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Face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24초

A COMPARISON STUDY OF THE EFFECTS OF NASAL BREATHING DYSFUNCTION DUE TO ADENOID OBSTRUCTION ON DENTITION BY FACIAL TYPE

  • Lee, Hee Kyun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47-655
    • /
    • 1996
  • In discussing the effects of adenoids on the development of the face and dent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eir influence on the mode of breathing and to relate this to specific facial types and dentition. This study, therefore, assumed that the ability to adapt to individual's neuromuscular complex is various. And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duced nasal respiratory function on the development of dentition by facial type. This paper is based on children patients with enlarged adenoids and comparing them to data taken from a control group with normal respiratory function. Among the three facial types, the most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rom dolichofacial typ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dolichofacial typ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abioversion of upper incisor, decrease in the width of upper arch, increase in overjet, increase in the rate of cross-bite, and increase in the height of palatal vaul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clination of upper and lower incisors in mesofacial type, but the experimental group was observed to show decrease in the width of upper arch and increase in the height of palatal vault. On the other hand, in brachyfacial typ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dentition variables except showing linguoversion of upper incisor. The results, which were observed in dolichofacial type, consist with Nordlund's theory of Compression.

  • PDF

눈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 추출 기반 시선 추정 알고리즘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ye-Gaze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Extraction of Eye Contour and Pupil Region)

  • 염효섭;홍민;최유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7-11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입력 얼굴 영상에서 눈의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을 추출하여 시선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눈 윤곽선과 눈동자 영역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하여 먼저 입력 영상으로부터 얼굴 영역을 추출한다. 얼굴 영역 추출을 위하여 아시아인 얼굴 영상 셋을 확보하여 아시아인 피부색에 대한 YCbCr 범위를 사전에 정의하였고, 정의된 피부색 범위값에 따라 피부영역을 검출한다. 최대크기 피부 영역을 얼굴후보 영역으로 지정하고 검출된 얼굴 후보영역에 대한 상위 50%의 관심 영역 내에서 눈윤곽선과 색상 특성 분석을 이용한 눈 영역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기존의 Haar-like feature 특성기반 눈 영역 검출방법에 비해 타이트한 눈 영역을 검출한다. 눈의 윤곽선을 포함하는 관심영역 전체를 기준으로 눈 영역을 3등분하고, 추출된 눈동자의 위치가 3등분된 영역에서 어느 영역에 중점적으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좌, 우, 정면 시선 방향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실험자에 대한 5,616 장의 테스트 영상을 이용한 시선방향 추정 실험에서 약 91%의 정확도를 획득한다.

  • PDF

안면부 및 경부에 이물질을 자가 주입한 환자 1례: 증례보고 (Self Induced Foreign Body Injection Patient: A Case Report)

  • 강형근;서효석;강민구;장충현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5호
    • /
    • pp.622-625
    • /
    • 2008
  • Purpose: In the past, laymen or beauty parlor employees commonly injected people with unproven foreign material such as paraffin, silicone, and cooking oil. We have treated a patient who injected foreign material into her face and neck. Methods: For the last 20 years, a 43-year-old woman has been injecting herself in the face and neck with foreign material. There was no tenderness, erythema, pain, ulceration, or necrosis. However many visible, touchable subcutaneous masses were found. Her face was extremely ugly and disfigured by the foreign material. We could not recognize the boundary between her neck and mandible. The occipital scalp drooped extremely. Over the past 3 years, from February 2005 to October 2007, we performed 15 operations. Results: We conducted a cephalometric facial analysis to compar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acial diameter. The patient's upper face diameter decreased from 67 cm to 60 cm, the mid face diameter from 82 cm to 59 cm, the lower face diameter from 63 cm to 50 cm, and the neck circumference diameter from 53 cm to 44 cm, respectively. The mid sagittal diameter decreased from 26 cm to 23 cm. The total excised tissue weight was 4023.7 gram after 15 operations. Conclusion: Serial excision of face and neck masses in a patient who injected herself with foreign material resulted in a satisfactory outcome.

혼합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과 미지형 경관변화 - 태안해안국립공원 파도리 해빈을 중심으로 - (Sediments Distribution and Micro-topographical Landscape Changes of a Composite Mixed Beach - Padori Beach in Taean National Park -)

  • 이원영;성효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3
    • /
    • 2013
  • 파도리 해빈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혼합해빈으로써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속하며 다양한 미지형 경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해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산형 저조간석지와 반사형 비치페이스로 이루어진 5~7m의 대조차 혼합해빈인 파도리 해빈의 퇴적물 분포 특성을 미지형과의 관계를 통해 이동 매커니즘을 밝히고 파랑조건과 조석조건에 따른 미지형 경관변화의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남부에서 북부로 갈수록 퇴적물 입도가 작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해빈 남부에 넓게 펼쳐진 파식대가 해식애와 함께 주요한 퇴적물의 기원임을 알 수 있다. 파도리 해빈의 비치페이스와 범의 퇴적물 분포와 해빈을 가로지르는 방향과 연안 방향으로 일정한 입도 분포의 경향성을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선별운반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혼합해빈의 미지형 경관변화의 주요한 원인에는 파랑과 조석이 있으며, 저파랑 환경에서 범이 발달하고 상부비치페이스에 비치 커습이 나타나는 반면 고파랑 환경에서 범의 규모가 작아지고 상부 비치페이스의 퇴적물은 혼합되는 경향을 보인다.

터널 굴진면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에 따른 단층 자세 분석 (Analysis of Fault Attitudes by Using Trajectories of the Maximum Longitudinal Displacement on Tunnel Face)

  • 윤현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26권3호
    • /
    • pp.393-4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단층이 출현하기 직전의 굴진면에서 발생한 최대 수평변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의 출현 위치를 예측하였다. 해석에는 총 28개의 단층 자세 모델이 이용되었다. 순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터널 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굴진면의 상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최대 수평변위가 굴진면 중앙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역경사를 가지는 단층은 굴진면의 하부에서 처음 출현하고, 굴착에 따라 굴진면의 중앙부 또는 중앙 상부에서 하부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최대 수평변위가 이동하는 방향은 순경사 모델의 경우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상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하며, 역경사 모델은 단층의 경사가 고각일수록 좌측 하부에서 측벽부를 향해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최대 수평변위는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를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굴착에 따른 굴진면의 수평변위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굴진면 전방에 분포하는 단층의 자세와 굴진면 내 단층이 출현하는 위치에 대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컬러와 에지정보를 결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영역 검출방법 (A New Face Detection Method using Combined Features of Color and Edge under the illumination Variance)

  • 지은미;윤호섭;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1호
    • /
    • pp.809-817
    • /
    • 2002
  • 본 논문은 온라인 얼굴 인식에서 전처리에 해당하는 얼굴 검출방법을 다룬다. 기존의 얼굴 검출 방법에서 에지 정보만을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과 컬러 정보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에지 정보와 컬러 정보를 결합한 얼굴 검출 방법 및 중심 영역 컬러 샘플링을 이용한 얼굴 검출방법을 개발하였다. 즉, 사람의 얼굴 영역이 비슷한 컬러를 가진 배경 영역과 결합(Merge)되는 것을 막기 위해 먼저 적응형 에지 검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배경과 얼굴 영역을 각각의 고립 영역으로 분할한다. 제안된 적응형 소벨(Sobel) 에지 검출기는 배경 영역과 얼굴 영역의 경계에서 항상 에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에지가 많이 검출되고 입력 영상의 밝기 변화에 강인하다. 이로 인해 얼굴 영역이 하나의 영역이 아닌 여러 영역으로 분할되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각 영역들의 컬러 정보를 이용해 병합한 후, 최종 얼굴 영역을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 형태로 검출하였다. 이때 병합된 최종 얼굴 영역 후보가 너무 크거나 혹은 너무 작으면, 중심 영역 샘플링 방법을 이용해 다시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총 2100장의 얼굴 영상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실험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해 96.3%의 높은 얼굴 영역 검출 성공률을 얻을 수 있었다.

터널막장안정 평가기법 및 막장볼트의 보강효과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and reinforcement effect of face bolt for the stability of a tunnel face by a three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 김성열;윤지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09
  • 터널 굴착 대상지반의 강도 및 강성이 낮은 경우 막장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할굴착공법 또는 적절한 보조공법을 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을 중심으로 막장평가 기법에 대해 정리하고 보조벤치 병용 전단면공법 적용 시 지반의 변형 강도특성에 따른 막장보강의 필요성 유무와 보조공법으로 페이스볼트를 채택할 경우 타설 길이, 타설 밀도, 보강범위에 따라 막장 및 막장주변지반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막장 안정성에 대해 문헌에 의한 이론적인 평가기법과 FEM수치해석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상대적인 차이는 있으나 막장볼트를 통한 막장안정의 효과에는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검토대상 지반조건에 대해 막장볼트의 타설형태는 길이 1.0D(D:터널 폭)이상, 격자상 타설(1개/$1.5\;m^2$), 상부 반단면 $120^{\circ}$ 보강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수치를 이용한 노년 여성의 상반신 체형 분류와 판별에 관한 연구 (Upper Body Somatotype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Elderly Women according to Index)

  • 김수아;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83-994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the development of ready-to-wear clothes appropriate for the body types of elderly women. Th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318 elderly women over 60 years of age whose fields of action were colleges for the elderly, sports centers, or business sites in Seoul and the neighboring districts. A total of 44 features in the upper body were used fo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analysis using anthropometry and photomet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omato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a cluster analysis using height and weight indices. Type 1 is the group with long and undersized upper body and straight body type since the face of the upper body is long relative to height and width, girth and depth are the smallest relative to weight, the breasts are somewhat fat, with a small extent of drooping and a straight back. Type 2 is the group that is considered fat relative to the body, has broad shoulders, drooping breasts with a wide space between them, and a back-bent upper body. Type 3 is the group that has a bent shape, the shortest upper body relative to height, and showing average obesity factors. 2. Indices of height and weight were used for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in order to classify upper body somatotype according to shape while excluding size factors of elderly women's upper body somatotype. The same method was used to compare and verify the result according to the absolute measurement and height index. Classification based on height and weight indices demonstrate that such somatotype classification minimizes the personal equation of body shape and it induces better classification based on shape as the results showed the highest cumulative sum of square(CUSUM) at 78.38% while six factors showed the smallest result and the hit rate for the classified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result at 95.30%.

NATM터널 저토피 구간에서의 막장붕락 사례연구 (Case Study on the Tunnel Collapse at the Shallow Depth)

  • 백기현;노종륜;김용일;조상국;황낙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5권2호
    • /
    • pp.102-110
    • /
    • 2005
  • 익산-장수 고속도로 ○ ○ 공구에 위치한 ○ ○ 터널 저토피 계곡구간에서 시공 중 붕락이 발생하였다. 본 구간은 TSP 탐사 및 시추조사 등을 통해 불연속면이 예측되었으나, 굴착 중 실제 암질이 비교적 양호하고 막장이 안정되어 암반 등급을 상향 변경하여 시공하였다. 그러나 굴착 중 발파와 동시에 붕락이 발생하였으며, 터널 막장 상부 8 m 부분의 붕락과 함께 지상 구간의 침하에 따른 계곡수 및 지하수 유입으로 진행되었다. 붕락구간 복구를 위해 붕락원인 분석, 보강공법의 선정 및 3차원 터널 안정성 해석을 실시하였고, 막장 상부 공동부는 팽창성 경량 콘크리트로 충진 후, 강관다단 그라우팅 공법으로 안정화시키고, 터널 상부 지반 침하부에서는 계곡수로 이설 후, 시멘트밀크 그라우팅 공법에 혼용된 약액 그라우팅 공법으로 지반보강 및 차수를 실시하였다.

혼합치열기의 악안면 경ㆍ연조직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LATER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HARD-AND SOFT TISSUE PROFILE AROUND THE FACE IN THE MIXED DENTITION)

  • 이상래
    • 치과방사선
    • /
    • 제8권1호
    • /
    • pp.49-61
    • /
    • 1978
  • A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existing in the dentoskeletal framework and the soft tissue profile around the face, and compare the sexu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having the normal occlusion in the mixed dentition.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composed of 67 boys aged 10.3 years and 68 girls aged 10.4 years, respectively. By means of the lateral cephalograms, both the hard-and soft tissue structur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measured and evaluated by introducing the several reference items: S-N plane, palatal plane, mandibular plane, N-A line and A-P line for the dentoskeletal structures and N’-P’line for the soft tissue, and the 21 measuring points for the both structures. The significant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general the boys showed the larger nasal component dimension than did the girls, but the length and height of nose(N’-Prn and NA-Prn)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among those when evaluated statistically. 2. The lip-thickness was found to be minimal in the region of nasion, greater in the region of pogonion, and much greater in the region of point A in the both sexes, but the only thickness over point A(A-A’)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statistically. 3. The upper and lower lip position were found to be located anteriorly to the esthetic line in the both sexes, but upper lip position showed th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when evaluated statistically. 4. The regions of nose and upper lip had a tendency not to be following the underlying skeletal profi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