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drainage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32초

내배수시스템 실시간 운영 모형을 이용한 배수펌프장 운영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Pump Operation Rule in a Drainage Pump Station using a Real Time Control Model for Urban Drainage System)

  • 이정호;이양재;김중훈;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11호
    • /
    • pp.877-886
    • /
    • 2007
  • 일반적인 도시 내배수시스템은 시설물과 운영방법으로 구분된다. 시설물은 관거, 수문, 배수펌프장 등으로 구성되며 운영방법은 펌프 및 수문운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내배수시스템에서 유역의 유출 및 펌프 운영을 실시간으로 모의하고 배수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운영 모형은 펌프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필요하며, 이러한 실시간 운영 모형을 통하여 도시유역의 침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펌프 운영 기법의 개발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WMM 5.0 DLL과 Excel을 포함한 Visual Basic 6.0을 연계하여 실시간 운영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펌프 운영을 위한 두 개의 펌프 운영 기법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각 맨홀의 수위를 통하여 현재 상황을 고려한 펌프의 운영이며, 둘째는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각 시간단위별 유입량 전량을 배제하는 기법이다. 제안된 두 개의 기법은 현재의 펌프장 운영 기법인 유수지 수위에 따른 펌프 운영을 모의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은 중곡배수분구에 적용되었다.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Roadside Gully-Pot Sediments, Seoul, Korea

  • Kim, Sung-Hwan;Lee, Pyeong-Koo;Yun, Seong-Taek;So, Chil-Sup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22-225
    • /
    • 2001
  • In urban environments, the surface land impermeability fundamentally related to urban growth emphasizes th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storm water peak flow (so-called the urban flooding) and the pollution. The conventional urban drainage system provides a number of temporary reservoirs intercepting and retaining surface-derived pollutants following their introduction to and deposition upon the impermeable surface. Gully-pots are common features in urban drainage systems in Korea, which were installed for draining rainwater to prevent regurgitation in rainy season and retaining larger particles, hence minimizing pipe blockage problems. When the road runoff conveying sediment enters a gully-pot, the sediment mixes with the gully liquor causing direct pollution of receiving waters.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ediment contamination are usually related to the types of land use activities that take place or have taken place within the area.,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the contamination of gully-pot sediments in Seoul with respect to heavy metals such as As, Cd, Co, Cr, Ni, Pb, Cu and Zn. The heavy metal data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land use type. In this paper, sampling sites in Seoul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commercial area, industrial area, residental area, motor way, rural area, and local pollution).

  • PDF

도시소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수문모형의 개발과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Hydrologic Model of Storm Sewer Runoff at Small Urban Area)

  • 박승우;이영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0년도 수공학논총 제32권
    • /
    • pp.19-19
    • /
    • 1990
  • 도시화한 소유역에서 배수조직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의한 유출현상과 침수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시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URAM)을 개발하여 시험유역에서의 실측치와 본 모형을 이용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한 후 실유역에 적용하여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URAM을 이용 시험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발생한 결과 실측치와 잘 일치함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상습침수지역에 대하여 침수현상을 모의발생시킨 결과 계산된 침수특성은 실제 현황과 정상적으로 잘 일치하여 본 모형은 도시소유역 유출해석에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도시소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수문모형의 개발과 응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Hydrologic Model of Strom Sewer runoff at Small Urban Area

  • 이영대;박승우
    • 물과 미래
    • /
    • 제23권3호
    • /
    • pp.329-340
    • /
    • 1990
  • 도시화한 소유역에서 배수조직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의한 유출현상과 침수상황을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시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URAM)을 개발하여 시험유역에서의 실측치와 본 모형을 이용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한 후 실유역에 적용하여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URAM을 이용 시험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발생한 결과 실측치와 잘 일치함을 보여 주었으며, 또한 상습침수지역에 대하여 침수현상을 모의발생시킨 결과 계산된 침수특성은 실제 현황과 정성적으로 잘 일치하여 본 모형은 도시소유역 유출해석에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의 배수시설 특성 - 서울시 배봉산공원과 오금공원을 사례로 - (A Study on Drainage Facilities in Mountainous Urban Neighborhood Parks - The Cases of Baebongsan Park and Ogeum Park in Seoul -)

  • 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0-92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있는 산지형 도시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시설의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배수현황, 우수유출량, 배수유출량,그리고 배수시설용량을 산출하고, 우수유출량과 배수유출량을 비교분석을 위해 배수유출량계수를 산출하고 배수시설의 설치규모를 분석하고자 배수시설용량계수를 도출하여 배수구역 및 공원별로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봉산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34.13ha로서 배수유형별로는 표면배수구역 15.05ha(44.09%), 개수로배수구역 14.60ha(42.78%), 자연수로배수구역 4.48ha(13.13%)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표면배수구역이 넓어 자연상태의 표면유출이 많았다. 한편, 오금공원의 전체배수면적은 20.39ha로서 표면배수구역 2.52ha(12.36%), 자연수로배수구역 0.56ha(2.75%), 개수로배수구역 10.14ha(49.73%), 산마루측구배수구역 7.17ha(35.16%)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인공적인 배수시설구역이 높게 나타났다. 2. 배봉산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7.28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23m^3/s$이며, 각 배수구역은 규모가 크고 길어서 우수유출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의 총우수유출량은 $4.37m^3/s$로서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 평균은 $0.12m^3/s$으로 배봉산공원에 비해 절반 정도로 나타났으며, 지형의 기복이 뚜렷하지 않고 배수시설이 많아 배수구역이 작게 세분되었다. 3. 배봉산공원에 개수로가 설치된 배수구역의 전체 배수유출량은 $11.58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77m^3/s$, 평균배수유출량계수는 5.26이었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유출량은 $15.40m^3/s$이고, 배수구역별 평균배수유출량은 $0.34m^3/s$, 평균 배수유출량계수는 8.87로 나타났다. 배봉산공원은 배수구역별로 개수로의 규모와 경사 등이 커서 상대적으로 평균 배수유출량이 높게 나타났지만, 배수유출량계수는 배수구역별 우수유출량이 적은 오금공원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 배봉산공원의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554.5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179.83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금공원은 전체 배수시설용량은 $717.74m^3$로서, 배수시설용량계수는 평균 339.69로 나타났다. 오금공원이 배수시설용량계수가 훨씬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오금공원에서 배수유역별로 설치된 배수시설의 총량이 많으며, 집약적으로 설치된 것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이고 조방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배봉산공원과 인공적이고 집약적인 배수체계로 조성된 오금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배수유출량계수와 배수시설용량계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산지형 도시공원의 배수시설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향후 공원의 배수유출량과 배수시설용량을 비교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결과는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계획 및 설계와 우수의 저류 및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를 구축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시공원의 배수시설 특성은 지형 및 경사, 식생, 배수유형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공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더욱 많은 공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공원에서 우수를 저류하고, 생태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인 배수체계 및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지하차도 부력저감을 위한 유도배수공법의 적용성 검토: 수치해석적 연구 (Applicability examinations of induced drainage system for reduction of uplift pressure in underpass structures: Numerical study)

  • 조선아;진규남;심영종;조계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23-134
    • /
    • 2013
  • 도시지역에 주로 건설되는 지하차도는 기존의 터널과 달리 지표면에 근접한 지반에 시공되어 지하수의 양압력에 의한 구조물 부상 및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심지 지하차도의 기존 설계방법(사하중 증가 또는 영구앵커 등의 부력 대처공법)은 지나치게 안전측인 보수적 설계를 수행하고 있어 시공기간 및 경제적 비용 증가를 초래한다. 최근 이를 보완하는 공법으로 영구배수공법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대상 토질과 지하수 등을 고려한 적절한 분석과정 없이 선정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Y지역에 설치되는 영구배수공법의 일종인 유도배수공법을 대상으로 지반공학적 관점에서 합리적인 설계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화, 지하차도 옹벽 높이, 기초지반 조건 등 다양한 매개변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유도배수공법은 지하수에 의해 발생하는 양압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수펌프장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퍼지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Fuzzy Model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mping Station)

  • 김윤태;심재현;정재학;안재찬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51-60
    • /
    • 2004
  • 최근 도시지역의 수해요인은 내수침수불량에 기인하기 때문에 유수지 및 배수펌프장을 신설하여 유수지로 유입되는 유출량을 하천으로 강제배수하게 된다. 그러나 하수관거의 용량이 부족하여 유수지로 미처 유입되기 전에 하수관거의 역류로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배수 체계의 조사방법을 제시, 하수관거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배수펌프의 가동대수를 단순한 수위기준에서 변화시켜 실무에서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전산모형 8개를 개발하여 제시하였고, 지속기간, 설계빈도, 시간분포 등을 변화시켜 유수지 수위의 적정 조절여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강제적인 배수에 의해 하류부의 수위영향이 예견되기 때문에 해당 유역의 수위를 안전하게 유지하면서도 하류부에 수위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Fuzzy 모형이 기존의 운영방법보다 더 효과적으로 유수지의 수위를 저하시킬 수 있었으며, 하류부 수위는 약 8cm 정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수리실험을 이용한 지하유입시설 유입구 형상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분석 (Study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with the Shape of the Intake of an Underground Inflow Facility using Hydraulic Experiments)

  • 성호제;박인환;이동섭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9-126
    • /
    • 2018
  • In recent years, as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s increased, the great-depth tunnel using urban underground space is emerging as a countermeasure of urban inundation. The great-depth tunnel is used to reduce urban inundation by using the underground space. The drainage efficiency of great-depth tunnel depends on the intake design, which leads to increase discharge into the underground space. The spiral intake and the tangential intake are commonly used for the inlet facility. The spiral intake creates a vortex flow along the drop shaft and reduces an energy of the flow by the wall friction. In the tangential intake, flow simply falls down into the drop shaft, and the design is simple to construct compared to the spiral intake. In the case of the spiral intake, the water level at the drop shaft entrance is risen due to the chocking induced by the flowrate increase. The drainage efficiency of the tangential intake decreases because the flow is not sufficiently accelerated under low flow conditions. Therefore, to compensate disadvantages of the previously suggested intake design, the multi-stage intake was developed which can stably withdraw water even under a low flow rate below the design flow r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the multi-stage intake were analyzed by changing the flow rate to compare the drainag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take design. From the measurements, the drainage efficiency was improved in both the low and high flow rate conditions when the multi-stage inlet was employed.

부압을 이용한 배수시스템의 비정상상태 유동특성해석 (Study on the unsteady characteristics of depressurized drainage system)

  • 이길석;이진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682-2687
    • /
    • 2008
  • Depressurized drainage systems have been used for more than 30 years and are becoming a common part of urban drainage infrastructures. The hydraulic principles governing the operation of the depressurized drainage systems were studied in this paper and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nalysis of unsteady characteristics of the two-phase flow. A definition of the filling ratio was outlined and types of flow patter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lling rati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features of pressure fluctuation. All results were found to depend on the filling ratio of the upstream pipe flow as well as the upstream Froude number.

  • PDF

건물의 영향을 고려한 이중배수체계기반 침수해석 (Analysis of Urban Inundation Considering Building Footprints Based on Dual-Drainage Scheme)

  • 이정영;진기호;하성룡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5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의 유무에 따른 도시지역의 침수특성을 이중배수체계기반의 2차원 침수 해석모형을 이용하여 각각 해석하고 해석 결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LiDAR 측량 기반 $1m{\times}1m$ 해상도의 표고모델과 표고모델 위에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표수 유입을 억제하는 격자를 생성한 표고모델의 2가지 지형자료를 구축하였고, 2가지 지형조건을 2차원 침수해석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10m{\times}10m$ 해상도로 re-sampling 하였다. 분석 결과, CCTV 영상에 의한 실측 침수심 자료와 모의값을 비교한 결과, 건물을 고려하지 않은 지형자료를 사용한 경우 침수심이 과소 산출되었으나, 건물을 고려한 경우에는 실측값과 근사하게 모의되었다. 침수심의 차이는 침수 가능 면적의 변화에 따라 침수체적이 변하게 되므로, 지표면으로 유출되는 수문량이 절대량으로 고정된다면 침수 가능영역이 큰 지형자료를 사용한 경우 침수심이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침수흔적도와 비교한 침수면적은 두 지형자료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근사하게 건물을 고려한 경우의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침수면적과 침수심의 두 가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면, 이중배수체계기반의 2차원 침수해석모형을 활용하여 도시유역의 침수해석을 수행하는 경우, 건물을 고려한 지형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