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per Airway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54초

소아치과의사를 위한 심폐소생술과 소아고급생명구조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for Pediatric Dentist)

  • 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3-255
    • /
    • 2017
  •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은 심장의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멈추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보조해 주는 응급처치이다. 심폐소생술은 기본생명구조술(basic life support, BLS)과 전문소생술(advanced life support, ALS)로 나눌 수 있다. 기본생명구조술은 주요 조직으로 혈류 공급을 강제적으로 하기 위한 흉부압박과 호흡정지 환자에게 구조호흡(rescue breathing) 그리고 심실세동을 개선해 주기 위한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이 포함된다. 전문소생술의 범주는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급생명구조술(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ACLS)과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pediatric advanced life support, PALS)이 있다. 치과 치료에 극심한 공포를 가지며, 여러 이유로 치과 진료에 협조를 얻기 어려운 소아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환경에서는 약물을 이용한 진정법이 고려된다. 이는 심정지를 포함한 응급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이유가 된다.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은 기본생명구조술을 포함하며, 심정지에 이를 수 있는 원인을 호흡, 순환장애 그리고 심인성으로 나누어 대처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소아는 성인에 비해 심인성의 원인은 낮지만, 해부학적인 약점으로 인해 호흡이나, 순환장애에 의한 심정지의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아이를 치료하거나 진정법을 시행하는 소아치과의사는 소아고급생명구조술을 익힘으로써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다형성 세망증의 방사선 치료성적 (Primary Radiation Therapy of Polymorhic Reticulosis)

  • 김재성;윤형근;안용찬;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1호
    • /
    • pp.111-116
    • /
    • 1991
  • 1979년부터 1987년까지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상기도에 국한된 다형성 세망증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33명의 환자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발열, 체중감소, 도한등의 전신적 증상은 대상 환자중 $48\%$에서 나타났으며 침윤병소로는 비강이 $85\%$로 가장 많았고 븐비동 및 구개부가 각각 $33\%$$30\%$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및 10년 생존율은 각각 $47\%$$40\%$이었다. 방사선 조사야 내에서 재발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간의 방사선 선량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조사야 경계부위에서 재발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조사야 면적이 작았다. 추적 관찰 기간중 악성 임파종 4예, 골수 세망증 1예 등의 전신적 전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여 다형성 세망증의 국소 치료율은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소 4,500 cGy의 선량과 병소주위의 조직을 충분히 포함하는 조사야를 사용해야 하며 전신적 전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화학요법 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두부방사선사진의 계측오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RRORS UN THE CEPHALOMETRIC MEASUREMENTS)

  • 나광천;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5-83
    • /
    • 1998
  • 본 연구는 교정 치료를 위한 진단과 치료 계획의 수립에 널리 이용되는 진단 수단의 하나인 두부 방사선 사진을 계측하는 연구에서 볼 수 있는 오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복 계측의 방법으로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를 찾아내고 임의적오차(random error)의 범위를 산출하는 과정을 통해 기준점의 식별에 보다 주의가 기울여져야 할 해부학적 기준점들을 찾아보고자 시행되었는데, 통법에 의해 촬영된 100장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61개의 기준점과 130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고 반복계측을 위해 25개의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 계측오차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반복계측에 따른 계측치의 비교에서 130개 전체 계측항목의 18.4%인 24개 항목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2. 반복계측에서 기준점 식별에 차이를 보이는 빈도는 상악 전치의 치근단점(as), 상악골의 최후방벽(tu), 연조직 nasion과 전두정(ft) 그리고 기도의 ad3점에서 매우 높았다. 3. 5%이하의 유의도를 보이는 수준까지 기준점 마킹을 수정한 후, 임의적오차의 범위는 0.67-1.71mm또는 도를 보였다. 4. 가장 임의적오차를 보인 계측항목은 상, 하악 전치가 이루는 각(interincisal angle : ILs-ILi)이었다. 5. 계측 오차의 문제는 주로 해부학적 정의에 대한 정확성의 부족과 불분명한 방사선사진상에 기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에는 많은 오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두부방사선 계측에서 뿐 아니라 계측이 이루어지는 모든 연구에서는 항상 계측오류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조사자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연구자의 연구결과를 올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오류에 대한 인식은 필수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협착음과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보인선천성 후두개 낭종(vallecular cyst) 1예 (A case of congenital vallecular cyst associated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presenting with stridor, feeding cyanosis, and failure to thrive)

  • 양미애;강민재;홍지나;신승한;김상덕;김이경;김한석;최중환;권택균;김인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75-779
    • /
    • 2008
  • 후두개 낭종은 신생아 및 영아에서 협착음을 일으킬 수 있는 드문 질환이지만, 이 질환에 이환된 환아는 갑작스런 기도 협착을 일으켜 사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협착음을 보이는 환아에서 후두개 낭종을 감별해 냄으로써 갑작스런 기도 협착으로 인한 사망을 방지할 수 있다. 후두개 낭종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무호흡,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 이 질환이 의심되면 굴곡성 후두경으로 진단해야 한다. 이 질환의 치료는 $CO_2$ 레이저를 이용한 후두미세수술이며, 적절한 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 저자들은 협착음, 쉰목소리, 흉골 함몰, 수유시 청색증 및 성장 장애를 주소로 전원된 1개월 남아에서 굴곡성 후두경을 통해 후두개 낭종을 진단하였고, $CO_2$ 레이저를 통한 후두미세수술 후 증상이 호전된 증례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을 가진 환아에서 진단된선천성 기도 기형, 기관기관지 1예 (A case of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 resulting from a congenital anomaly of the bronchial tree tracheal bronchus)

  • 최아름;최선희;김성완;성동욱;나영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60-664
    • /
    • 2008
  • 기관기관지는 선천성 기도기형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기관 분기부 상부의 우측 벽에서 기시하는 이소성 부기관지를 말하며, 반복적인 염증성 질환으로 폐렴과 기흉, 기관지 확장증 등을 초래하여 임상적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기관지내시경검사, 기관지조영술 등을 통해서 우연히 발견된다. 우리는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과 동반되어 나타난 지속적인 천명과 호흡곤란으로 입원치료 중인 환아에서 선천성 기도기형 중 기관기관지를 경험하였으며, 일반 컴퓨터 단층촬영과 삼차원 컴퓨터 단층촬영, 강직형 기관지내시경검사로 이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반복적인 호흡기 감염과, 지속적인 천명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아 들에게서 진단의 감별에 있어 선천성 기도기형인 기관기관지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Treacher Collins 증후군 환아의 기관 삽관 시 마우스가드의 활용 (Usefulness of Mouth Guard when the Endotracheal Intubation Is Indicated for Treacher Collins Syndrome Patient)

  • 최해인;최병재;최형준;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0-46
    • /
    • 2014
  • Treacher collins 증후군(TCS)는 25,000명에서 50,000명당 1명의 빈도로 발생하는 상염색체우성의 유전질환이다. 상, 하악의 발육 부전, 부정교합, 양측성 이개 기형, 안검렬의 반몽고증 사면, 구순구개열, 외이도 폐쇄, 중이와 내이의 기형으로 인한 청각 소실등의 구강악안면 부위의 특징을 보여 태생 이후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에 걸친 외과적 수술을 거치게 된다. 하악골의 형성저하로 하악골이 짧고 후방 위치되며 후방 위치하는 혀와 후비공의 협착과 폐쇄로 인해 상기도가 좁아지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기관삽관의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치근 발육이 미약한 소아청소년 시기의 TCS 환자의 기관 삽관 시 상악 전치부의 손상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증례는 전신마취 유도를 위한 기관 삽관 도중 상악 전치의 완전 탈구가 발생한 TCS 환아의 치험례를 통해 기도 삽관 시사전의 마우스가드 제작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리고자 한다.

심박변화율을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 검출 (Detection of Obstructive Sleep Apnea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 최호선;조성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3호
    • /
    • pp.47-52
    • /
    • 2005
  •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수면장애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주간의 과도한 졸음과 피로, 고혈압, 부정맥 등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수면 중 심장마비, 돌연사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그의 발생 여부 및 빈도를 검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수면다원검사는 여러 가지 생체신호를 함께 측정하므로 불편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은 수의 생체신호를 사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 검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을 검출하기 위한 최소한의 생체신호로서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였다. PhysioNet에서 제공하는 수면무호흡 환자의 심전도 데이터로부터 1분간의 R-R 간격의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R-R 간격과 S점 크기의 power spectrum 등을 계산하였고, 이를 신경망에 적용함으로써 폐쇄성 수면무호흡 검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에 심전도 신호를 적용하여 검출 성능을 평가한 결과, 평균 $89.66\%$의 sensitivity와 $95.25\%$의 specificity를 얻었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검출파라미터들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구강악안면 손상 후 과도한 출혈을 보인 정신지체 응급환자에서 신속지혈 예: 증례보고 (Emergency bleeding control in a mentally retarded patient with active oral and maxillofacial bleeding injuries: report of a case)

  • 모동엽;유재하;최병호;설성한;김하랑;이천의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303-308
    • /
    • 2010
  • Excessive oral and maxillofacial bleeding causes upper airway obstruction, bronchotracheal and gastric aspiration and hypovolemic shock. Therefore, the rapid and correct bleeding control is very important for saving lives in the emergency room. Despite the conventional bleeding control methods of wiring (jaw fracture, wound suture and direct pressure), continuous bleeding can occur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bleeding disorders. There are five main causes for excessive bleeding disorders in the clinical phase; (1) vascular wall alteration (infection, scurvy etc.), (2) disorders of platelet function (3) thrombocytopenic purpura (4) inherited disorders of coagulation, and (5) acquired disorders of coagulation (liver disease, anticoagulant drug etc.). In particular, infections can alte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vascular wall to a point at which the patient may have a clinical bleeding problem due to vessel engorgement and erosion. Wound infection is a frequent cause of postoperative active bleeding. To prevent postoperative bleeding, early infection control using a wound suture with proper drainage establishment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the active bleeding sites in a contaminated emergency room. This is a case report of a rational bleeding control method by rapid wiring, wound suture with drainage of a rubber strip & iodoform gauze and wet gauze packing, in a 26-year-old male cerebral palsy patient with active oral and maxillofacial bleeding injuries caused by a traffic accident.

Clinical experience in managing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five-year appraisal in a Nigerian subpopulation

  • Braimah, Ramat;Taiwo, Abdurrazaq;Ibikunle, Adebayo;Oladejo, Taoreed;Adeyemi, Mike;Adejobi, Francis;Abubakar, Siddiq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4권3호
    • /
    • pp.112-119
    • /
    • 2018
  • Objectives: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TMJA) is a joint pathology caused by bony and/or fibrous adhesion of the joint apparatus, resulting in partial or total loss of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between 2012 and 2016 in the northwest region of Nigeria. The data retrieved includes gender, age, etiology of ankylosis, duration of ankylosis, laterality of ankylosis, type of imaging technique, type of airway management, types of incision, surgical procedure, mouth opening, interpositional materials used, and complications. Results were presented as simple frequenc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Thirty-six patients with TMJA were evalua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ere 21 males (58.3%) and 15 females (41.7%), yielding a male:female ratio of 1.4:1. The patients' age ranged from 5 to 33 years with $mean{\pm}standard$ deviation ($13.8{\pm}6.6years$). Thirty-five cases (97.2%) were determined to be true/bony ankylosis, while only 1 case (2.8%) was false/fibrous ankylosis. Most of the TMJA cases (16 cases, 44.4%) were secondary to a fall. In our series, the most commonly utilized incision was the Bramley-Al-Kayat (15 cases, 41.7%). The mostly commonly performed procedures were condylectomies and upper ramus ostectomies (12 cases each, 33.3%), while the most commonly used interpositional material was temporalis fascia (14 cases, 38.9%). The complications that developed included 4 cases (11.1%) of severe hemorrhage, 1 case (2.8%) of facial nerve palsy, and 1 case (2.8%) of re-ankylosis. Conclusion: Plain radiographs, with their shortcomings, still have significant roles in investigating TMJA. Aggressive postoperative physiotherapy for a minimum of 6 months is paramount for successful treatment.

수면과 관련된 호흡장애 (Sleep-Related Respiratory Disturbances)

  • 문화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2권1호
    • /
    • pp.55-64
    • /
    • 1995
  • 수면중에는 여러 가지 호흡생리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호흡의 수의적 조절은 경미하고 대부분 대사성조절에 의해 호흡이 유지되며, 탄산가스와 산소변화에 의한 화학자극 및 호흡기계통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환기반응이 감소하고, 늑간근 및 상기도근육들과 같은 보조호홉근의 기능이 억제되며, 체위변동 즉 누운 자세에서는 여러 가지 호흡기능의 변화가 온다. 이러한 호흡생리의 변화로 정상인에서도 수면 중에는 경미한 환기장애(저환기)를 보일 수 있으며, 수면 무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환기장애가 더욱 현저하다. 환기장애 즉 만성 폐포저환기를 동반하는 질환은 심폐질환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수면 무호흡 증후군은 환기장애를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이다. 만성 폐포저환기를 보이는 환자는 원인질환에 관계없이 수면중에 환기장애가 더욱 심해지며 특히 수면 무호흡이 빈번하게 동반되는 경우에는 중증의 임상경과를 보인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수면중에 반복되는 저산소증과 각성반응으로 수면장애증상 이외에도 전신 고혈압과 심부정맥이 흔히 동반되며, 주간에도 저산소증을 보이는 심폐질환자에서 수변 무호흡증후군이 동반되는 경우 폐동맥고혈압과 폐성심이 올 수 있다. 이러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은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장기사망율을 높이는 중요한 원인이 되며, 중증 환자의 경우 수면중에 급사할 수도 있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의 심폐혈관계 합병증과 장기사망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치료법이 요구되며, 환기장애(만성 폐포저환기)의 다른 원인질환이 함께 있는 경우에는 수면 무호흡의 치료와 병행하여 이들 질환의 치료를 동시에 실시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