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for the meaning of facade as media

디지털영상으로써 미디어파사드의 매체적 의미성 연구

  • 이종한 (호서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3.05.01
  • Accepted : 2013.06.03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With rapidly changing multimedia environment, various artistic changes and digitalized up-to-date social infra, urban environment construction based on culture contents has been activated. The large image in front of urban building that is expressed as media-façade, increasing rapidly in a recent period, is not a new thing at all. In addition, IT technology molten in city space is testing the possibility of new media through the meeting with architecture. However, unlike its infra enlargement, the definition about media-façade is not clear so the system was constructed in a level of night lightscape or outdoor image advertisement. The purpose of this guideline is the regulation from the negative aspect rather than the possibility of various visual, artistic media expressions. Therefore, it could not show essential concept of media-façade. Moreover, most of companies or building owners focus on short-term profit and marketing effect rather than prepare various contents so they can not use constructed infra properly. After all, in many cases, they discolor the meaning of media-façade. This paper is a pilot study to grasp the current definition of media-façade to construct right guideline of media-façade.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will prepare academic definition of media-façade and construct the guideline for design evaluation.

멀티미디어 환경의 급격하고 다양한 예술적 변화와 함께 사회 인프라의 디지털 첨단화로 문화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환경 건설이 활성화되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미디어 파사드(Media Facade)라 표현되는 도시 건축물 전면의 대형 영상이미지들은 이제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또한 도시 공간속에 녹아든 IT 기술은 이제 건축과의 만남을 통하여 새로운 미디어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인프라적 확산과는 다르게, 미디어 파사드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야간의 경관조명이나 옥외 영상광고 정도의 수준에서 제도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미디어 표현의 다양한 시각적 예술성 표현의 가능성 보다는 부정적 측면에서의 규제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미디어 파사드의 본질적 개념을 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미디어 파사드의 뉴미디어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아 도시 캔버스화라는 매체적 차원에서 의미를 분석한다. 이에 따라 미디어와 파사드의 각각의 사전적 정의를 조사하여 미디어파사드의 본질적 정의는 무엇인지 문헌을 통해 새롭게 정의되도록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 미디어파사드 라는 용어는 한.중.일 3개국에서만 통용되고 서구권 나라들에서는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국 미디어파사드는 경관조명 차원에서 기술적으로 분류되기 위한 목적이 강하며, 학술적으로 명확히 규명되지 않는 용어이다. 예술분야에서 바라보는 미디어 파사드는 신 매체적 차원에서 미디어아트의 한 분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 미디어파사드 정책에 대한 올바른 가이드라인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보며, 이 가이드라인을 통해 무분별한 조명연출이 아닌 도시의 캔버스화라는 개념에서 예술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흥권.임채진, 현대건축표피의 미디어파사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2호(2008), pp.5-12.
  2. 백승철, "공공디자인을 위한 미디어파사드 평가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9).
  3. 신영환.원민수, 뉴 미디어 하이퍼 파사드 콘텐츠 신기술, 진한엠엔비, 2011.
  4. 이성창, 도시경관을 고려한 서울시 미디어파사드 설치 및 관리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2012.
  5. 이현진, 도시 미디어 스크린 경험의 확장: 거대한 캔버스가 되는 도시, 디자인학연구, Vol.24. No.1(2010), pp.5-14.
  6. 정주희.김정태, 미디어파사드 건축물의 야간조명 특성분석,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24권 1호(2010), pp.45-55.
  7. 천지은.김상욱, 미디어 파사드 사례 조사와 국내 현황과 문제점,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3권 1호(2010).
  8. 최정은, "미디어 파사드의 하이퍼매개성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9. M. DAVID EGAN, 박종호 역,건축조명개론, 기문당, 1992
  10. Moloney, Jules, Between Art and Architecture: The Interactive Skin, University of Melbourne, 2009.
  11. Uk Chon, Hohyun Lee, Joonsung Yoon. "3D ARCHITECTURAL PROJECTION, LIGHT WALL. Department of Digital Media,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Leonardo, Vol. 44, No. 2(2011).
  12. XU Zhou, "A study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ightscape in Shanghai",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vol.5, no.1(2006).
  13. 네이버백과, http://100.naver.com/100.nhn?docid=180017, 2013.01.10
  14.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50, 2013.01.10
  15. Google, www.google.co.kr, 검색어 : 미디어파사드, 프로젝션맵핑, LED 전광판, 2013, 01,25
  16. 국토해양부, 경관계획수립지침, 2009.
  17. 서울특별시, 서울시 야간경관 기본계획, 2008.
  18. 서울특별시, 서울시 도시경관조명 설치규제 조례 개정, 보도자료, 2009.
  19. 한국경관학회, 쾌적한 야간경관 형성을 위한 경관조명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2011.

Cited by

  1.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facades vol.9, pp.12, 2014, https://doi.org/10.13067/JKIECS.2014.9.12.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