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Airway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42초

수술 후 비인두 역류가 동반된 신생아의 후인두림프관종 1례 (A case of postoperative nasopharyngeal reflux associated with retropharyngeal lymphangioma in newborn infant)

  • 구교연;이준석;이순민;박민수;남궁란;박국인;이철;윤춘식;정우희;최홍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58-261
    • /
    • 2010
  • 후인두림프관종은 무증상으로 시작되어 크기의 증가에 따라 주위 구조물들을 압박하여 호흡곤란이나 연하곤란 등의 2차적 증상들을 유발할 수도 있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현재까지 치료는 수술에 의한 완전 적출이 원칙이나 기도 주변에 인접한 림프종의 경우에는 완전 적출이 어려워 예후가 나쁘다.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이 보고 된 경우는 드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발생된 경우는 극히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생후 14일에 호흡곤란 및 연하곤란 증상을 보인 신생아에서 후인두림프관종을 진단하여 완전 적출술로 치료하였으며 수술 후에 비인두역류증이 일정 기간 지속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후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6세에서 17세 사이의 정상 교합 아동의 아데노이드와 악골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Semi-longitudinal study of adenoid and jaw growth of normal occlusal children aged 6 to 17)

  • 유형석;박선형;최은빈;문제상;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9-712
    • /
    • 2000
  • 림프조직은 비인두 부위에서 Waldeyer's ring의 일부조직으로 tonsil을 이루며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림프조직이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정도로 과증식한 것을 'Adenoid vegetation or Adenoids'라고 이른다. 아데노이드는 일반적으로 유년기에 발생하며 $2\~12$세때 특징적인 증상을 보인다. 사춘기시기에 이르면 절대적인 아데노이드 크기 감소와 주변의 비인두의 성장으로 인한 상대적 크기 감소가 나타난다. 그리하여 성인이 되면 아데노이드는 퇴화된 상태로 변하게 된다. 아데노이드는 구호흡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아데노이드 얼굴'이라는 특징적인 안면형태를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데노이드에 의한 구호흡이 안면 형태와 치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은 오래 전부터 제기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이들간의 상호연관정도를 정확히 알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교합 아동에서의 골 연령에 따라 아데노이드와 악골 크기의 정상치와 성장변화량을 제시하고 이들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골 연령에 따른 남녀별 계측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2. 같은 골연령을 비교시 남자는 여자보다 약 2년 가량 성장속도가 느렸다. 3. 비인두의 height과 depth는 남자에서는 CVMI 1과 2 때 많은 성장을 보이고, CVMI 4 이후에서는 성장을 보이지 않았으며, 여자에서는 모든 골 연령에서 유사한 정도의 성장이 나타났다. 4. 비인두의 상대적 면적은 남자에서 CVMI 1에서 2로 이행되는 시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5. 비기도의 상대적 면적과의 상관분석에서 남녀 모두에서 아데노이드 항목중에서는 Ad2와 관련된 항목과 uppe pharynx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치열궁과 관련된 항목중에는 상$\cdot$하악의 견치간 너비, 상악의 대구치간 너비, 구개정 높이가 상관관계가 있었다.

  • PDF

결핵성 파괴폐의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소견 및 폐기능과의 상관관계 (CT Radiologic Findings in Patients with Tuberculous Destroyed Lung and Correlation with Lung Function)

  • 채진녕;정치영;심상우;노병학;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1권3호
    • /
    • pp.202-209
    • /
    • 2011
  • Background: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is sequelae of pulmonary tuberculosis and causes various respiratory symptoms and pulmonary dysfunction. The patients with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ose with chronic lung disease in Korea. However, few reports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We investigated the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in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nd the correlation with lung func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4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tuberculous destroyed lung at th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9. Results: A chest CT scan showed various thoracic sequelae of tuberculosis. In lung parenchymal lesions, there were cicatrization atelectasis in 37 cases (84.1%) and emphysema in 13 cases. Bronchiectasis (n=39, 88.6%) was most commonly found in airway lesions. The mean number of destroyed bronchopulmonary segments was 7.7 (range, 4~14). The most common injured segment was the apicoposterior segment of the left upper lobe (n=36, 81.8%). I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obstructive ventilatory defects were observed in 31 cases (70.5%), followed by a mixed (n=7) and restrictive ventilatory defect (n=5). The number of destroyed bronchopulmonary segmen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orced vital capacity (FVC), % predicted (r=-0.379, p=0.001)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FEV_1$), % predicted (r=-0.349, p=0.020).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moking status (pack-years), the number of destroyed segments also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VC, % predicted (B=-0.070, p=0.014) and $FEV_1$, % predicted (B=-0.050, p=0.022). Conclusion: Tuberculous destroyed lungs commonly showed obstructive ventilatory defects, possibly due to bronchiectasis and emphysema.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destruction and lung function.

Modified FR-4의 임상적용례 (CLINICAL APPLICATION OF MODIFIED FR-4)

  • 송재혁;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23-328
    • /
    • 2001
  • 전치부 개교합은 상 하악 전치부가 폐구 시 절단 기능에 필수적인 수직피개가 결여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손가락 빨기, 혀 내밀기, 유아성 연하, 비호흡 부전, 골격성장의 이상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어떤 종류의 부정교합과도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전치부 개교합을 위한 치료 방법은 다양하지만, Rolf Fr$\"{a}$nkel에 의해 고안된 Fr$\"{a}$nkel appliance(FR-4)는 골격성 I급 혹은 II급 부정교합과 함께 나타난 개교합의 치료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양인에서는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개교합도 이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동양인에서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빈도가 높고, 개교합 또한 이와 같은 골격형태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갖는 환자에 있어서 전통적인 FR-4의 사용이 개교합의 교정에 도움이 되었을지라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문제점을 동시에 교정하기 위하여, labial bow를 하악 전치부에, labial pads를 상악 전치부에 위치시킨 modified FR-4를 고안하게 되었다. 다음의 임상례는 전치부 개교합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을 보이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FR-4와 modified FR-4를 이용하여 치료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첫 번째 임상례는 전통적인 FR-4를 사용한 경우로서, 전치부 개교합은 개선되었으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형태가 심해졌다. 그러나 두 번째와 세 번째 임상례에서는 modified FR-4를 사용한 결과, 전치부 개교합과 III급 부정교합이 동시에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관내 과오종 1예 (A Case of Tracheal Hamartoma)

  • 윤호일;이상민;최승호;황보빈;유철규;이춘택;김영환;성숙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83-388
    • /
    • 1999
  • 서론: 기관내에 발생하는 과오종은 상기도폐쇄를 야기하는 매우 드문 질환이다. 이의 임상상은 기관지 천식이나 만성 기관지염 등의 내과적 질환과 유사하여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 증례: 호흡곤란이 주소였던 65세 남자환자에서, 기관내 종괴를 관찰하였다. 종괴는 경직성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제거되었고, 조직학적 검사상 과오종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환자의 증상은 매우 호전되었다. 결론: 기관내 과오종을 비롯한 여러 종양들은 기도폐쇄를 일으키는 여러 내과적 질환으로 혼동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내과적 치료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수술적 치료를 요하므로, 이의 감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Nd-YAG laser를 이용한 기관협착 동물모델의 개발 (A Canine Model of Tracheal Stenosis Using Nd-YAG Laser)

  • 김진국;서지영;정만표;권오정;서수원;김호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54-61
    • /
    • 2002
  • 배 경 :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일정한 수준의 상기도 협착을 일으킬 수 있다면 이에 대한 임상교육에도 도움이 되며 새로운 진단법이나 치료법의 개발을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한국산 잡견을 이용하여 Nd-YAG Laser 소작술로 기관 협착을 일정하게 유도하는데 성공하여, 이에 대해 기술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체중 22kg 정도의 한국산 잡견 6마리를 전신마취 시킨 후, Nd-YAG 레이저를 이용하여 4개의 기관 연골환의 전방부 180도를 $8946{\pm}2484$ Joule로 소작 하였다. 실험 동물은 매 1주마다 4주 동안 기관지내시경으로 기관 협착 정도를 관찰하였고, 병리학적 검사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 과 : 시판 협착은 레이저 소작 2주 후부터 시작되어 3주후까지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으며, 소작 4주 후에 가장 심한 양상을 보였다, 모든 실험 동물은 제 3주가 지나 심한 호흡곤란과 천명음, 식욕부진 및 체중 감소를 보였고, 이중 2마리는 호흡부전으로 4주가 되기 전에 사망하였다. 병리 육안소견상 소작 부위의 기관 연골이 소설되고 섬유조직으로 치환되어 외경도 감소되어 있었고, 현미경 소견에서 연골이 소실되고 섬유화 조직이 협착을 일으켜 내경이 감소된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 론 : 이러한 기도 협착 동물 모델은 향후 기도 협착의 이해, 교육,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관통성 경부 손상에 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enetrating Neck Injury: Review of 42 Operated Cases)

  • 최환;홍석진;김연수;조재구;백승국;우정수;정광윤;권순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5
    • /
    • 2010
  • Background: Penetrating neck injuries are potentially dangerous and require emergency management because of the presence of vital structures in the neck. The risk of airway, vascular, neurological, and pharyngoesophageal injuries leads to many difficult diagnostic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is to evaluate our experience with management of penetrating neck injuries, and to assess treatment outcome. Material and Method: Forty-two consecutive patients were identified (26 patients from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16 patients from Guro hospital) as having penetrating neck injuries from 2003 to 2009. With review of medical records, variables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including the location of injury, mechanism of injury, number of significant injuries, diagnostic modalities,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outcome. Results: The location of injury was zone I (lower neck) in 13 cases (31%), zone II (midportion of the neck) in 22 (52%), and zone III (upper neck) in 7 (17%). Injuries were caused by stab wounds in 23 patients, penetrating foreign bodies in 12. Among 35 patients who had deep injuries that violated the platysma, significant injuries, including major vascular (20), trachea (5) Pharyngoesophageal injuries (5) were identified in 24 patients. The mean hospital stay was 9.5 days. Conclusion: The penetrating trauma in the neck may show various degrees of severity. However, Cervical penetrating injury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n spite of the minimal width of the lesion.

  • PDF

외상 환자에서 알코올 금단 증후군의 발생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Prognosis and Clinical Outcome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in Trauma Patients)

  • 오동길;조민수;배금석;강성준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1권2호
    • /
    • pp.115-119
    • /
    • 2008
  • Purpose: Abrupt abstinence from alcohol in cause of chronic alcohol addiction can trigger alcohol withdrawal syndrome. The authors studied the effect of post-operativ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in patients who require intensive care due to trauma. Methods: For the study group, we selected 70 patients who had undergone emergency surgery from May 2003 to March 2007 due to trauma and who had been treated with prophylactic thiamine. Data was collected retrospectively. We excluded those who extended their hospital stay for other than traumatic causes, those who died within 3 days of surgery after trauma, those who transferred to other institutions, and those who received a psychiatric diagnosis. Patient groups were determined by the existence or the non-existence of withdrawal syndrome. Age, sex, injury mechanism, mortality, complications, durations of hospital stay and intensive care, use of mechanical ventilator, and sedative use were investigated. A Chi-square test and The Mann-Whitney method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study. Results: Twenty-four (24) patients from the 58 who had an ISS of 16 or more showed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nd men were shown to be affected with the syndrome significantly more than women. Although IS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8). The total hospital stay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as on average 10 days longer.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0.054).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in the patient group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as significantly longer (P<0.029). The patients with alcohol withdrawal syndrom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or use (P<0.783), or in the duration of sedative use (P<0.284). Respiratory distress, pneumonia, upper airway infection, sepsis, acute renal failure, and mortality in th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group were investigated,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ed. Conclusion: We found that the duration of intensive care in chronic alcohol abusers was longer due to the development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We also discovered that, when the patients overcame the symptoms of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fter intensive care,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frequency of developing complications, the morbidity, and the mortality.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tensive care in trauma patients who are chronic alcohol abusers decreases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found in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lcohol withdrawal syndrome and does not adversely impact the prognoses for those patients.

COVID-19 in a 16-Year-Old Adolescent With Mucopolysaccharidosis Type II: Case Report and Review of Literature

  • Park, So Yun;Kim, Heung Sik;Chu, Mi Ae;Chung, Myeong-Hee;Kang, Seokji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2호
    • /
    • pp.70-76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의 임상 양상은 무증상부터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점액 다당류증(mucopolysaccharidosis) 2형은글라이코스아미노글라이칸(glycosaminoglycan)의 일종인 헤파란 황산염(heparan sulfate)과 더마탄 황산염(dermatan sulfate)의 분해를 촉매하는 효소 결핍에 의해 상기 물질이 리소좀(lysosome)에 축적되는 질환으로 전신 침범, 특히 호흡기침범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은 예후에 치명적일 수 있다. 현재 점액 다당류증 환자에서 제 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감염 후의 임상 양상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고, 이에 점액 다당류증 2형으로 효소대체요법을 받고 있던 환자에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 후의 임상 양상에 대해 보고하고 관련 문헌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16세 남아로 가족간 전파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이 발생하였다. 콧물,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이 관찰되었다. 발열이나 산소요구도 증가는 없었으며 심박수, 호흡수, 산소 포화도는 정상 범위였고 혈액검사결과에서 백혈구 감소증이 관찰되었다.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 폐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보존적 치료와 격리만으로 증상이 호전되었다. 경미한 임상 양상의 원인으로 전구 물질의 축적으로 인해 바이러스에게 불리한 숙주의 세포 환경, 바이러스와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발현의 특정방향으로의 변화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점액 다당류증 환자에서 증가된 혈청 헤파란 황산염이 SARS-CoV-2 스파이크 단백질과 숙주 세포의 상호작용에 필수적인 세포 표면의 헤파란 황산염과 경쟁하여 SARS-CoV-2의 세포 내 침투로부터 보호한다는 가설도 있다. 향후 더 많은 사례를 통해 점액 다당류증 등의 리소좀 축적질환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의 발현 양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혈압 및 폐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Changes of Pulmonary Function and Systemic Blood Pressure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문화식;이숙영;최영미;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206-217
    • /
    • 1995
  •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은 기도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기도의 해부학적 혹은 기능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흔히 동반되는 비만과 같은 체형상의 특성은 다른 폐기능의 변화도 가져올 수 있고, 이러한 폐기능의 변화는 수면 무호흡시 나타나는 저산소증 및 환자의 임상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현재까지 병태생리학적 관련성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수면 무호흡증후군은 많은 환자에서 고혈압을 동반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들에서 기도저항을 포함한 폐기능 검사소견과 수면다원검사 각 지표 상호간의 관련성 여부를 관찰하고, 이들중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들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들에서 연령, 비만도, 수면다원검사의 각 지표, 폐기능 검사소견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면장애 크리닉에서 수면설문지검사와 수면 다원검사를 실시하여 무호흡지수가 5이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능 검사는 주간의 각성상태에서 body plethysmograph를 이용하여 기도저항, 일산화탄소 폐확산능, 노력성호기곡선, 기능적 잔기용량과 총폐용량을 포함한 폐의 용적과 용량을 측정하였고, 수축기혈압이 16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5mmHg이상으로 고혈압의 병력이 있어 항고혈압제를 복용중인 12명(37.5%)을 고혈압환자군으로 하였다. 이들에서 연령,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으며 고현압환자군과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을 구분하여 비교함으로서 두군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 보았다. 결과: 1) 비만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와 상호관련성이 있었다. 2) 수면중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산소탈포화정도는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와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3) 주간에 실시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과 무호흡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산소탈포화정도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비만도와 $FEV_1,\;FEV_1/FVC$, DLco 사이에는 각각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5) 고혈압환자군이 혈압이 정상인 환자군에 비하여 평균연령이 높았으나 비만도, 무호흡지수, 호흡장애지수, 동맥혈 최저산소포화도 및 산소탈포화정도, 폐기능 검사소견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비만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무호흡지수와 호흡장애지수는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를 반영하는 유의한 지표였다. 주간의 각성시 폐기능검사중 기도저항은 무호흡지수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기도저항의 측정은 폐쇄성 수면 무호흡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보조적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 확산능은 수면중 저산소증의 정도와 관계가 있었으므로 이들 환자의 진단과 치료시 폐기능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과 고혈압의 병태생리학적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관찰방법을 달리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