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ogenital abnormalitie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Analyz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mbryological classical type of bladder exstrophy

  • Ria Margiana;Widya Juwita;Khoirul Ima;Zakiyatul Faizah;Supardi Supardi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6권4호
    • /
    • pp.421-427
    • /
    • 2023
  • Bladder exstrophy is a rare congenital condition of the pelvis, bladder, and lower abdomen that opens the bladder against the abdominal wall, produces aberrant growth, short penis, upward curvature during erection, wide penis, and undescended testes. Exstrophy affects 1/30,000 newborns. The bladder opens against the abdominal wall in bladder exstrophy, a rare genitourinary condition. This study is vital to provide appropriate therapy choices as a basis to improve patient outcomes. This study may explain bladder exstrophy and provide treatment. Epispadias, secretory placenta, cloacal exstrophy, and other embryonic abnormalities comprise the exstrophy-spades complex. The mesenchymal layer does not migrate from the ectoderm and endoderm layers in the first trimester, affecting the cloacal membrane. Embryological problems define the exstrophy-aspidistra complex, which resembles epimedium, classic bladder, cloacal exstrophy, and other diseases. Urogenital ventral body wall anomalies expose the bladder mucosa, causing bladder exstrophy. Genetic mutations in the Hedgehog cascade pathway, Wnt signal, FGF, BMP4, Alx4, Gli3, and ISL1 cause ventral body wall closure and urinary bladder failure. External factors such as high maternal age, smoking moms, and high maternal body mass index have also been associated to bladder exstrophy. Valproic acid increases bladder exstrophy risk; chemicals and pollutants during pregnancy may increase bladder exstrophy risk. Bladder exstrophy has no identified cause despite these risk factors. Exstrophy reconstruction seals the bladder, improves bowel function, reconstructs the vaginal region, and restores urination.

Congenital Malformations in Infants of Mothers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tudy

  • Hoorsan, Hayedeh;Mirmiran, Parvin;Chaichian, Shahla;Moradi, Yousef;Hoorsan, Roza;Jesmi, Fatemeh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0권6호
    • /
    • pp.347-360
    • /
    • 2017
  • Objectives: This meta-analysis aimed to evaluate congenital malformations in infants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 (ART), compared with infants conceived spontaneously. Methods: In this study, available resources searched to find relevant articles included PubMed, ScienceDirect, Scopus, Google Scholar, Cochrane, ProQuest, Iranmedex, Magiran, and Scientific Information Database. After extracting the necessary information from evaluated articles, meta-analysis on the articles' data was performed using Stata version 11.2. Results: In this study, from a total of 339 articles, extracted from the initial investigation, ultimately 30 articles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that assessed the use of ART on the risk of congenital abnormalities and some birth complications on 5 470 181 infants (315 402 cases and 5 154 779 controls). The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low birth weight was 1.89 (95% CI, 1.36 to 2.62), preterm labor 1.79 (95% CI, 1.21 to 2.63), cardiac abnormalities 1.43 (95% CI, 1.27 to 1.62), central nervous system abnormalities 1.36 (95% CI, 1.10 to 1.70), urogenital system abnormalities 1.58 (95% CI, 1.28 to 1.94), musculoskeletal disorders 1.35 (95% CI, 1.12 to 1.64), and chromosomal abnormalities in infants conceived by ART was 1.14 (95% CI, 0.90 to 1.44),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chromosomal abnormalities. Conclusions: The risk of congenital abnormalities and some birth complic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RT than normal conception, while chromosomal abnormalities were not;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ART should be selected individually for patients by detailed assessment to reduce such risks in the population.

Radiographic Diagnosis of Hypospadias in Three Korean Native Calves

  • Jeong, Won-Seok;Seong, Yun-Sang;Kim, In-Su;Jang, Hwan-Soo;Oh, Tae-Ho;Lee, Keun-Woo;Jang, Kwang-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57-559
    • /
    • 2008
  • Three calves which were born in a village with similar symptoms that urine ran down along the inner femoral region were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n physical examination, there were aplasia of the penis, ventrally incomplete sheath and bifid scrotum in common. Blood cell count test and blood biochemistry test were performed and then diagnostic radiography was carried out in a case. Retrograde positive cystograph showed normal urinary bladder and no other urogenital abnormalities. The shape and size of the testes were normal on ultrasonographs, yet intact urethral wall was not detected. These cases were diagnosed as hypospadias.

β-ureidopropionase Deficiency

  • Jun Hwa Lee
    •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Genomics
    • /
    • 제5권1호
    • /
    • pp.5-11
    • /
    • 2023
  • β-ureidopropionase (β-UP) is an enzyme that catalyzes the final step in the pyrimidine degradation pathway, which converts β-ureidopropionate and β-ureidoisobutyrate into β-alanine and β-aminoisobutyrate, respectively. β-UP deficiency (UPB1D; OMIM # 613161) is an extremely rare autosomal recessive inborn error disease caused by a mutation in the UPB1 gene on chromosome 22q11. To date, approximately 40 cases of UPB1D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including one case in Korea.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tients with UPB1D are known to be diverse, with a very wide range of manifestations being previously reported; these manifestations include completely asymptomatic, urogenital and colorectal anomalies, or severe neurological involvement, including global developmental delay, microcephaly, early onset psychomotor retardation with dysmorphic features, epilepsy, optic atrophy, retinitis pigmentosa, severely delayed myelination, and cerebellar hypoplasia. Currently, diagnosis of UPB1D is challenging as neurological manifestations, MRI abnormalities, and biochemical analysis for pyrimidine metabolites in the urine, plasma, and cerebrospinal fluid also need to be confirmed by UPB1 gene mutations. Overall, treatment of patients with UPB1D is palliative as there is still no definitive curative treatment available.

선천성 식도폐쇄 환아의 동반기형 (Associated Anomaly of Esophageal Atresia)

  • 백진오;정은영;박우현;최순옥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81-87
    • /
    • 2011
  •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associated congenital anomalies in the patients with esophageal atresia with tracheoesophageal fistula (EA/TEF). Forty-two neonates with the diagnosis of EA/TEF treated over a 10 year period in a single instituti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demography of EA/TEF was analyzed. Major associated anomalies including vertebral, anal, cardiac, renal, limb, neurologic and chromosome were reviewed and categorized. Males were slightly more dominant than females (1.47:1) and all patients had Gross type C EA/TEF. Only 19 % of the patients had solitary EA/TEF without associated anomalies. Cardiac anomalies were the most common associated congenital anomaly in patients with EA/TEF (73.8 %). But 47.6 % were cured spontaneously or did not affect patients' life. Atrial septal defect (ASD) was the most common cardiac anomaly followed by patent ductus arterious (PDA) and ventricular septal defect (VSD). Among gastrointestinal anomalies (23.8 %), anorectal malform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70 % Vertebral and limb abnormalities accounted for 11.9 % and urogenital malformations 9.5 % of the anomalies in patients with EA/TEF. VACTERL associated anomalies were 23.8 % and 1.8% had full VACTERL. Almost 12 % of EA/TEF had neurologic anomalies. Patients with EA/TEF require preoperative evaluation including neurologic evaluation to detect anomalies not related to VACTERL. Though associated cardiac anomaly occurred in 73.8 % of patients in our study, only 21.42 % needed surgical correction. The authors suggesrs further studies with large numbers of patients with EA/TEF.

  • PDF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Routine Renal Sonography Screening for Healthy Infants with Isolated Single Umbilical Artery)

  • 강주미;송은송;국진화;이형신;김소영;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9호
    • /
    • pp.854-857
    • /
    • 2003
  • 목 적 :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의 약 1/3에서 위장관 폐색 및 요로 기형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요로 기형을 발견하기 위해 초음파 검사를 관습적으로 시행하고 있지만 실제초음파 검사상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출생 후 이학적 검사상 단일 제대 동맥이 있는 신생아에서 단일 제대 동맥이면서 증후군의 일부이거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질환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하고 건강한 신생아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배경과 출생 72시간 이후 신장 초음파를 실시하였고, 신장초음파상 이상이 있는 경우 지속적 추적관찰과 더불어 배뇨성 방광요도 조영술 및 technetium-99m-mercaptoacetyl-triglycerine(MAG3) 신스캔 검사를 실시하여 수신증의 크기, 폐쇄의 정도 및 신기능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0명의 남녀비는 1 : 1이었으며 평균 재태 연령은 $38.0{\pm}2.56$주, 평균 출생 체중은 $2,780{\pm}690g$이었다. 단일 제대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 30명 중 신장 초음파상 이상이 발견 된 례는 5명으로 16.7%이었고, 의미 있는 요로 기형은 1명으로 3.3%이었다. 이상이 발견된 5명 중 4명은 경도의 수신증으로 추적 검사상 자연 소실되었고, 1명은 심한 수신증으로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상 역류는 없었고 MAG3 검사상 좌측 신장 기능 저하가 보여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 론 :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신장 초음파 검사상 발견된 신장 이상은 16.7%로 일반인에서 보이는 신장 이상의 빈도와 큰 차이는 없었고 1명을 제외한 4명(80.0%)에서 자연 소실되었으므로, 비용-이익 면에서 볼 때 단일 제대 동맥을 가진 건강한 신생아에서 관습적으로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Anomalies in Children with Solitary Kidney)

  • 김주휘;이세은;정윤혜;한경희;이현경;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42-50
    • /
    • 2010
  • 목 적 :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및 장기적 신기능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20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진단된 38예의 단일신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단일신은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된 일측성 신장 무형성으로 정의하였고, 일측성 이형성 신의 퇴행으로 발생한 단일신은 제외하였다. 결 과 : 진단 연령의 중앙값은 6.5개월(출생직후-13세)이었고, 남자가 12명(31.6%), 여자가 26명(68.4%) 이었다. 19예(50.0%)에서는 좌측 신장이 없었고 19예에서는 우측 신장이 없었다. 산전 초음파에서 진단된 경우가 14예(36.8%), 신장 혹은 요로계 질환에 대한 검사 도중 13예(34.2%),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0예(26.3%)이었다. 동반 기형으로는 방광요관 역류 11예(28.9%)를 포함한 신장기형이 17예(44.7%), 기타 비뇨생식기계의 기형이 16예(42.1%) 그리고 다 기관 증후군 혹은 염색체 이상이 9예(23.7%)에서 진단되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중간값은 0.6 mg/dL이었으며 만성 신부전이 2예(5.3%)에서 확인되었다. 결 론 : 단일신은 신장의 선천성 기형 중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단일신은 다른 기관의 이상과 연관이 되어있거나 관련된 증상이 발생한다.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연관 기형의 조기 발견과 추적 관찰이 장기적인 신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소아 및 성인 마제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비교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Horseshoe Kidney)

  • 김유경;권남희;강동일;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73-78
    • /
    • 2013
  • 목적: 마제신은 신장융합(renal fusion)을 가진 가장 흔한 신기형이다. 저자들은 단일병원에서 관찰된 마제신 환자들의 동반 질환을 포함한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부산백병원에서 영상의학적 방법에 의해 마제신으로 진단된 환자 43명을 대상 (소아군 14례, 성인군 29례)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또한 소아군과 성인군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진단당시의 평균 연령의 중간값은 34세이었고, 성별은 남자 17명 여자 26명 이었다. 소아군(<18세, 14명)의 평균연령은 $6.7{\pm}6.2$세, 남자가 5명이 있었다. 진단 시 혈뇨를 보인 1명을 제외한 대부분 동반 질환의 평가 도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터너증후군이 5례(36%)로 가장 많았고, 동반된 비뇨기계 기형으로는 2명(14.2%)에서 신우요관협착을 동반하였다. 신기능은 마지막 추적검사까지 모두 정상이었다. 성인군에서 진단된 29명의 진단 당시 연령 중간값은 48세이었고, 남자가 12명 여자 17명이 있었다. 진단 시 다른 질환의 평가 중 18명이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11명은 혈뇨 또는 결석으로 인한 복통 등이 있었다. 동반질환으로는 터너증후군이 5례로 가장 많았으며, 5명에서 신우요관협착이 동반되었고, 그 외 수신증, 과민성 방광 등을 동반하였다. 마지막 추적검사에서 6명(21%)에서 신기능감소(혈청Cr>1.5)가 관찰되었다. 결론: 마제신은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동반된 단일 질환으로는 터너증후군이 가장 많았다. 성인기로 이행 후 다양한 비뇨기과적 합병증의 위험이 높으므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