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Media Facad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영상디자인 구성요소 연구 (Study of the Image Design Components of Urban Landscape Media Facade)

  • 유정선;정진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478-6483
    • /
    • 2014
  • 미디어파사드는 건물 외벽을 스크린으로 삼아 영상을 투사하는 것이다. 미디어파사드는 도시 공간에서 고도의 시장 경쟁 상황에 지쳐있는 수용자의 문화적 감성을 회복하며, 도시미학으로 발전하였다. 그래서 도시가 주제가 되기도 하고 투사 대상이 되기도 하면서 영상디자인으로 재해석 될 수 있다. 문화적인 면에서의 미디어파사드는 예술적 가능성과 공공성의 강화가 논의되고 있다.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 중의 하나는 건물 또는 투사 대상 주변과 소통되는 미디어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014 광화문 미디어파사드, 2014 세종문화회관 미디어파사드, 2013 남산 미디어파사드 등의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를 비교분석 결과 모티브, 컨셉, 스토리, 투사형태 등 네 가지 영상디자인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캔버스와 극장 스크린을 박차고 나아가 새로운 기술적 장르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미디어파사드는 앞으로도 한 차원 높은 도시의 상징적 예술행위로서 메시지와 테마 그리고 기술적 진보를 담아내야 한다. 본 논문은 상징적인 도시경관 미디어파사드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영상디자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에 나타나는 서사 구조에 대한 연구 - 서울스퀘어의 정규 콘텐츠를 중심으로 (Analysing the narrative structure in the contents of Media facade)

  • 이유나;정창용;김형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67-379
    • /
    • 2013
  • 디지털 영상문화와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를 활용해 건축물의 벽면을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활용하는 미디어 파사드는 현대 도시 공간을 시각적, 예술적인 표현 요소들로 연출하고 있다. 미디어 파사드는 디스플레이 공간으로 활용되는 것 이상으로 많은 가치와 새로운 도시 문화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표현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한 미디어 파사드 콘텐츠의 역할은 그만큼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와 서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미디어 파사드에 적합한 콘텐츠의 특성을 파악해 미디어 파사드의 적절한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사 구조의 구성요소인 이야기, 담론, 시간성, 공간성 차원에서 미디어 파사드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어떤 형태의 서사구조를 갖는 가에 주목하여 이것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콘텐츠의 서사 방식을 미디어 파사드의 적절한 활용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감성 어휘에 따른 미디어 파사드 사례의 선호도 조사 분석 (Analysis of Preference Survey for the Media Facade Cases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Keywords)

  • 김주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58-67
    • /
    • 2013
  •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investigation of media facades used for landmarks in downtown areas in previous studies, visits to these areas, and recording of media facades. The changes in the colors or the size of buildings were analyzed among the recorded cases and 12 of these case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 sensibility preference of the media facades was evaluated by sorting the 12 kinds of media facades, and providing them as materials to a group of 60 participants (40 undergraduate and 20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and design) consisting of an equal proportion of males and females.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four_stage questions: 1) Five questions of recognition evaluation about media facades and the cognitive evaluation items of emotional vocabulary and color preference in each research case; 2) sensibility preference items regarding the media facade color design; and 3) design evaluation items of the media facades; 4) Video clips and still images were recorded from a middle distance at 7p.m to 11p.m. in central New York, Singapore, Seoul, and Beijing. The participants looked at the changes in colors through the video clips in each case and evaluated their preferences through 23 pairs of emotional vocabulary items using system dynamics. Construction of an emotional vocabulary follow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media facades and color design. To evaluate the sensibility preference and the perceived representative colors of the media facade, this study suggests new emotional responses that depended on the color emotional vocabulary of light in the LED lighting technical evaluation methodology. A media facade with a moving change of colors, unlike a fixed landscape color design, suggests a new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architectural factors. New architectural color coordination can be presented for urban landscapes at night. Designs that factor in the pedestrians' emotional vocabulary or preference should take precedence over the use of high luminance and various colors.

주차건물 파사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Design at the Facade of Parking Garage)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135-142
    • /
    • 2011
  • This study applies the 'interface' as the concept to interpret the facade design of parking garag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face design in the parking garages to improve design qualities of parking garages as a daily living space as well as a public space in today's city. The facade of parking garage is an interface between the urban streets and the parking space. Three concepts of interface and design in parking garage are defined. The concept of interface is explained as a boundary surface which activates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facade design of parking garage, three main concepts of interface design are screen, communication and mobil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examples,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ade design of parking garage as follow; first, the facade of parking garage is designed as a screen which represents immateriality by specially selected and arranged surface materials. The screen facade is designed as one homogeneous surface as well as an irregular pattern with operable louvers. Second, the facade of parking garage is designed as a communication media to deliver direct information. The representation of natural or artificial characteristics at the local areas is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in the community. Third, the facade of parking garage is represented mobility which a car symbolizes. It emphasizes various movements and visual changes by movements. People can experience the visual changes of the building facade as they walk or drive. The visual changes of the facade are caused by natural elements such as wind and light as well as an optical illusion.

디지털영상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매체적 의미성 연구 (Study for the meaning of facade as media)

  • 이종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1호
    • /
    • pp.209-226
    • /
    • 2013
  •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격하고 다양한 예술적 변화와 함께 사회 인프라의 디지털 첨단화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환경 건설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라 표현되는 도시 건축물 전면의 대형 영상이미지들은 이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 공간속에 녹아든 IT 기술은 이제 건축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프라적 확산과는 다르게,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야간의 경관조명이나 옥외 영상광고 정도의 수준에서 제도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미디어 표현의 다양한 시각적 예술성 표현의 가능성 보다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미디어 파사드의 본질적 개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아 도시 캔버스화라는 매체적 차원에서 의미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와 파사드의 각각의 사전적 정의를 조사하여 미디어파사드의 본질적 정의는 무엇인지 문헌을 통해 새롭게 정의되도록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 미디어파사드 라는 용어는 한.중.일 3개국에서만 통용되고 서구권 나라들에서는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국 미디어파사드는 경관조명 차원에서 기술적으로 분류되기 위한 목적이 강하며, 학술적으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는 용어이다. 예술분야에서 바라보는 미디어 파사드는 신 매체적 차원에서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 미디어파사드 정책에 대한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무분별한 조명연출이 아닌 도시의 캔버스화라는 개념에서 예술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rchitecture_Speaking in Colors

  • Kim, Tae-E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3호
    • /
    • pp.167-176
    • /
    • 2019
  • Building skins are expanding even beyond theirfunctions as a simple boundary between the exterior and interior and into the realm of linguistic functions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rt. LED has been used as material on outer walls following the advancement of building materials, so the outerskins of large buildings are evolving into a messenger of language capable of communication. In big cities, buildings send out video images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architecture, which plays a huge role in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building beyond simple advertising. Such media fa?ade technologies can be understood based on the concept of outerskin change, which refers to the idea that animals change the colors or textures of their skins to show their various states. In addition, various message delivery functions in human clothes should be included in such a discussion. We need to research on the possibilities of seeing media facades for their information delivery function and expanding them into information delivery between buildings as well as just between buildings and people.

Signaling Smartness: Smart Cities and Digital Art in Public Spaces

  • Littwin, Karolina;Stock, Wolfgang 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1호
    • /
    • pp.20-32
    • /
    • 2020
  • Informational urbanism is a new research area in information science. In this study, art history joins informational urbanism: Are digital artworks in public urban spaces recognized as essential assets of a smart city? We employed case study research, working with the example of the huge digital media façade of the Arthouse Graz as an artwork in a public space. In a mixed-methods approach, we asked passers-by and interviewed experts on Graz as a smart city and on the Arthouse's role concerning the image of Graz as a smart city. The research found strong hints that indeed digital artworks with large screens or media façades at public spaces are parts of a city's weak location factors as well as of the city's urban structure and may symbolize the city's smartness. A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finding is that artists,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tists, city planners, and architects should include interactive contemporary digital art into city space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ity's way towards knowledg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