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incisors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1초

전치의 후방견인에 따른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 (The vertical changes of the lip and perioral soft tissue resulting from incisor retraction)

  • 강창수;김경호;최광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5-196
    • /
    • 2000
  • 입술의 돌출을 해소하고자 하는 환자들은 자신의 안모 개선을 안모의 측면보다는 거울로 볼 수 있는 정면을 통하여 느끼는 것이 보편적이다. 안모의 정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때에는 입술이 후방으로 들어간 정도와 함께 입술과 그 주위 조직의 수직적 변화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교정치료 진단이나 치료 후 평가를 위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 분석 시 전통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입술의 시상적 이동뿐만 아니라 흔히 간과하기 쉬운 수직적인 변화에 관해서도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술 돌출을 주소로 내원한,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 61명을 대상으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전치의 후방견인 시 나타나는 입술과 주위 연조직의 수직적 변화를 계단식 다중 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하순의 philtrum길이 (SnLs, LiB') 는 전치의 후방견인 후 증가하였고,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 (LsStms, StmiLi) 와 vermilion length (LsLi) 는 감소하였다. 2. 상,하순의 길이 (SnStms, StmiB')와 연조직의 하안면 고경 (SnMe')은 치료 후 유의성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3. 상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 상악 전치의 정출 ${\Delta}U1V$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하순의 philtrum길이 증가에는 치료 전 overjet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4. 상,하순의 vermilion height감소에 상순의 두께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 PDF

중심위 교합에서 중심 교합으로 전위될 때의 변위량과 교합형태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MOUNT OF DISPLACEMENT AND OCCLUSION FORMS IN THE CHANGE FROM CR TO CO)

  • 이재봉;신철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11
    • /
    • 2007
  • Statement of problems: The concept of CR has also changed continuously.?In order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entric slid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forms of wisdom teeth eruption, lateral movement, premature contact in CR, and anterior movement. Research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based on the report by the 1980 Korean dental association. Material and method: In our study, 403 dentists in their twenties and dentistry students who could understand CR and CO (and who did not receive occlusal, orthodontic treatment, without extreme caries and large prosthodontic care) were compared with the 25 year old results. A segment of line parallel to the upper incisor was marked on the lower incisor. When seen laterally, a line perpendicular to the occlusal plane was drawn on the foremost area of the upper incisor. This line was extended to the lower incisor and the two points (points at the lower and upper incisors) were used as reference points for the CO. After guiding the occlusion to the CR, two lines were marked by using the same method that was used for the CO. The point in which these lines meet became the reference point of CR occlusion Results and conclusions: Results of the experiment completed in 1980 show that all 307 research members had anterior-posterior and upper-lower displacement. Displacement measurements were $0.7{\pm}0.4mm$ for the anterior-posterior displacement, $0.99{\pm}0.50mm$ for the upper-lower displacement,0.18{\pm}0.31 mm for the lateral displacement, and $1.32{\pm}0.67mm$ for the total displacement. Results of the 2006 experiment show that all 409 research members had anterior-posterior and upper-lower displacement. The anterior-posterior displacement was $1.12{\pm}0.86mm$, the upper-lower displacement was $1.02{\pm}0.71mm$, the lateral displacement was $0.61{\pm}0.56mm$, and the total displacement was $1.80{\pm}0.99mm$. No 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ach group when compar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forms of wisdom teeth eruption. Since 1980, the percentage of unerupted teeth has increased from 35.16% (111/307 people) to 57.5% (236/409 people).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cranial form and intraoral structure has brought about these results. In our experiment, 26.7% (109/409 people) of the subjects were cuspid guided, while 7.3% (30/409 people) were mutually guided. No 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mount of displacement between the two groups. Only the subjects with anteriors coming in contact made up the largest percentage group (42.3%, 173/409 people) in our study. No specific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ach group.

실험적 치아이동시 백서 상악절치 치근막의 혈관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ERIODONTAL VASCULAR CHANGES OF RAT INCISORS FOLLOW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 현성욱;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11-327
    • /
    • 1988
  • Vascular change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the rat incisors following application of experimental orthodontic forces were examined by the India ink perfusion method. 57 rats were used for this experiment. The ra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54 rats) and control group (3 rats). 54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into group I (27 rats) and group II (27 rats). The right and left upper incisors of group. I and group II rats were separated distally with forces of 20gm, 70gm respectively. The vascular changes of periodontal ligament were observed histologically by means of light microscope after 1, 2 and 3 days of tooth movement and 1,3,5,8,14, and 21 days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fter one day of tooth movement, occlusion of blood vessels, hyaliniz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and resorption of alveolar bone adjacent to the alveolar crest on pressure side were observed. Above the tissue changes on the pressure side of group II were more severe than those of group I. Especially, septal bone of group II was separated after 2 days of tooth movement. 2. In tension zones, periodontal space was widened and periodontal fibers were orientated in the direction of puil. The blood vessels of periodontal ligament were distended. New bone deposition was see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lveolus after 2 days of tooth movement. 3. After 3 days of tooth movement, deposition of new bone was seen along the periosteal surface of alveolar bone on pressure side, progressing with increasing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Remodelling of the new bone was occurred 5 days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4. 3 days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invasion of blood vessels into the marginal periodontal ligament on pressure side was observed clearly and the vessels below the epithelial attachment were increased. 5.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hyalinized structures disappeared concomittantly with an invasion of blood vessels from the neighboring periodontal ligament. 14 days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the vessel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group I were finished the vascular rearrangement. 21 days after removal of orthodontic force, the vessels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group II were finished the vascular rearrangement.

  • PDF

Pont 지수의 임상적 적합성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the adequacy of pont's index)

  • 김성훈;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6
    • /
    • 2000
  • 치열궁의 확장은 치아의 총생 부정교합을 비발치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중 하나이며, 치열궁 확장의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상악절치의 근원심 폭경으로부터 이상적인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과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공식이 제시되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제시된 공식중에서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들의 예측식을 정상교합의 계측과 비교하고, 이들 예측식의 임상적 신뢰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3세에서 23세사이의 한국인 태생 정상교합자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였으며, 정상교합의 절치폭경의 합을 Pont의 예측식, Schmuth의 예측식 및 Cha 들의 예측식에 대입하여 이상적 제1소구치간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치를 산출하고, 이를 정상교합자의 그것과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으로부터 산출된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81.96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 지수는 62.55이었다. 2.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 (SI)과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PmW)사이의 상관계수는 0.50이었고,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MW)사이의 상관계수는 0.39로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저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정상교합에서 상악 절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제1소구치간 폭경과 제1대구치간 폭경의 예측을 위한 상관식은 신뢰성이 매우 낮았다 ($r^2\;=\;0.25,\;r^2\;=\;0.15$). 4.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실제보다 크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Cha 들의 예측식은 보다 크거나 작게 예측되는 비율이 같았다. 5.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들의 예측식이 가장 높으며 ($45\%$), Pont의 예측식과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40\%$$39\%$ 이었다. 5. 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에 있어서 모든 예측식은 작게 예측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Cha 들의 예측식은 예측성이 가장 양호하였다. 7 이상적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의 예측이 1 mm의 오차한계 이내로 예측된 경우는 Cha 들의 예측식이 $40\%$ 로 가장 높으며, Pont와 Schmuth의 예측식은 각각 $29\%$$13\%$ 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상악 절치의 근원심 폭경의 합으로부터 이상적 제1소구치간 치열궁 폭경 및 제1대구치간 치열궁 폭경을 예측하는 것은 임상적 신뢰성이 낮을 것임을 시사한다.

  • PDF

성견 상악 4절치의 Contraction과 압하시 치아 및 주위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실험 연구 (Histologic changes of tooth and periodontal tissues applying to contraction & intrusion force for the maxillary four incisors of dogs)

  • 김영국;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35-549
    • /
    • 1999
  • 본 연구는 Contraction Utility Arch wire를 이용하여 성견의 상악 4절치에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2주와 4주간 적용하여 치아 및 치주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생체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인 효과와 작용의 진행과정을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생후 약 10개월 정도의 성견 3 마리를 각각 실험군 2마리와 대조군 1 마리로 나누어 제 1, 2 절치에 1mm의 후방 견인력과 60gm의 압하력이 가해지도록 Contraction UTA를 삽입하였다. 장치 부착없이 2주후 희생시킨 것을 대조군으로, 장치 장착 2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1군으로, 장치 장착후 재활성화없이 4주후 희생시킨 것을 실험 2군으로 하여 각 군의 제 1, 2 절치에 대한 탈회 표본을 제작하여 Hematoxylin-Eosin염색과 Masson's Trichrome염색을 시행한 후, 각 치아의 치경부 l/3, 치근 중앙 1/3, 치근단 1/3의 치근 및 치아 주위 조직을 광학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 소견에서, 치주 인대는 치근단 부위에서 치조정까지 일정한 형태를 이루며 비교적 균일한 두께와 연속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치조골 표면은 조골 세포와 함께 부드러운 골면을 이루고 있었다. 치근의 중앙부 및 치근단 부위에서는 세포성 백악질의 침착을 보였다. 2. 실험 1군의 제 1 절치에서, 치주 인대는 순설측 치경부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신장되었다가 치근단부에서 압축되어 치조골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치조골 흡수는 순측 치근 중앙부와 치근단부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고 순측 치근단 부위의 치아면을 따라 백악질 흡수 부위가 산재되어 나타났다. 제 2 절치 역시 제 1 절치와 유사한 소견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설측 치근단부에서 백악질 흡수 소와가 다수 관찰되었다. 3. 실험 2군의 제 1 절치에서,치주 인대의 주행 방향과 간격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으나, 치근단부에서는 여전히 혼재된 치주 인대 섬유의 주행이 관찰되었다. 설측 치근 중앙부에서 신생골의 석회화 반응이 강하게 관찰되었고, 순측 치근단부에서 골 흡수와 신생골 석회화가 진행중인 골 부위가 동시에 관찰되었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GLES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IN MESIODISTAL DIRECTION BY USING ORTHOPANTOMOGRAM

  • Kim, Young Joon;Choi, Hyun Sil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7-666
    • /
    • 1996
  • Orthopantomogram is commonly used to evaluate root parallelism. "Good parallelism" between roots is widely accepted as one of the guidelines of a successful orthodontic treatment. In case there was a larg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and if we valued only the position of crown in establishing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considering of the situation of root, the problem of root arrangement between adjacent teeth would be occurred. The estimate of root parallelism in mesiodistal direction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must be emphasized.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importance and correlation of th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Orthopantomograms of 105 orthodontic patients being treated in Yonsei university were used in this study. Twenty-eight teeth in both maxilla and mandible were selected and analyzed quantitively to evaluate the angle between crown axis and root axis, and obtain the correlationship among the individual tee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mong the teeth presenting normal distribution, the maxillary right canine showed the largest mean value( $5.73{\pm}4.42^{\circ}$), which was composed of the crown-root angles, and the mandibular left lateral incisor showed the smallest mean value( $0.60{\pm}3.76^{\circ}$). 2. The crown-root angles of the maxillary incisors and the first molars, and the mandibular central incisors and the first molars didn't show normal distribution and the ranges of these angles were dispersed.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the crown axis and the root axis except for lower first premolars. (p<0.05)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for the crown-root angle between right and left side, (p<0.05)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 for the crown-root angle between male and female except for lower left first premolar. (p<0.05) 6. In the upper righ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In the upper lef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In the lower righ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In the lower left quadran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present between crown-root angles of the central incisor and late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p<0.05)

  • PDF

발치 후 교정력 적용 시기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Mode of tooth movement according to the timing of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after extraction)

  • 한성호;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17
    • /
    • 2000
  • 본 연구는 발치 후 인접치 이동을 위한 교정력 적용 시 적용 시기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을 비교$\cdot$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견을 실험대상으로 상악 좌우 제 3절치를 3주 간격으로 각각 발거 하고, 양 견치 를 고정 원으로 제 2절치의 치체이동을 위한 장치를 장착하였다. 100 gm의 지속적인 힘을 내는 견인 스프링을 사용하여 발치 후 4주와 1주부터 좌우 제 2절치를 각각 12주간 동시에 견인하였다. 2주 간격으로 디지털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이동거리를 측정$\cdot$비교하고 실험에 사용된 좌우 제 2절치의 조직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정력 적용 후 처음 2주간에는 발치 후 4주에 견인한 치아가, 그 다음 2주간에는 발치 후 1주에 견인한 치아가 빠르게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2. 12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견인 4주와 6주 사이에 가장 빠르게 이동하는 경향을, 이 후에는 이동 속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3. 실험기간 동안 이동한 전체 거리는 발치 후 4주에 비해 1주에 견인한 경우에서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4. 발치 후 4주에 견인한 경우에 비하여 1주에 견인한 경우에서 유해한 조직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발치 후 교정력 부여 시 조기 적용이 유리함을 시사하였다.

  • PDF

상악 전방 견인 치료에 양호하게 반응하는 안모형태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Profile Having Favorable Response to Face Mask)

  • 황충주;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6
    • /
    • 1999
  • 동양권 특히 한국인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과성장, 상악열성장 또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대부분이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하고 있으며, face mask는 상악골 열성장을 나타내는 성장기 아동에서 주로 쓰이는 악정형 장치이다. face mask는 전치부 반대교합과 상악골의 위치를 개선하여 대부분 적절한 교합관계를 이루어 양호한 안모를 얻을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상하순이 전방으로 돌출된 듯한 바람직하지 않은 안모를 얻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치료 전 어떠한 환자의 조건이 치료 후 바람직한 교합관계와 안모를 얻을 수 있는지를 술자가 알 수 있다면 face mask 치료의 결과 예측과 한계에 대하여 보다 잘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장기 제 III 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료 후 양호한 안모를 얻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후 양호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1, n=12)과 양호하지 못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2, n=14)으로 나누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측방 두경부 방사선 계측 항목을 이용한 후향적인 연구로 통계처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부조화로 인해 상악전치가 이미 순측경사되어 전돌되어있을 수록 치료 후 안모는 좋지 않았으며, 상악전치와 관련된 전방 치조골(prosthion)의 전돌 또한 안모에 영향을 주었다. 2. 치료 전 상악골과 하악골이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NL-ML) 좋은 안모를 나타내었다. 3. 치료 전 하순의 돌출도가 클수록 치료 후 bialveolar protrusion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치료 후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정도가 클 수록 좋지 못한 안모를 보였다.

  • PDF

제 1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제 I 급 치조성 양악 전돌 환자의 치료 전${\cdot}$후 비교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COMPARISON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N CLASS I BIALVEOLAR PROTRUSION CASES WITH FOUR BICUSPID EXTRACTION)

  • 김형돈;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9-159
    • /
    • 1994
  •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were to evaluate changes in models and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and to compare the amount of incisal retraction and anterior movement of molars with the two approaches of the retraction method of canine(sectional canine retractions vs sliding canine retractions) and the anchorage management(head gears vs no head gears, transpalatal arches vs no transpalatal arches and lingual arches vs no lingual arches) and to evaluate chang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 models with relation to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67 Korean women with Angle's Class I bialveolar protrusion were selected, whose initial chronologic age was above 16 yrs. Models and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were taken before and after orthodontic treatment with four bicuspid extrac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Significant decreases were observed in intermolar width, arch length and arch perimeter of maxilla and mandible bu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in intercanine width of maxilla and mandible during treatment period. 2. The linear change of the upper incisor to upper lip was 2.84:1 and the linear change of the lower incisor to lower lip was 1.45:1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sectional canine retractions vs sliding canine retractions), the !we groups(transpalatal arches vs no transpalatal arches) and the two groups(lingual arches vs no lingual arches) in the amount of incisal retraction and anterior movement of molars. There were a greater amount of maxillary incisal retraction and a lesser amount of anterior movement of maxillary molars with the use of head gears than no use of head gears. 4. Change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in models with relation to lateral cephalometric head film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Maxilla Central incisors were moved 3.79mm backward, canines were moved 0.22mm laterally and 3.70mm backward, and molars were moved 0.535mm medially and 2.29mm forward. 2) Mandible Central incisors were moved 3.04mm backward, canines were moved 0.145mm laterally and 3.92mm backward, and molars were moved 0.755mm medially and 1.77mm forward.

  • PDF

수종 치아미백제가 구강내에서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ooth Bleaching Agents on Microhardness of Enamel in situ)

  • 박윤우;박세희;김진우;조경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70-476
    • /
    • 2006
  • 본 연구는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통상 home bleaching용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젤이 법랑질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미백을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평가하기위하여 시행되었다. 최근에 발거한 사람의 상악 절치 20개를 사용하여 가로, 세로 2 mm의 정사각형 치아편을 각 치아에서 3개씩 절단, 채득한 후 교정용 bracket에 고정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자원자는 20명을 선정하였고, 각각의 자원자의 치아에 동일 치아에서 제작한 시편이 부착된 bracket을 순면 중앙에 부착하였으며 상악 우측 측절치에 젤을 이용한 군 (Opalescence tooth whitening gel, Ultradent Product Inc, South Jordan, USA), 상악 우측 중절치에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 상악 좌측 중절치에 부착대를 이용한 군 (Claren, LG Household & Health Care, Seoul, Korea)을 부착 시켰다. 젤을 이용한 군은 bracket이 부착된 치아에 맞게 상악 우측 측절치부터 우측 소구치까지를 덮는 mouthguard tray를 제작하여 매일 동일시간에 2시간씩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으며, 대조군은 부착 28일 동안 미백 치료 없이 구강 내에 위치시켰다. 부착대를 이용한 군은 bracket의 시편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상악용 Claren을 절단하여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 하루 두 번 부착하여 14일 동안 미백을 시행하였다. 각군 모두 bracket부착 전, 미백 14일 후, 재광화 14일 후의 미세경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미세경도 변화 양상과 변화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치아미백용 2.6% hydrogen peroxide 부착대와 젤 형태의 10% carbamide peroxide 미백제의 미백 전, 미백후, 재광화 후 미세경도 변화 양상이 미백을 하지 않은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 > 0.05) 미백 전과 미백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 미백후와 재광화 후의 미세경도의 차이도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p > 0.05). 따라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whitening strip과 미백 젤은 14일 동안의 통상적인 미백과정 동안 법랑질의 미세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