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위험도 공간정보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Map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 이종소;이상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03-213
    • /
    • 2018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및 도시 집중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도시침수에 대비하고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격자단위의 상세 위험정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으로, RCP 8.5 강우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내 외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재해 특성, 노출특성, 취약성 등에 대한 위험정보를 격자단위로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목현동에 위치한 목현천 만곡부 지역과 송정동에 위치한 경안천 합류부 지역에서 침수영향이 클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침수흔적도와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 밀집지역인 송정동 일대가 침수에 많이 노출되고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제도를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기능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게 된다면 방재대책 수립에 필요한 고위험지역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수변 완충지역의 경관 계획에 관한 연구 - 탄성 (resilient) 관점의 계획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Landscape Plan Strategy of Urban Waterside Space Buffer Zone - Focused on the Case of the Resilient Perspective of Plan -)

  • 양멍;홍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04-416
    • /
    • 2020
  • 홍수는 도시가 피할 수 없는 자연재해이다. 홍수 재해는 도시의 경제와 안전, 그리고 지속발전을 심각하게 저해한다. 수변 공간에 대한 개발과 건설 과정에서 기본적인 방재시설의 건축을 통해 홍수의 경제적 피해를 줄이고자 막대한 자본을 투입하더라도 이를 완전히 피할 수는 없으며. 재해 발생 후 도시의 재건 비용은 방재(防災)시설의 건설비용보다 훨씬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한다. 최근 몇 년간 도시재건 등에 있어 탄성(resilient)이론은 학계의 광범위한 토론과 주목을 불러일으키며 도시의 문제해결에 관한 주제가 되어왔다. 즉, 탄성의 방재개념을 이론과 경험적 요소를 토대로 어떻게 실천으로 전환시켜야 하는지가 도시방재가 마주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이다. 본 논문은 도시의 수변(공간) 완충지역(홍수 취약지역)여 관한 이론 문헌과 도시의 실천 사례연구를 통해 탄성 방재이론인 5R 요소를 명확화하고, 이에 따른 상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의 수변완충지역을 중심으로 탄성 방재이론 요소의 도시수변(공간)계획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방재계획수단을 이용해 도시수변토지의 개별 효용과 수변완충지역의 방재기능 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것과 둘째, 수변완충지역이 탄성 방재계획을 통해 방재 측면에서 홍수가 수반하는 문제에 최대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시방재를 위한 부산지역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의 분석과 대책 (The Analysis of Rainwater Storage Facility Project for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in Busan and its Countermeasures)

  • 황재윤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1호
    • /
    • pp.37-45
    • /
    • 2015
  • 최근 많은 도시에서 홍수와 산사태 같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강우로 우수유출량이 증가되어 침수피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부정적인 유출량 변화를 합리적으로 조절하여 도시홍수 등의 피해를 경감하려는 목적에서 우수유출 저감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을 적극적으로 보급하기 위하여 지하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의 합리적인 분석과 대책을 마련할 수 있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방재를 위한 부산지역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도시방재를 위한 우수저류시설 설치사업의 대책을 제안하였다.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전국단위 내수침수해석 방안 (Nationwide Inundation Analysis method for Flood and Storm Disaster Insurance Rate)

  • Yoo, Jaehwan;Song, Juil;Jang, Moonyup;Kim, Hantae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전국단위의 내수침수해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은 실제 침수피해지역을 반영하고 내수침수 발생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도시계획 용도지역을 고려하였다.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에 의한 내수침수지역과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내수재해위험지구와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 Level-Pool침수해석과 비교하여 내수침수지역이 내수재해위험지구를 더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국단위의 내수침수위험지역을 해석함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 Level-Pool침수해석이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설계기법 유출저감 효과분석을 위한 FFC2Q와 XP-SWMM 비교 연구 (FFC2Q and XP-SWMM Comparative Study to Analyze Runoff Reduction by Urban Design Techniques)

  • Song, Juil;Lee, ByoungJae;Yoo, Jaehw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07-119
    • /
    • 2015
  • 인적 물적 자원이 고밀화된 도시에서 발생하는 홍수 또는 침수는 도시의 기능을 마비시키거나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을 재해발생지점, 재해직접영향권, 재해간접영향권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별로 적합한 재해저감 도시설계기법을 적용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도시설계기법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정량적으로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시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재해저감 도시설계기법의 효과 분석을 위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로써 효과분석을 위한 FFC2Q모형, XP-SWMM과 같은 집중형 모형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