의 V(z)곡선을 이용한 재료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material using V(z) curve of acoustic microscope)

  • 문건;고대식;전계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5-73
    • /
    • 1988
  • 본 논문에서는 음향현미경의 V(z)곡선을 해석하고 실험결과와 비교 고찰하였으며 V(z)곡선과 재료의 탄성 특성사이의 관계를 연구분석하였다. V(z)곡선의 이론적인 해석은 angular spectrum과 ray optics 이론을 사용하였고 실험은 동작주파수가 3MHz인 음향현미경을 구성하여 행하였다. 실험결과 V(z)곡선은 재료마다 고유의 형태를 나타내며 V(z) 곡선에서 극대치 사이의 간격은 재료에서 Rayleigh 파의 음향속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초음파현미경에서 V(z)곡선의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V(z) curve at the Acoustic Microscope)

  • 박익근;임재생;윤종학;노승남;서성원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26-4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현미경의 기하학적 원리와 초음파현미경의 특징중 하나인 V(z)곡선의 간섭파형을 시뮬레이션 하였고, 실제 초음파현미경의 V(z)곡선법을 이용하여 미소영역에서의 누설탄성표면파 음속을 측정하였다. 초음파현미경을 이용한 V(z)곡선법의 음속측정결과가 시뮬레이션 음속값과 큰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미소영역에 초음파현미경의 V(z)곡선법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음속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초음파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한 재료의 물성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MMC HVDC의 전도 손실 계산을 위한 V-I 특성 곡선 근사 방법 (Linearization Method of V-I Characteristic for MMC HVDC Conduction Losses Calculation)

  • 나종서;김상민;김희진;정종규;허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9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303-30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Modular Multilevel Converter, MMC) 고압직류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의 전도 손실 계산을 위한 반도체 스위치 V-I 특성 곡선 근사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V-I 특성 곡선은 정격 전류 구간에 대해서만 선형화하여 사용하지만, MMC HVDC의 경우 암 전류의 직류 오프셋에 의해 V-I 특성 곡선의 비선형 구간에서 손실 계산에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암 전류의 부호에 따라 별도의 V-I 특성 곡선 근사를 적용하여 MMC HVDC의 전도 손실 계산의 정확성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전도 손실 계산 결과는 PSCAD 시뮬레이션으로 취득한 손실 값과 비교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 PDF

집속음향파를 이용한 고체특성 판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inction of Solid Characteristics Using Focused Acoustic Wave)

  • 문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2-99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3MHZ의 접속 음향변환자를 사용하여서 고체 샘플에서 반사되어 오는 음향파를 검출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음향 변환자의 촛점위치와 고체표면과의 거리(Z)에 따른 음향 반사신호의 특성곡선 V(Z)을 검출하였다. 여러가지 고체재료의 V(Z) 특성곡선을 실험에의해 검출한 결과 고체에따라 그들 고유의 V(Z)특성곡선 모양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V(Z)곡선을 분석하면 고체특성을 판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접촉쌍성 V523 CAS의 광도곡선 분석 (LIGHT CURVE ANALYSIS OF CONTACT BINARY SYSTEM V523 CASSIOPEIAE)

  • 김진희;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263-272
    • /
    • 2002
  • 보현산 천문대의 1.8m 망원경을 이용하여 1999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총 3일간 W UMa형 접촉쌍성 V523 Cas를 CCD 측광관측하여 총 616 (308의 ${\Delta}$b점, 308의 ${\Delta}$v점) 개의 관측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4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2개, 부극심 2개)을 산출하였다. 우리가 얻은 BV 광도곡선과 Milone et al.(1985)의 시선속도곡선을 Wilson-Devinney(WD) 방법으로 흑점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누어 광도곡선의 해를 산출하였다.

Genus 2인 초타원 암호시스템 (Hyperelliptic Cryptosystems of Genus 2)

  • 김진욱;전성태;박근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1)
    • /
    • pp.643-645
    • /
    • 1999
  • 타원곡선에 이어 초타원곡선을 공개키 암호시스템에 적용하는 방법이 Koblitz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곡선을 선택해야 하는데, 선택될 곡선은 현재까지 알려진 공격에 대해 안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타원 암호시스템(hyperelliptic cryptosystem을 구성하기 위해 genus 2인 초타원곡선 v2+v=u5+u3+u와 특성계수(characteristic) 3인 기본 체(field)를 선택하고, 이로써 만들어질 암호시스템이 안전함을 보인다.

  • PDF

고온 종속 RF MOSFET 캐패시턴스-전압 곡선 추출 및 모델링 (Extraction and Modeling of High-Temperature Dependent Capacitance-Voltage Curve for RF MOSFETs)

  • 고봉혁;이성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10호
    • /
    • pp.1-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파라미터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는 RF측정방법으로 short-channel MOSFET의 RF 캐패시턴스 전압(C-V) 곡선을 상온에서 $225^{\circ}C$까지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고온 종속 특성을 엠피리컬하게 모델링하였다. RF C-V 특성곡선의 weak inversion영역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voltage shift가 threshold voltage shift보다 적은 현상이 관찰되었지만, 기존 long-channel C-V 이론 방정식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임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short-channel C-V 곡선의 고온 종속 모델링을 위해서 새로운 엠피리컬 방정식이 개발되었다. 이 방정식의 정확도는 모델된 C-V곡선과 측정 데이터가 넓은 온도범위에서 잘 일치하는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입증되었다. 또한, 높은 게이트 전압에서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채널 캐패시턴스 값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711 TAU의 채층활동 (THE CHROMOSPHERIC ACTIVITY ON V711 TAU)

  • V771TAU의채층활동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59-66
    • /
    • 1997
  • V711 Tau의 채층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자외선 영역의 Mg II 방출선의 세기와 광도 변화의 상관 관계를 유추하였다. 첫째, 가시광선 영역의 광도곡선의 형태와 자외선 영역의 광도곡선의 형태를 비교하고, 둘째, IUE 고분산 스펙트럼에서 Mg II 방출선의 세기를 위상별로 측정하고 방출선 부근의 연속선을 이용하여 자외선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방출선의 세기와 광도곡선을 비교한 결과 방출선이 강하게 나타나는 위상, $0.^{p}4$에서는 광도가 어둡게 나타나 최소가 되고, 방출선의 세기가 약할 때는 광도가 밝아져서 최대가 되었다. 이는 자기장이 강한 위상에서는 채층활동과 흑점의 크기가 증가하고 반대로 자기장이 약한 위상에서는 채층활동과 흑점의 크기가 작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자기장, 채층활동, 별 표면의 흑점과의 상관 관계가 밝혀지고, V711 Tau의 변광은 표면의 채층활동과 흑점에 의한 것이다.

  • PDF

V345 Cas의 주기변화와 광도곡선 분석

  • 정민지;김천휘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42.2-142.2
    • /
    • 2012
  • Hoffmeister(1943)에 의해 변광성으로 발견된 V345 Cas (2MASS J23083986+5406545, ${\alpha}$(2000.0)=23h08m39.86s & ${\delta}(2000.0)=+54^{\circ}06^{\prime}54.6^{\prime\prime}$)는 B 필터에서 13.1~14.2의 광도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별이다. 우리는 레몬산 천문대(LOAO)에서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총 22일간 V345 Cas의 BVRI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처음으로 V345 Cas의 년도 별 전체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우리의 관측 자료와 Super WASP에서 공개한 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7개의 극심시각을 산출하였다. 우리가 결정한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여러 문헌에서 수집한 총 68개의 극심시각을 이용하여 V345 Cas의 주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V345 Cas의 궤도주기는 포물선 모양의 영년변화와 함께 약 30년의 규칙적인 변화를 겪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규칙적인 변화를 제3천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로 가정하여 관측된 극심시각에 잘 맞는 광시간 궤도 해를 산출한 결과, 영년주기가 증가하는 경우와 감소하는 경우에 대해, 각각 29.0년과 39.7년 주기를 갖는 두 개의 광시간 궤도 해가 가능하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으로의 극심시각 관측이 중요하다. 2007년과 2008년 BVRI 광도곡선들은 부극심을 기준으로 좌우가 거의 대칭이며, 1년 사이에 특기할 만한 광도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우리는 이 광도곡선들을 Wilson-Devinney 쌍성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V345 Cas의 측광학적 해를 처음으로 산출하였다. 우리가 구한 해에 의하면, 약 88도의 궤도경사각에 두 성분별의 질량비가 약 0.5인 V345 Cas는 질량과 표면 온도가 큰 주성과 로쉬 로브를 채우고 있는 반성으로 구성된 준 분리형 식쌍성계이다.

  • PDF

LaAlO3에 대한 열자극발광 스펙트럼의 광학적 분석 (A Measurement and Analysis of Thermoluminescence Spectra of LaAlO3)

  • 이정일;문정학;김덕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1-146
    • /
    • 1999
  • 단결정 $LaAlO_3$의 열자극발광을 온도, 파장, 발광강도의 3차원 데이터로 측정하였고, 이를 분석하였다. $LaAlO_3$는 YBCO(초전도체) 또는 각종 반도체의 성장기판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온도, 파장, 발광강도의 3차원 데이터를 얻으므로써 활성화 에너지 뿐만 아니라, 기존의 온도대 발광곡선(glow curve) 분석에서 그 정보를 알기 힘들었던, 재결합준위(recombination center)의 에너지를 결정할 수 있었다. 이는 특정 피크온도에서의 파장대 발광강도 데이터를 Franck-Condon 모델을 이용하여 곡선 춤법으로 분석하여 얻을 수 있다. 온도대 발광강도곡선(glow curve)을 수치해석에 의한 곡선맞춤법으로 분석한 결과 세 개의 발광곡선이 중첩되어 있음을 알게되었으며, 각각에 대한 활성화 에너지는 0.54eV, 0.91eV, 1.02eV 였다. 재결합준위의 에너지는 2.04eV, 2.75eV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