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Greenery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7초

병원 옥상정원의 이용후 평가 -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oofgarden at Hospital -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

  • 김인혜;허근영;최아현;김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8-72
    • /
    • 2003
  • Rooftop greenery has been used as a way to solv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by creating green space in densely populated c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ggest more effective designs for roof-garden at hospitals through a post-occupancy evaluation. The roofgarden of Asan Medical Center was evaluated with regards to setting, proximate environmental context, users, and design activity by a multi-method including plan investigations,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users' main activities included resting, walking, and talking. A number of users were observed at shaded spaces sitting on such things as benches, pergolas, and shelters.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showed high satisfaction level except in the amount of shade, facilities, and shelter. The variables affecting a overall satisfaction were ‘accessibility’, ‘safety’, ‘quality of surroundings’, and ‘suitability for speculation’. By comparing the design concept with using pattern, designer's intention was not reflected sufficiently in several aspects such as ‘event deck for therapy programs’, ‘grove and path’, and ‘low planters’. This study suggests some design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furnish shaded sitting places for passive behaviors and pathways for walking or a light exercise. A wind-break wall with glass windows could widen the users' views in a limited space. Natural shade like tree shade or pergola are more desirable than artificial shades. As for the vertical location of the roofgarden, the middle floor could be better than top area for acc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building and users should be considered in detail to provide distinct spaces. Proper technical standards for th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should be established.

도시공원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 간 인식 차이 연구 - 인천광역시 월미공원을 중심으로 - (Recognition Difference of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o Urban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Wolmi Park in Incheon -)

  • 김진탁;조중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32-441
    • /
    • 2011
  • 본 연구는 외부 관광객이 많은 인천광역시 월미공원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외부 관광객 사이의 공원 운영과 관리에 대한 인식 차이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공원 이용 활성화와 효과적인 운영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2009년 5월 1일부터 4일간 총 222명의 공원 방문객을 대상으로 현지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방문횟수 및 목적, 보완 시설물 등에서 지역주민과 외부 관광객 간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인근 관광지에 대한 인식이 공원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함에 따라 공원 구역 내뿐만 아니라 주변지역의 운영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Visitor's Positive Emotion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 the Perception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Healing Garden

  • Jang, Hye Sook;Jeong, Sun-Jin;Kim, Jae Soon;Yoo, Eunh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7-291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itors' positive emotions on satisfaction and loyalty with the perception of restorative environment of a healing garden created in an urban agriculture expo. Methods: The psychological indicators to the images of the healing garden were analyzed by the visitors'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y level: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plant preference, and plant-related event. Results: Between age groups and occupationa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statistically.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P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repose, fascination and legibility. The Positive Affect &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in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NAS and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level, the four factors of the P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three factors of plant cultivation experience level, the four factors of the PRS, satisfaction and loyal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s and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negative emotions significan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ummy variable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lant cultivation activity level, attention restoration, and the PANAS on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As a result, among the four factors of the PRS, fascination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attention restoration of visitors due to the fascination of the healing garden and the higher their positive affectivity and the more they have plant-related memories, the higher their impact on healing garden visitors' satisfaction and loyalty. Therefore, fascinating natural environments or greenery landscapes like healing gardens where people can contact plants would reduc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d sadness but to increase positive emotions such as pleasure, joy and satisfaction.

Changes in Electroencephalographic Results and Heart Rate Variability after Exposure to Green Landscape Photographs Correlated with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Level

  • Lee, Min Jung;Oh, 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39-649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Various images from visual display terminals (VDTs) as well as living lighting are important parts of our daily life; thus, properly controlling the lighting environment - that is, illuminance, color temperature and good images from VDTs - can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improving the mental health and work efficiency in everyday life. We examined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responses to various lighting conditions in 25 university students as they viewed images of a green landscape or traffic congestion. Methods: EEG was performed in darkness and when the room was illuminated with 10 different light-emitting diode (LED) color temperatures, while the EEG and HRV responses to green landscape or traffic congestion image stimuli were measured in darkness and during room illumination with three different LED color temperatures. Results: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arkness and high LED illumination (400 lx) at 7 (CZ, F4, FZ, O1, O2, OZ, and T6) of 30 channels, while the alpha wave activity increased during darkness.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green landscape image stimuli in the 30 lx-2600 K lighting condition elicited theta wave activity on the EEG, whereas the traffic congestion image stimuli under high LED illumination elicited high beta and gamma wave activities. Moreover, the subjects exhibited better stress coping ability and heart rate stability in response to green landscape image stimuli under illuminated conditions, according to their HRV.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er color temperatures and illumination levels alleviate tension, and that viewing green landscape image stimuli at low illumination, or in darkness, is effective for reducing stress. Conversely, high illumination levels and color temperatures are likely to increase tension and stress in response to traffic congestion image stimuli.

국내외 조경식물의 규격 및 품질기준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 권영휴;김석진;박채란;한상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73-84
    • /
    • 2015
  •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dicates that the individual country characteristically develops and uses their own standards for landscape plants. Ultimate aim of these regulations is to develop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classified by kinds, types and purpo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tandards and instructions for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such as Germany, Switzerland, America, Canada and Japan. Our results indicated that Korea and Japan used the diameter at 1.2m above from ground surface for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hereas Germany and Switzerland at 1.0m above from ground surface. In case of America and Canada,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included crown width, height and DBH of plants. In Germany, the standard for creeping plants and herbaceous flowers wa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e root size of plants with the standard of containers(seven to eleven types).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and environmentally suitable guideline for the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also for developing the standardized distribution structures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landscape plants in Korea.

도시녹지면적 확보를 위한 조경수목선정 및 식재지 조성방안 연구 - 건축물 옥상, 지하주차장 상부를 중심으로 - (Planting Methods and Selecting the Landscape Woody Plants for the Expanding Urban Greenary Area - Focused on the Rooftops and Artificial Ground of Underground Parking Lots -)

  • 황경희;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6-60
    • /
    • 1997
  • 본 연구는 인공지반 녹화에 적합한 수종의 선정과 식재기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실험식재와 사례조사이 두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식재를 토한 자연토양과 인공토양의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두 지역의 생육이 비슷하거나 인공토양에서 더 양호하게 나타났다. 인공토양 식새지에서 생육상태가 더 좋게 나타난 수종은 옥상실험구에서는 서약측백, 살구나무, 단풍나무, 불두화, 회양목, 지하주차장 상부 실험구에서는 수수꽃다리, 무궁화, 자산홍이었다. 인공토양의 토층별 수목생육상태 관찰결과 관목은 토층에 따른 새육상의 차이가 거의 없어, 토층 30cm에 관목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교목식재지는 45~60cm 토층의 인공토양으로 조성하여도 수목생육이 가능함을 알 수있었다. 인공지반 조경녹화지역 사례분석결과 수도권 지역에서는 감나무, 무궁화, 수수꽃다리, 목련, 신나무, 희말채나무, 남부지역에서는 남천, 주목, 꽝꽝나무, 아왜나무, 식나무, 사철나무가 인공토양을 사용한 인공지반에 적합수종으로 분석되었고 그 밖에 향나무, 느티나무, 가이즈까향나무 등은 지역에 관계없이 적정수종을 판단되었다. 인공지반 녹화공간의 관리는 건조가 장기화 될 경우 관수를 해야 하며 또한 연 1회 이상의 시비가 수목 생육에 유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인공지반 녹화와 관련한 토심규정 세분화와 조경면적으로의 인정기준 등 관련법규 개정방안을 제안하였다.

  • PDF

다목적공원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어린이공원 이용실태분석을 중심으로- (Basic Study for Multi-purpose Park Model Development -Focusing o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Children's Park-)

  • 이동훈;이석환;백기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07-517
    • /
    • 2017
  • 어린이공원 내 주 이용자인 어린이 이용자 감소하고 고령층의 이용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공원조성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고령화 사회는 노인여가문제가 현실화 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목적공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모형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어린이공원을 조사 분석하고, 어린이공원의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공원의 조성 위치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어린이공원은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에 조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현재 어린이공원은 법에 의한 유치거리와 면적에 의해 조성되고 있으며, 변함없이 획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공원을 고령자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한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7구 1군 중 단독주택지와 공동주택지의 구분이 가능하고 비교대상지간거리가 가까운 곳을 선정하여 시기별 요일별 이용층별 이용률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어린이공원은 다양한 시설물의 배치가 미흡하고, 디자인적인 모티브와 콘덴츠없이 획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공원을 '다목적공원 모형을 개발'함으로서 다양한 연령층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서울시 가로경관 특성화 및 녹량증진을 위한 가로녹지 개선 방안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 변혜옥;한봉호;기경석;정진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5-4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가로를 토지이용별로 분류하여 녹량 특성과 경관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가로는 서울시에서 이용률이 높은 가로이면서 보도가 넓어 녹지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큰 가로인 광로만으로 한정하였다. 가로 유형별 녹량 및 경관 현황을 종합하여 보면 가로유형에 상관없이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가 대표 가로수종으로 식재되었고 가로별 녹시율은 주거지역 51.6%, 녹지지역 50.4%, 상업지역 45.2%, 업무지역 43.7% 순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을 제외한 지역에는 가로 띠녹지가 거의 없었고 가로별 녹피율은 업무지역 71.0%, 녹지지역 64.0%, 주거지역 37.3%, 상업지역 36.2% 순이며 녹지용적계수는 평균 $1.9m^3/m^2$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로 주거지역가로는 풍부한 녹의 커뮤니티공간과 4계절 화관목 경관제공을 목표로 하였고, 상업지역가로는 화목류와 단풍으로 상가 이미지 부각을 하되 서비스행위 및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제안하였다. 업무지역가로는 녹량과 녹시율 증가 및 도심이미지에 어울리는 가로공간 연출을 목표로 하였고, 녹지지역가로는 자생종 위주의 다층식재 및 주변산림과 연계를 통한 야생동물 은신처, 서식처 제공을 위한 가로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였다.

아파트 단지 조경사업에서 발생하는 민원 특성 분석 - 민원의 공공성과 조치용이성 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Complaints Occurred to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 in Apartment Complex)

  • 조세환;이명훈;조현길;김인호;안승홍;오정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8-90
    • /
    • 2013
  • 본 연구는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에 의해 발생한 민원의 유형과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조경사업 과정에서 민원 발생의 원인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아파트단지 조경사업의 민원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LH공사, SH공사, 경기도시공사의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민원 사례를 대상으로 전체 672건의 조경민원을 공통언어 추출방법을 통해 73개로 범주화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구축된 자료를 중요도-성취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공공성(공공적-개인적)-조치용이(어려움-쉬움)의 유형별 특성과 입주민과 조경가의 민원 인식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주화된 73건의 민원은 공원, 녹지 및 가로수, 보행로, 시설물, 기타 등 5개 항목으로 재범주화 될 수 있었다. 둘째, 조경 민원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것이 녹지 및 가로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물, 보행로, 공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항목별로 공공성과 조치용이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설물', '가로 및 녹지'와 '보행로', 등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민원 인식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나 공원에 대한 민원은 입주민과 전문가의 인식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73개 민원 중 35개(47.9%)는 공공성이 높고 동시에 조치가 용이한 반면, 25개(34.2%) 민원은 개인적이고 동시에 조치가 어려운 사항으로 분석되어 이들 민원사항에 대해서는 설계단계에서부터 미리 점검을 하여 민원으로 인한 사업비의 추가 부담과 입주민들의 신뢰 저하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Style of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62-74
    • /
    • 2015
  •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