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rban Change

검색결과 2,243건 처리시간 0.028초

기후변화적응형 도시림 조성을 위한 i-Tree Canopy 기반 의사결정지원 방안 (i-Tree Canopy-based Decision Support Method for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ive Urban Forests)

  • 김태한;이재영;송창길;오지은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18
    • /
    • 2024
  • The accelerated pace of climate crisis due to continuous industrializa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necessitates sustainable solutions that simultaneously address mitigation an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Naturebased Solutions (NbS) have gained prominence as viable approaches, with Green Infrastructure being a representative NbS. Green Infrastructure involves securing green spaces within urban areas, providing diverse climate adaptation functions such as removal of various air pollutants, carbon sequestration, and isolation. The prolifer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is influenced by the quantification of improvement effects related to various projects. To support decision-making by assessing the climate vulnerability of Green Infrastructure,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has developed i-Tree Tools. This study propos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approach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types by quantifying the climate adaptation performance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Using i-Tree Canopy, the analysis focuses on five urban green spaces covering more than 30 hectares, considering the tree ratio relative to the total area. The evaluation encompasses aspects of thermal environment, aquatic environment, and atmospheric environment to assess the overall eco-friendlines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n increase in the tree ratio correlates with improved eco-friendliness in terms of thermal, aquatic, and atmospheric environmen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consideration of the water environment sector in order to realize climate change adaptive green infrastructure, such as increasing green space in urban areas, as it has been confirmed that four out of five target sites are specialized in improving the water environment.

  • PDF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도시확장과 지표온도 변화 탐지 (Detection of urban expansion 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 using Landsat imagery)

  • 손홍규;곽은주;방수남;박완용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61-166
    • /
    • 2004
  • Seoul has experienced a rapid urban expansion over the past three decades. This paper reports an investigation into the application of Landsat imagery for detecting urban growth and assessing its impact on surface temperature in the region. Land cover/use change detection w3s carried out by using Landsat data. The results revealed a notable urban growth in the study area. This urban expansion had raised surface radiant temperature in the urbanized area. The method using remote sensing data based on GIS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monitoring and analysing urban growth and in evaluating urbanization impact on surface temperature.

  • PDF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의 변화량 분석 (An Analysis for Urban Change using Satellite Images)

  • 황의진;신계종;최석근;이재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9-163
    • /
    • 2006
  • The domestic Remote Sensing field uses mainly Landsat TM image that is used to the monitoring of the wide area.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land cover change of rural and urban area by time series using satellite images and is proposed the vision for a urban balanced development. It execute an analysis for urban change which is a fundamental data of city planning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 of GIS and Remote Sensing using satellite data

  • PDF

GIS와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의 변화량 분석 (An Analysis for Urban Change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 신계종;유영걸;황의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73-80
    • /
    • 2005
  • 국내의 원격탐사분야는 광범위한 지역의 모니터링에 이용되는 Landsat TM영상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시계열별로 도농지역간의 토지피복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도시의 균형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GIS와 원격탐사의 공간분석기술의 통합을 통하여 도시계획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도시변화량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녹지 꽃가루 알레르기 지수 변화 분석 - 서울어린이대공원을 대상으로 - (Assessment of Pollen Allergenicity Index Under Climate Change in the Seoul Children's Grand Park: Present, and Future)

  • 황예린;김수경;최재연;박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33권3호
    • /
    • pp.99-115
    • /
    • 2024
  • 도시 녹지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주지만, 생태계디스서비스(Ecosystem Disservice)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생태계디스서비스는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논의가 미흡하다. 특히, 꽃가루 알레르기는 대표적인 생태계디스서비스로 논의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라 꽃가루의 부정적인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생태계디스서비스에 대해 논의하는 첫 단계로서 현재 도시 녹지의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성을 진단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상에서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성 평가를 위해 개발된 IUGZA (Urban Green Zone Allergenicity Index)를 사용하여 서울어린이대공원을 대상으로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서울어린이대공원의 IUGZA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임계값보다 높아 알레르기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성은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와 기후변화가 가장 심한 시나리오를 비교한 결과 현재에는 알레르기 피해 유발 정도가 낮은 수종이 기후변화가 심해지면 높아질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라 꽃가루로 인한 사회적 피해가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식재 선정 및 관리에 고려가 필요할 만한 수종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인사동 194번지의 도시적(都市的) 변화(變化)와 18세기 한성부(漢城府) 구윤옥(具允鈺) 가옥(家屋)에 관한 연구 -장서각 소장 이문내(里門內) 구윤옥가도형(具允鈺家圖形)의 분석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about the Diachronic change of Urban tissue and Architecture in Seoul - from analyzing of Gaokdohyung drawn in Joseon Period -)

  • 정정남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43
    • /
    • 2008
  • Seoul has been watched at its symbolic image which is the capital of one nation. since then Joseon was established. So, most of study about Seoul placed too much emphasis on like next; urban organization, palace, government office and public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it is lacking in study of the individual building,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change of building-lot. This study is to make up a deficiency from study of Gaokdohyung(家屋圖形site and floor plan). Gaokdohyung(家屋圖形) is drawings of building lots & houses existed in Hanseongbu漢城府(modem Seoul). It is possessed in Jangseogak and all 24 sheets. It is merely 24sheets but has many urban information in that. Housing of number 116 expressed in Gaokdohyung are consist on the house of Sadaebu士天王(noble class) Joongin中人(middle class) Sangmin常民(commoner), Villa(Byeolseo別墅) and connecting stores etc. Houses in Gaokdohyung has characteristic that most building lot is very specious and owners are variety of social position. The study of Gaokdohyung will progress through analyzing diachronic change of individual building lot & house. In the event,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find out change of urban tissue & architecture. So, i intend to seek for entity of urban tissue and urban house in Joseon Period differ from now, and to study out those have been changed continuously forward now.

  • PDF

Landsat위성영상에 의한 용도지역 온도변화분석 (Temperature Change Analysis for Land Use Zoning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 정길섭;구슬;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5-61
    • /
    • 2011
  • 토지이용이 인위적으로 이뤄져오면서 시외지역이나 공원지역에 비하여 도시지역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의 용도지역에 따른 온도변화를 Landsat TM/$ETM^+$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정규식생지수와 온도변화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도시 표면온도의 분포가 용도지역별 정규식생지수(NDVI)값의 변화에 연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도지역별 평균 온도를 고려하면 용도지역 중 공업지역이 가장 높은 반면 녹지지역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도시온도와 정규식생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 녹지지역과 주거지역이 상업지역과 공업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도시열섬효과문제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계획기법 및 도시계획 전략 연구 (Urban Planning Strategy and Technique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 이성희;김정곤
    • 토지주택연구
    • /
    • 제6권4호
    • /
    • pp.153-164
    • /
    • 2015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도시계획 측면의 계획기법을 도출하고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4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기후변화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론상에서 제시되고 있는 계획목표와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도시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앞서 두 단계에 걸쳐 도출된 계획기법에 대하여 여러 차례에 걸친 실무진 및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진행하여 최종 계획기법을 도출하였으며, 적용가능한 공간위계와 기상재해와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적응 도시의 부문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책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던 기존의 연구 단계에서 벗어나 실제 적용가능한 계획기법을 모색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NP 기반 도시환경정비사업의 변화관리 요인 도출 및 중요도 산정 (Deduction of Change Management Factors and Weight Estimation based on ANP in Urban Renewal Project)

  • 신승윤;손명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76-186
    • /
    • 2013
  •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의 경우, 다수의 참여주체의 요구 및 내/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사업의 환경, 주체, 법규, 계획 등이 빈번히 변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처럼 대규모로 진행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에서는 다수의 변화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전체 사업의 업무프로세를 기반으로 변화요인을 정의하여 사업추진단계별로 발생 가능한 변화요인을 사전에 인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정비사업과 같이 다수의 변화 가능성이 내재된 사업의 체계적인 변화관리를 위하여, 업무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주요 변화관리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ANP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된 변화요인들에 대한 외적, 내적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사업 추진단계별 특성화된 주요 변화요인들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베트남 급성장 도시지역의 기후변화 홍수재해 위험성 분석 (Flooding Risk under Climate Change of Fast Growing Cities in Vietnam)

  • 김소윤;이병재;이종소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9
    • /
    • 2020
  • 베트남의 도시들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성이 높은 상황인데, 빠르게 도시지역이 확장됨에 따라 홍수위험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확장강도지수를 활용하여 지난 10년간(2007년-2017년) 베트남 국가차원에서의 도시확장 추세를 확인한 후, 기후변화 영향이 크고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으로서 후에시를 선정하여 홍수발생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홍강델타, 메콩델타, 해안지역의 주요 도시 주변으로 확장되었으며, 후에시의 경우 확장속도가 빠른 지역일수록 예상침수면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에 홍수재해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재해취약성분석 제도 등 국내의 도시방재정책은 베트남 급성장지역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계획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