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experience design

검색결과 900건 처리시간 0.033초

FPS 게임에서 제스처 인식과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게임 상호 작용 제어 설계 (Design of Gaming Interaction Control using Gesture Recognition and VR Control in FPS Game)

  • 이용환;안효창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6-119
    • /
    • 2019
  • User interface/experience and realistic game manipul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virtual reality first-person-shooting game. This paper presents an intuitive hands-free interface of gaming interaction scheme for FPS based on user's gesture recognition and VR controller. We focus on conventional interface of VR FPS interaction, and design the player interaction wearing head mounted display with two motion controllers; leap motion to handle low-level physics interaction and VIVE tracker to control movement of the player joints in the VR world. The FPS prototype system shows that the design interface helps to enjoy playing immersive FPS and gives players a new gaming experience.

착용감 구현을 위한 증강현실용 햅틱 상의(上衣) (Augmented Reality Haptic Upper Garment for Wear Sensation)

  • 임은혁;권지안;이수용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50-156
    • /
    • 2019
  • Haptic systems have been widely used for both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including game, entertainment, education and medical sectors. Clothing designers and retailers initiated using AR and VR technologies to help the consumers find style with the perfect fit. Most of the developed augmented reality shopping is implemented by overlapping the image of the clothes on the customer so that he/she can find the fit. However, those are only visual information and the customer cannot experience the real size and the stiffness of the clothe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haptic upper garment which provides the haptic feedback to the user using cables.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cable, the size of the clothes is set and by stiffness control, the compliance of the fabric is implemented. The haptic garment is modeled for precise control and the distributed controller architecture is described. With the haptic upper garment, the user's experience of the virtual clothes is greatly enhanced.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 비교 연구: 시리, 구글어시스턴트, 빅스비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e of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Services Experiences: Siri, Google Assistant, Bixby)

  • 유초롱;김송현;김진우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69-78
    • /
    • 2020
  • 본 연구는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 경험을 HCI의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비교·분석하여 사용 경험의 긍정적인 요소와 개선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현 시장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지능형 개인비서 서비스인 애플의 시리, 구글의 구글어시스턴트, 삼성의 빅스비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방법은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 서비스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비교·분석하였고 2차로 약 2주간 UI/UX 디자인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맥락질문법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사용자 경험 허니콤(user experience honeycomb) 7가지 사용성 원칙을 5가지로 재구성하여 유용성, 편의성, 시각적 매력성, 신뢰성, 만족도에 대한 질문을 진행하였다. 이후 재구성한 사용성 원칙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rating 및 시스템 사용성 척도 (SUS) 를 바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의 사용경험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경험디자인이 적용된 토탈 인테리어 브랜드의 쇼룸 만족도 - 국내 건자재 기업들이 운영하는 쇼룸을 중심으로 - (The Satisfaction with the Showrooms of the Total Interior Brands applied on Experience Design - Focused on the Showrooms Managed by Domestic Building Material Companies -)

  • 이상미;한혜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25-33
    • /
    • 2017
  • The home interior market has been expanding due to the continuing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craze for DIY interior design, the increasing demands for old-house renovation and the customer needs for good housing conditions. Now the building materials companies are scrambling for the whole interior market share. The heretofore companies have focused only on the single items, but now they are promoting the comprehensive interior products as total interior brands. Besides, they use their own showrooms to share their brand culture experience and have communication with their customers. As for the show rooms, they have got to represent the identities of the building materials brands. And to present them effectively, it needs to meet the customer needs and emotions. In this connec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fin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w rooms and the experience design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analysis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in the show rooms of total interior brands, investigate their customer satisfaction and present the direction and the effective methods of the space design for the show rooms of the future. And the study result shows the experience design is the key factor to the high user satisfaction. Thus, the show rooms should provide the well-balanced experience with the adoption of a variety of experience design elements. Especially, the experience design elements are needed in the room to display the merchandise. Lastly, the show rooms are expected to increase constantly, so the study targeted at the specific area, Seoul should be expanded to other areas. And this study based on the customer survey alone have a limit to giving the concrete proposals. Therefore, the follow-up studies with the different methods such as one-to-one interview will be in demand.

IoT에서 데이터 기반 앱을 모델로 한 UX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X-Design as a Model for a Data-driven Apps in IoT)

  • 문희정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819-824
    • /
    • 2015
  • 과거의 조형중심, 시스템 중심의 디자인에서 점차적으로 사용자를 배려하는 디자인 철학이 반영된 사용자 중심 디자인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특히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있어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UX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의 중요성이 크게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시대에서 UX디자인이 고려해야할 변화 중에서 웨어러블의 기능에 영향이 적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부분에 접근해 보았다. 다양하고 많은 데이터를 가진 기존 소셜커머스 앱의 레이아웃이 IoT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에서도 데이터 기반의 레이아웃과 유사하다고 생각하였다. 데이터 기반 앱을 모델로 레이아웃을 분석하여 UX디자인 의 구조를 정리하였다.

공간에서의 인터랙션 디자인 개념 적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Concepts of Interaction Design to Space)

  • 강성중;권영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234-242
    • /
    • 2005
  • Interface is a medium or channel to communicate between human and things, while interaction is the manner of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teraction design is designing experience of user through the interaction process for human, thing, system, and space. Richard Buchanan suggests four kinds of interaction: interface (person to thing interaction), transaction (person to person interaction), human interaction (human and environment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human to cosmos interaction). With digital technology,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have made various experiments at form, function, and content of space. Space evolves from a physical container to a stage to provide narrative and create new experience to users. Since understanding users, creating experience, efficient space design, content planning, and applicable technology are required for interaction design in space, multi-disciplinary research and cooperation is needed.

시립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안 연구 -용인시 도서관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An Improvement of the Public Library Application Service -Focused on the Young-In Si Library Application Service-)

  • 김다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01-306
    • /
    • 2017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각종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용자 또한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반해, 학생들과 일반 시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용인시 도서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하여 실제 사용자들 및 예비 사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요구사항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안드로이드와 아이튠즈 앱스토어에 있는 용인시 도서관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실제 사용자들의 리뷰를 분석하여 사용 시 불편한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도출하였다. 현재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직관적이나 전체적인 디자인과 아이덴티티 확립이 필요하고, 개인화가 가능한 메인 페이지가 요구된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지역의 도서관도 사용자 특성에 맞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사용자경험 리서치를 통한 유아용 인터렉티브 TV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design research of interactive TV for children.)

  • 전은용;윤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18-825
    • /
    • 2009
  • 에듀테인먼트는 유아용 인터렉티브 TV 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유아교육시장에서의 이와 관련된 연구는 시장성으로나 소비자 수요 측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이들의 생활, 행태를 관찰, 조사 분석하여 발견된 중요한 요소들이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디자인을 통해 적용하여 에듀테인먼트 효과가 최대화된 유아용 인터렉티브 TV 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아이들의 노는 모습-책 읽기, 음악듣기, 장난감가지고 놀기 등-아이들이 접하는 미디어들의 관찰을 통해 교육적 목적으로 환영 받지 못하는 TV 를 신뢰할 수 있는 매체로 재해석 하기 위하여 새로운 개념의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새로운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기존의 미디어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행태를 관찰, 분석하여 그 결과를 유아용 인터렉티브 TV 의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경험 정보 구조와 그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Input 요소를 통한 인터렉션 방법의 제안을 함께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콘텐트의 경험구조와 그와 연동 가능한 input device 를 통해 좀 더 창의적인 상호작용이 가능한 유아용 인터렉티브 TV 를 위한 콘텐트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의 TV 에서 IPTV 까지 TV 는 변천을 거듭하여 왔고 네트워크라는 인프라의 중심에 서게 되면서 인터렉션 요소를 통해 에듀테인먼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는 매체로써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여성위생용품 형태 및 사이즈 분석과 사용성 평가 (Analysis on the Shape and Size of Sanitary Pad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 김연수;김수정;이수진;김동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85-498
    • /
    • 2020
  • Sanitary pads are used with for the sanitization of menstruation bleeding. In this research, twenty medium size disposable sanitary pads were selected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brands in order to analyze their shape and size. Additionally, 6 sanitary pads were selected among the 20,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s were completed. The analysis on the shape of the 20 sanitary pads showed that straight-shape pads existed more than curved-shape pads. The means of total pad length, wing length, wing width, front pad width, back pad width, front pad length, and back pad length were 24.5 cm, 8.8 cm, 3.0 cm, 10.0 cm, 10.2 cm, 11.6 cm, and 13.0 cm, respectively. All selected pads were medium size; however, detailed sizes varied between brands. Eighty-one women participated on user experience evaluation. Participants felt that brand F was the longest and brand D the shortest. The results matched with the results on actual pad length measurement. Participants evaluated the fit of brand E most positively and fit of brand A most negative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disposable sanitary pads.

전기차 커넥티비티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의미연결망: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Semantic Network of User Experience in Automotive Connectivity Systems: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and the US Automakers)

  • 최보미;이다영;최준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537-544
    • /
    • 2022
  •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지며 신규 모델 개발이 증가하면서, 전기차의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위한 커넥티비티 시스템 설계에서 사용자 경험 요인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커넥티비티 시스템의 사용자 경험 요인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는 것이다. 각 국가에서 시판중인 차량 소개자료를 텍스트 마이닝하여 커넥티비티 관련 키워드를 도출하고,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중앙도, 군집 분석, 시각화 매핑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브랜드의 신규 전기차 커넥티비티 서비스는 주로 주행, 주차 보조, 충전과 같은 운전 행위 관련된 기능 위주의 키위드가 핵심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미국은 디바이스 연결, 편의 기능 조절, 앱 사용, 엔터테인먼트 감상 등 부가 행위에 대한 경험 위주의 키워드가 부각되었다.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마케팅, 시스템 설계, HMI 디자인 부분에서의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