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Model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 홍상기;조성윤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9-27
    • /
    • 2009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시스템 기반 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 시설물 관리 대상 시설물인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참조모델 개발을 위해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 (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표준화된 참조모델을 도출하였다.

  • PDF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Service-oriented Connection Model among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Platforms)

  • 김병선;안종욱;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1-18
    • /
    • 2014
  • 본 연구는 공간정보 서비스 중심의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의 필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산 학 연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연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효율적인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ingle Point Access 플랫폼 연계 모델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과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중심의 플랫폼 정부 구현, 국가 공간정보 플랫폼 개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 및 국가 정보화 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 플랫폼 개발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Strategy for Integrated Urban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Platform)

  • 홍상기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119-126
    • /
    • 2008
  •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도시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 특히 지상 및 지하시설물 관리에 필요한 센서 및 미들웨어 기술, 유무선 네트워크, GIS-USN 연계 등의 요소기술이 집적된 지능형 도시운영 기반환경으로 정의된다.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은 상수도, 하수도, 가스, 난방, 송유, 전력, 통신의 7대 지하시설물과 교량, 육교, 터널 등 도시 지상시설물 등 도로기반시설물 관리를 지능화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통합플랫폼 개발을 위해 플랫폼의 비전을 설정하고 개방형 분산처리 레퍼런스 모델(RM-ODP, Reference Model for Open Distributed Processing)의 적용을 통해 개발전략을 도출하였다.

  • PDF

공간빅데이터 개념 및 체계 구축방안 연구 (Study for Spatial Big Data Concept and System Building)

  • 안종욱;이미숙;신동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43-5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개념과 효과적으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3V(volume, variety, velocity)로 정의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빅데이터로 진화시키는 기반이라 할 수 있다. 공간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기반, 융합플랫폼, 서비스제공자, 생산요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빅데이터체계의 구성요소는 인프라(하드웨어), 기술(소프트웨어), 공간빅데이터(데이터), 인력, 법 제도 등이며,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목표로 공간기반 정책수립 지원,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산업활성화, 공간 빅데이터 융합기반 조성, 공간관련 사회현안의 적극적 해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목표에 대한 추진전략은 범정부적 협력체계 구축, 신산업 창출 및 활용 활성화, 성과활용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간빅데이터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로 제시하였다.

도시단위 건축물 CO2 저감을 위한 데이터 통합 활용 기반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Utilization of Urban Spatial Data and Building Data for CO2 Reduction)

  • 최혜미;박창한;김주형;김재준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10
    • /
    • 2015
  • We have researched a character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ata for integrated utilization of urban spatial data and building data for $CO_2$ reduction. We consider literature on integrated utilization of BIM and GIS and measure method of $CO_2$ in urban spatial unit. Among them without distortion of standard data structure, derive method how to install between BIM and GIS standard data. Rhino & Grasshopper is utilization tools of DB platform. The compatibility with existing BIM and GIS data format, graphic and numeric results can be output at the same time. And using the existing ARCHSIM, it can be easily combined for building energy analysis program. Based on BIM and GIS data to run an energy analysis target on Majang-dong, it could be poly synthetically derived the value information and graphic information.

도시공간의 옛모습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 조선왕조실록과 도성대지도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the Presumption of Old Urban Space -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Great Map of Seoul -)

  • 최무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107-115
    • /
    • 2018
  • It is a basic study to speculate the old form of urban spa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how to build a database that can synthesize multiple data describing the pas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to the first half time of Seoul City during the Chosun Dynasty. Data is structured systematically and inclusively through digitizing, visualization, and specification. Through this, the city's urban space scene is reconstructed as a map of the city. And maps include various humanities information explaining the aspects of space activities. And it will become a system that will facilitate data management and improve the clarity of information.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분석 및 구축 (A Study on Analysis and Development of Geo-Spatial Collaboration Platform)

  • 최원욱;홍상기;안종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3-46
    • /
    • 2015
  • 일반적으로 공급중심의 공간정보 데이터 구축 및 서비스 개발은 정보의 최신성, 다양성, 활용성의 한계를 수반한다. 최근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공간정보 웹서비스에 사용자 경험과 참여기반의 공간정보(VGI: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를 활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협업지원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개념적 아키텍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또한 '3D POI 생산모듈', '3D POI 활용모듈', '3D POI/이벤트 관리모듈', '3D POI/이벤트 모니터링 모듈' 총 4개의 모듈로 구성된 프로토타입을 공간정보 협업을 위한 기능으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개별 모듈들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3차원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활용한 일조 시간 산정 (Calculation of the Duration of Sunshine Using a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pen Platform)

  • 박지혜;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0-89
    • /
    • 2017
  • 오늘날 도시성장과 인구밀집으로 인해 많은 대도시에서 빌딩숲이 생겨나고, 그로인한 쾌적한 거주환경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일조권 침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법규 및 관련분야의 연구가 수행되기 시작하였으나, 특정 전문기관에 의뢰 없이 일반인이 쉽게 건물 층별 일조권을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오픈 플랫폼을 이용하여 도시음영지역 분석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물 객체별 일조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해운대구 신도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운대구 신도시지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기 구축된 건축물 3차원 공간정보 데이터에서 건물높이를 추출하고,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이용하여 3차원 도시 공간 음영분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건물의 각 객체별 일조권을 연속 일조시간과 총 일조시간으로 구분해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서 일조권 침해 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용량 정보처리기술을 통한 U-City 통합플랫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the Methods to Improve the U-City Platform through High-Capacity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 홍재주;이병노;이준형;원동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55-65
    • /
    • 2015
  • 현대도시와 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고 운영하는 U-City 통합플랫폼이 도입되었다.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더 많은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어려움과 더불어 제한된 자원으로 적시의 필요한 정보를 찾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플랫폼의 운영비가 더 증가하면 할수록, 이를 유지하고 지속적인 투자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우려가 거세졌다. 이에 우리는 기존의 플랫폼의 한계점을 집어보고, 새로운 요구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기능 등을 개선하고자 하는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전산환경의 기반을 제시하였다. U-City 통합플랫폼의 고도화로 비용절감의 효과와 편익 증가를 기대한다.

지능형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Urban Object Identification System Based on Network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y Management)

  • 김태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2-181
    • /
    • 2011
  • 최근 u-City, u-EcoCity, Smart City 구축 등을 통해 기존 도시를 혁신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도시시설물관리체계 또한 단순한 DB대장 관리를 넘어서 최신 IT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사전대처를 하려는 다양한 개발들이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시설물 관리체계의 혁신을 위해 도시공간객체의 표준화된 위치기반 ID체계인 도시공간객체식별자(UOID)를 제시하였으며, 네트워크 기반으로 관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시키기 위한 UOID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세종시 테스트베드를 통해 시스템을 시험검증하여 완결성 및 안정성을 확보중이며, 도시공간정보플랫폼의 서비스 모듈로 탑재되어 향후 u-City 등에서 다양한 u-Service에 활용가능하도록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