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unfilled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etal artefact reduction on incomplete subtle vertical root fractures

  • Andrea Huey Tsu Wang;Francine Kuhl Panzarella;Carlos Eduardo Fontana;Jose Luiz Cintra Junqueira;Carlos Eduardo da Silveira Bueno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1호
    • /
    • pp.11-1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accuracy of detection of incomplete vertical root fractures (VRFs) in filled and unfilled teeth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with and without a metal artefact reduction (MAR) algorithm. Materials and Methods: Forty single-rooted maxillary premolars were selected and, after endodontic instrumentation, were categorized as unfilled teeth without fractures, filled teeth without fractures, unfilled teeth with fractures, or filled teeth with fractures. Each VRF was artificially created and confirmed by operative microscopy. The teeth were randomly arranged, and images were acquired with and without the MAR algorithm. The images were evaluated with OnDemand software (Cybermed Inc., Seoul, Korea). After training, 2 blinded observers each assessed the images for the presence and absence of VRFs 2 times separated by a 1-week interval. P-values<0.05 were considered to indicate significance. Results: Of the 4 protocols, unfilled teeth analysed with the MAR algorithm had the highest accuracy of incomplete VRF diagnosis (0.65), while unfilled teeth reviewed without MAR were associated with the least accurate diagnosis (0.55). With MAR, an unfilled tooth with an incomplete VRF was 4 times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as having an incomplete VRF than an unfilled tooth without this condition, while without MAR, an unfilled tooth with an incomplete VRF was 2.28 times more likely to be identified as having an incomplete VRF than an unfilled tooth without this condition. Conclusion: The use of the MAR algorithm increased the diagnostic accuracy in the detection of incomplete VRF on images of unfilled teeth.

법랑질(琺瑯質)과 상아질(象牙質)에 대한 Etched Porcelain의 전단접착강도(剪斷接着强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SHEAR BOND STRENGTH OF THE ETCHED PORCELAIN TO ENAMEL AND DENTIN)

  • 강정민;양규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5권1호
    • /
    • pp.165-173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 of two commercially available composite resin systems and GC dentin ce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etched porcelain to enamel and dentin.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and each group was as follows. Group I : etched enamel-dentin/enamel bonding agent-CHOICE-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Group II : etched enamel-Scotchbond 2-Silux-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Group III : dentin-dentin/enamel bonding agent-CHOICE-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Group IV : dentin-Scotchbond 2-Silux-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Group V : dentin-GC dentin cement-dentin/enamel bonding agent-CHOICE-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Group VI : dentin-GC dentin cement-Scotchbond 2-Silux- unfilled resin-silane-etched porcelain Following polymerization.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100% humidity for 24 hours before testing.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with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etched porcelain to enamel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etched porcelain to dentin. 2. The shear bond strength of Silux-Scotchbond 2 to dentin was greater than that of CHOICE-dentin/enamel bonding ag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between the groups lined with GC dentin cement. 4. The shear bond strength of Silux-Scotchbond 2 to dentin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groups lined with GC dentin cement.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between the groups lined with GC dentin cement and the group directly bonded with CHOICE-dentin/enamel bonding agent.

  • PDF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후 광중합 할 때까지의 경과시간이 전색제 침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ME ELAPSED FROM APPLICATION TO CURING ON THE PENETRATION OF SEALANT)

  • 최선아;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8
    • /
    • 2005
  •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후 시간에 따른 열구 내 침투율을 알아보고자 발치된 소구치 192개를 이용하여 전색제 도포 후 광중합 할 때까지 경과시간 3초, 5초, 10초, 20초별로 침투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상악과 하악, filled sealant와 unfilled sealant군으로 나누어 시간대별로 침투율에 차이가 있는지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할수록, filled sealant군보다 unfilled sealant군에서, 상악보다는 하악에서 전색제의 침투율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상에서 치면열구전색을 시행할 때 이 결과를 임상적 지침으로 적용하면 유용하리라고 여겨진다.

  • PDF

기계적 삭제방법을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 (THE FISSURE PENETRATION AND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WITH MECHANICAL PREPARATION)

  • 김지연;이제호;박기태;김성오;최병재;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4-173
    • /
    • 2005
  • 교합면 치아우식 예방을 위한 치면열구전색제 도포시 열구내 유기물, 치태, 법랑질 잔사 등을 제거하여 전색제의 유지율을 증가시키고자 기계적 삭제 방법이 소개되었다. 기계적 삭제방법을 사용할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 및 미세누출정도의 차이는 임상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계적 삭제방법(소와열구 삭제 후 산부식)과 산부식 방법을 시행한 후, 각각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를 처치하고 이들 치면열구전색제의 열구 침투도와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60개를 실험재료로 사용하였으며 그중 30개는 산부식 처리하고 나머지 30개는 소와열구의 기계적 삭제와 산부식 처리를 시행한 후 각각의 방법에서 15개는 unfilled sealant로 나머지 15개는 filled sealant로 수복하였다. Thermocycling($5^{\circ}C$$55^{\circ}C$ 1200회)을 시행하고 5%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보관하였다가 각각의 치아를 근심소와와 원심소와에서 협설 방향으로 절단하여 120개의 절단면을 얻었다. 각 절단면을 Measurescope으로 관찰한 결과, 기계적 삭제 방법은 산부식만을 시행한 경우에 비하여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 모두 열구 침투도를 증가시켰다(P < 0.05).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에 비하여 미세누출이 적었고(P < 0.05),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하고 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와는 미세누출에 차이가 없었다. Unfilled sealant와 filled sealant는 기계적 삭제 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산부식 방법만을 사용한 경우 모두 열구 침투도나 미세누출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면열구전색제 도포 시 열구 침투도가 우수하고 미세누출이 적은 기계적 삭제 방법과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filled sealant의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미세누출에 있어 교합력을 고려한 실험이나 장기간의 임상실험이 필요할 것이다.

  • PDF

콘크리트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유효폭 평가 (Evaluation on Effective Width of Concrete Unfilled Composite Steel Grid Deck)

  • 박영훈;이승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521-52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합성형교와는 다른 전단연결 상세를 가지는 콘크리트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유효폭을 수치적으로 분석하였다. 유효폭 산정 방법 및 위치, 작용하중 크기, 메인 베아링 바 간격-지간장비에 따른 콘크리트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유효폭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응력 형태를 사다리꼴로 이상화하여 유효폭을 산출하여도 실제 유효폭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전단 강도 증가를 위해 적용된 전단홀 관통 철근이 유효폭을 증가 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인 베아링 바 간격-지간장비에 따른 유효폭 분석 결과로부터 콘크리트 비충전강합성 바닥판의 유효폭비를 산출 할 수 있는 보정 계수를 제안하였다.

하중분배 계수를 적용한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 활하중 모멘트 산정 (Estimation of Live Load Moment for Concrete Unfilled Steel Grid Deck Using Main Bearing Bar Distribution Factor)

  • 박영훈;김성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667-1676
    • /
    • 2014
  • 강합성 바닥판은 두 방향의 휨 강성이 다르기 때문에 직교이방성의 성질을 가진다. 강합성 바닥판의 휨 강성비는 활하중 모멘트에 영향을 미친다.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휨 강성비는 메인 베아링 바 간격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어 메인 베아링 바 간격과 형상비 영향이 고려된 하중분배 계수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휨 강성비를 고려하는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에 의한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활하중 모멘트를 평가하고 비충전 강합성 바닥판의 하중분배 계수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종(數種) Composite Resin의 색소침투(色素浸透)에 관(關)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PENETRATION OF DYE IN COMPOSITE RESIN)

  • 이명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2권1호
    • /
    • pp.155-163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enetration of dye stuff (2% Methylene blue, 2% Hematoxylin, 2% crystal violet and 2% safranin-O) on unfilled resin (Lang Dental MFG Co.) Hipol (Boopyung Dental Chemical Co. Macrocomposite resin) Durafill (Kulzer, Co. Microfilled Composite resin) and Heliosit (Vivadent Co. Microfilled Composite resin) The unfilled resin with dough stage was inserted into plastic tuble (5mm in diameter and 4mm in height) with condensation force of 1000 gr, 2000 gr and without condensation force. Hipol mixed on the mixed pad was inserted into the plastic tube by the same method as the unfilled resin. The microfilled resins which were Durafill and Heliosit were polymerized for 60 seconds with the visible light on each surface of the plastic tube which was upper and lower, under condensation force of 1000 gr, 2000 gr and without condensation force.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the air for 24 hours, then specimens were immersed in the various kind of dye solution for different period of time (1 hour and 24 hours). These dye-treated specimens were polished horizontally until removing 0.5mm of each surface on the emery paper (#1000), and the dye penetration in the polished surface was measured under the digital microscope (Japan Fosuh).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enetration of dyes was the most excessive in Durafill and was not influenced on the condensation force and the period of immersion time. 2. All dyes were penetrated into Hipol, and Crystal violet was penetrated most excessively in all dyes. 3. The penetration of dye in all resins was not influenced by the period of immersion time and condensation force. 4. There was no evidence of dye penetration in unfilled resin.

  • PDF

충격탄성파법을 이용한 PC형교의 쉬이스 내부 그라우트 미충전부 탐사 (Probe of Unfilled Sheath of Prestressed-Concrete Girder Bridge Using Impact-Echo Method)

  • 이상훈;김상진;엔도 타카오;사가라 유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12-119
    • /
    • 2011
  • PC형교에서는 거더의 복부와 하부에 PC강선을 수용하는 쉬이스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그라우트를 충전함으로서 PC강선과 콘크리트를 간접적으로 부착시킨다. 그러나 이 충전이 불충분하면, 쉬이스 내부에 물이 침투하여 PC강선이 부식하거나, 동결융해 작용에 의한 쉬이스 배치 위치에서의 횡방향 균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시공 후 조기에 미충전부를 파악하는 것이 구조물의 유지관리상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랑 부재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하기위해 충격탄성파법을 이용하여 실구조물에 대한 그라우트 미충전부 탐사측정을 실시하였다. 우선 레이더형 철근 탐사기로 철근과 쉬이스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 위치를 기준으로 쉬이스에서의 측정부위를 정하였다. 거더 측면에 탄성파를 입력하고 그 응답으로부터, 고주파수 피크와 두께를 나타내는 공진주파수의 2배수 주파수와의 차로서 미충전부의 위치와 충전정도를 정성적으로 추정하였다. 추정 부위에 대한 확인을 위해 거더의 측면을 천공하고 공업용 내시경에 의한 촬영을 실시하였다.

치면건조제와 접착제의 사용에 따른 치면열구전색재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DRYING AGENTS AND BONDING AGENTS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SEALANTS TO ENAMEL)

  • 임현화;장기택;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6-203
    • /
    • 2003
  • 전색재의 적용은 기술에 매우 민감한 술식으로써 도포 전에 치면의 완전한 건조를 요구한다. 전색재 실패의 여러 요인 중 가장 주된 원인으로는 산부식 후 전색재 도포 전의 수분 또는 타액에 의한 오염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산부식만을 해오던 술식과 수분오염의 극복을 위해 변형된 술식이 전색재의 유지력에 미치는 효과를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1, 2, 3, 4군은 unfilled sealant인 Teethmate-F를, 5, 6, 7, 8군은 filled sealant인 Ultraseal XT plus를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1군과 5군은 35% 인산으로 15초간 산부식과 세척 후 건조시켰다. 2군과 6군은 여기에 치면건조제를 도포하였고, 3군과 7군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광중합하였다. 4군과 8군은 치면건조제와 접착제를 둘 다 도포하였다. 이후 직경 3mm, 높이 2mm의 몰드를 이용하여 전색재를 접착시키고 열순환을 시행한 다음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filled sealant(5, 6, 7, 8군)에서 전단결합강도는 unfilled sealant(1, 2, 3, 4군)에 비해 각각 유의성 있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2. un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1군에 비해 2, 3, 4군은 유의성 있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p<0.05), 2, 3, 4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filled sealant에서는 산부식 처리만 한 5군에 비해 6, 7, 8군의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6, 7, 8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파절면 검사결과 ailed sealant 군에서는 응집성 파절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unfilled sealant 군에서는 2, 3, 4군에서 응집성 파절이 나타났다.를 보였으며 복합 레진은 유의차가 없었다. 상악 견치 (8%), 하악 제 1소구치 (5%) 순이었다. 10. I군에서 추정되는 낭의 발생 원인으로는 치수절단술을 받은 유치가 59.2%로 가장 많았고 이외에 심한 우식 및 치료 받지 않은 외상 병력등 기타 가능한 원인들이 있었다. 11.함치성 낭의 치료법으로는 I군의 경우 61.2%에서 조대술이 시행되었고, II군과 III군의 경우 61.1%, 80.0%에서 적출술이 시행되었다.mH I처치시 SM1과 SM2는 4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어 같은 양상을 보였고, GS톤의 경우는 3조각의 절편으로 절단되었다. Kpn I, Sma I, Xho I 그리고 Pst I에는 절단되지 않았다.s subsp. salicinius와 유전자 유사치가 99.60%, 99.73%를 보여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치아우식증이 없는 소아의 타액에서 분리된 유산균 중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여 인공치태 형성과 휘발성 유황화합물 생성을 억제하는 분리균주는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로 동정되었다.적으로 낮은 수축률과 우수한 물성을 보였으며, 나노필러를 사용한 복합레진의 경우, 기존의 hybrid 필러를 이용한 레진에 비하여 수축응력을 감소시키지는 못하였다. 나노필러를 이용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세포내

  • PDF

비충전 에폭시의 분극 및 전하 이동 (Polarization and Charge Transport in Unfilled Epoxy)

  • 곽현우;최용성;이경섭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2311-2312
    • /
    • 2008
  • The investigations included the measurements of volume currents and also internal space charges on epoxy samples of mm thicknesses. The current versus time relations were shown to correspond well with classical forms of dielectric response such as the Curie-von Schweidler model. After the time transient, near steady currents were extremely small and exhibited a significant temperature dependence, similar in relation to the Poole-Frenkel hoping transport model. Equivalent resistances were on the order of 1019 ohms and represent very weak charge transport. Electrically stimulated acoustic waves were used to quantify the small internal charges that would accumulate within the epoxy. There was a notable homocharge near both anode and cathode. The dielectric response and the internal charge were related to show a consistent model for charge transport within unfilled epox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