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archive

Search Result 9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4 보(報). 무기양분(無機養分)에 대한 경합특성(競合特性)의 차이(差異)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yriza sativa L.) - 4. Differences in Competitive Characteristics for Mineral Nutrition)

  • 임일빈;구자옥;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2-131
    • /
    • 1993
  • 벼의 재배양식(栽培樣式)을 관행(慣行)(손)이앙(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로 하여 재배양식(栽培樣式) 차이(差異)에 따른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영양(營養)의 경합특성(競合特性)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벼와 잡초(雜草)의 시기별(時期別) 양분함량(養分含量) :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에서는 주로 인산(燐酸)은 올방개에서, 마그네슘은 피에서 높은 경향(傾向)이었으며, 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에서는 칼륨과 마그네슘이 올방개와 피에서 각각(各各) 높았다. 어린모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질소(窒素)와 칼리가 올방개에서 높고, 마그네슘이 피에서 높은 반면, 벼에서는 대체로 낮은 양상(樣相)이었다.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인산(燐酸)은 알방동사니, 칼리는 올방개, 올쟁고랭이, 알방동사니, 칼슘은 피와 사초과(砂草科) 잡초(雜草), 그리고 마그네슘은 알방동사니에서 높았으며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질소(窒素), 인산(燐酸)은 올챙고랭이, 칼륨은 올방개, 올챙고랭이, 칼슘은 피와 사초과(砂草科) 잡초(雜草) 등(等)에 의해서 경합해(競合害)를 받는 경향(傾向)이었다. 나. 벼와 잡초(雜草)의 시기별(時期別)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 :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는 피와 올방개의 영향(影響)을 받아 벼의 질소(窒素), 인산(燐酸), 칼륨 및 칼슘의 흡수량(吸收量)이 억제(抑制)되었고, 중묘기계이앙(中苗機械移秧)에서는 경합(競合)의 영향(影響)이 크지 않게 균형(均衝)을 이루는 양상(樣相)이었고,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주로 올방개에 의하여 조사성분(調査成分)이 전체적(全體的)으로 흡수(吸收)가 억제(抑制)되었다. 담수(湛水) 및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피>올방개>올챙고랭이>알방동사니의 순(順)으로 벼의 전체적(全體的)인 양분흡수(養分吸收)를 유의적(有意的)으로 억제(抑制)하였다.

  • PDF

잔디 비료 제형의 엽면 살포가 가을철 한지형 잔디의 생장 증대 (Increase of Growth on Cool Season Turfgrass by Foliar Application of Preparations of Turfgrass Fertilizer during Fall Season)

  • 구준학;허혁재;김양선;윤정호;장석원;이승준;장태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41-49
    • /
    • 2014
  • 액상 잔디비료의 4종류의 제형을 가을철 한지형 잔디에서 시험하였다. 상업용 제품 개발을 위한 PS-A, PS-B, PH-C 및 PH-D은 필수영양원소와 해추출액, 아미노산 및 휴믹 물질함유하고 있다. 켄터키블루그라스 혼합품종(Midnight 33%, Moonlight 33%, Prosperity 33%)과 크리핑벤트그라스 "Penn-A1" 품종에 대한 생장과 품질은 잔디색, 엽록소 함량 및 뿌리길이, 뿌리생체중 및 개체수(분얼수) 밀도로 평가하였다. 4종류의 제형을 2013년 가을철에 합천 뗏장농장에서 7일간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를 하였다. 잔디 생장은 크리핑벤트그라스에서는 4종류 모드에서 처리간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는 PS-A에서 잔디생장이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과 잔디색은 PA-A를 2와 3회 살포한 크리핑벤트그라스와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잔디 개체수밀도는 PA-A와 PA-B를 살포한 처리구에서 살포 후 20일에 켄터키블루그라스에서 유의 차이는 보였다. 이 결과는 개발 제형을 가을철에 뗏장잔디 생산과 골프장에서 사용 할 경우 잔디색과 엽록소함량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제초제 저항성작물에서 잡초관리기술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Management in Herbicide-Resistant Crops)

  • 변종영;장규섭;이증주;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21-229
    • /
    • 2013
  • 우리나라에서 제초제 저항성작물의 개발과 저항성작물의 실용화 재배가 이루어질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 및 잡초방제 연구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잡초방제 방향과 전망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작물에 대한 약해 없이 한 가지 제초제만을 사용해서 선택적으로 광범한 잡초방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획기적인 잡초관리 기술의 하나이다. Glyphosate 저항성 형질전환 콩, 옥수수, 캐놀라, 면화에서 glyphosate 사용은 단순한 잡초방제법으로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잡초를 관리할 수 있다. 한 작물에 glyphosate와 glufosinate에 모두 저항성인 이중저항성작물은 옥수수, 콩, 면화에서 개발되어 glyphosate 저항성잡초를 방제할 수 있었으며, 기존 제초제 기술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glyphosate를 ALS 저해형 제초제, 합성옥신 제초제, HPPD 저해형 제초제 혹은 ACCase 저해형 제초제를 포함한 새로운 제초제 저항성작물 개발은 제초제 저항성잡초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가까운 장래에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제초제 저항성작물만으로는 잡초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작용기작 제초제의 교호사용, 기계적, 경종적 방법을 통합한 종합적잡초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망된다.

여름잎마름병(Summer patch) 병원균에 대한 살균제의 억제효과 조사 (Investigation of Fungicides Inhibitory Effect of on Summer Patch Disease, Caused by Magnaporthiopsis poae, in Kentucky bluegrass)

  • 이정한;심규열;김정호;전창욱;곽연식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51-156
    • /
    • 2017
  • 국내 Kentucky bluegrass로 조성된 골프장이나 잔디 재배지에서 여름철에 여름잎마름병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름잎마름병방제약제가 아직까지 등록되어있지 않아 병원균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형적인 여름잎마름병 병징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였고 ITS1과 ITS4 염기서열 분석으로 Magnaporthiopsis poae로 동정되었다. 잔디용으로 사용되는 10개의 약제를 대상으로 병원균 반응을 조사한 결과, 약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병원균 생장을 억제하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병원균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triazole계 약제 4종(metconazole, myclobutanil, propiconazole과 tebuconazole)의 병원균 억제효과는 10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thiophanate-methyl의 억제효과가 높았으며 strobilurin계의 약제인 azoxystrobin, pyraclostrobin과 trifloxystrobin 약제를 비교하였을 때는 pyraclostrobin 약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zoxystrobin과 trifloxystrobin 순으로 나타났다. Fludioxonil과 fluxapyroxad의 병원균 억제효과는 trifloxystrobin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잔디해충 연구사 (Research Review on Turfgrass Insect Pests in Korea)

  • 추호렬;이동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77-85
    • /
    • 2017
  • 해충은 잔디재배지나 운동장이나 공원, 골프장, 공항 등의 잔디에 피해를 주는 주요 원인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잔디해충에 관한 연구는 다른 작물분야에 비하여 적고, 역사도 짧다. 본 총설은 우리나라에서 잔디해충분야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 된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현재까지 52편의 잔디해충 분야 논문이 8개의 전문학술지에 게재되었다. 전체의 63.5%인 33편의 논문이 Weed and Turfgrass Science에 게재되었다. 잔디 해충분야 연구 주제는 해충의 생태적 연구와 방제연구로 크게 대별된다. 1990년대 이전에는 잔디해충 관련 논문이 없었으나 1990년대에 9편, 2000년대에 10편, 2010년 이후 14편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어 1997년 이후 년 평균 2편의 논문이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다. 6목 13과 33종의 해충과 잔디혹응애(Aceria zoysia), 쥐며느리(Armadillidium vulgare)가 우리나라에서 잔디 피해 절지동물로 기록되어 있다. 굼벵이와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 지렁이 관련 논문이 전체 잔디해충 관련 논문의 50%를 차지하고 있다.

바랭이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관한 연구(硏究) (Effect of Various Factors on Dormancy-Breaking of Digitaria sanguinalis Seeds)

  • 김길웅;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7-142
    • /
    • 1983
  • 휴면상태(休眠狀態)에 있는 바랭이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영향(影響)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要因)을 처리(處理)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산처리(窒酸處理)는 $10^{-2}$ M 농도(濃度)에서 약(約) 20%, 농황산연속(濃黃酸連續) 8 분간(分間) 처리(處理)에서 37.8%의 발아력(發芽力)을 보여 이들 두 처리(處理)는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유의(有意)한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를 보였다. 2. 변온(變溫)($15^{\circ}-35^{\circ}C$$20^{\circ}-35^{\circ}C$) 처리(處理)는 처리후(處理後) 10 일째 약(約) 89%의 높은 발아력(發芽力)을 보여서 빛과 더불어 바랭이 종자(種子)의 휴면타파(休眠打破)에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방법(方法)으로 간주되었다. 3. 종피제거(種皮除去)로 72%의 발아력(發芽力)을, 종피(種皮)의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빛만의 조사(照射)로 약(約) 88-89%의 극히 높은 발아력(發芽力)을 보여서 변온처리(變溫處理)와 더불어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휴면타파방법(休眠打破方法)으로 구명(究明)되었다. 4. 변온하(變溫下)에서 GA, BA 및 이들의 혼합처리(混合處理) 등(等)은 변혼(變混) 그 자체에 의(依)한 휴면타파(休眠打破) 효과(效果)를 증가(增加)시키지 못하고 억제(抑制)시키는 현상을 보였다. 정온하(定溫下)에서의 평균발아력(平均發芽力)은 변온처리시(變溫處理時)보다 훨씬 낮았으나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상호처리간(相互處理間)에는 유의(有意)한 발아력(發芽力)을 보였다.

  • PDF

약용식물(藥用植物) 추출액(抽出液)의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와 관련화합물(關聯化合物) 탐색(探索) (Inhibitory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and Identification of Inhibitory Substances)

  • 김길웅;이인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7
    • /
    • 1989
  • 시호(柴胡)를 포함(包含)한 21종(種) 약용식물(藥用植物)의 여러추출액(抽出液)이 벼, 피, 상치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이들이 함유(含有)한 phenolic compounds 와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의 구성(構成)과 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공시약용식물(供試藥用植物)의 수용(水溶) 및 알코올추출액(抽出液)의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는 상치에 대(對)해 현저(顯著)하여 공시재료중(供試材料中) 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부자(附子), 시호(柴胡), 생강(生薑)당귀(當歸), 산약(山藥), 아무(莪茂)의 수용추출(水溶抽出) 5%는 상치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90% 이상(以上) 억제(抑制)하였고, 향부자(香附子), 천남성(天南星), 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시호(柴胡), 부자(附子), 아무(莪茂), 독활(獨活), 산약(山藥), 조약(鳥藥), 작약(芍藥)의 알코올추출액(抽出液) 2%는 상치 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95% 이상 억제(抑制)하였다. 2. 추출용매(抽出溶媒)를 달리한 결과(結果) 공시재료(供試材料)의 용매(溶媒)에 따른 억제정도(柳制程度)는 차이(差異)를 보여 ethanol, ether, aceton, chloroform 의 순(順)을 나타냈으나 공시재료(供試材料) 모두 같은 경향(傾向)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3. 공시약용식물(供試藥用植物)로부터 분리(分離) 동정(同定)된 phenolic compounds 의 양(量)은 행인(杏仁) 30.6013 mg/g, 초조(草鳥) 29.1008 mg/g, 천궁(川芎) 27.2947 mg/g 순(順)으로 많았고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는 이들의 양(量)뿐만 아니라 구성(構成) phenolic compounds의 종류(種類)와 밀접(密接)한 관련(關聯)이 있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 공시재료(供試材料)의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과 구성(構成)도 억제효과(抑制效果)와 다소(多少) 관련(關聯)이 있는 것으로 나타마 억제효과(抑制效果)가 높았던 천궁(川芎)은 24.10 mg/g의 지방산(脂肪酸)과 21.04 mg/g 의 유기산(有機酸)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특히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높았던석창포(石菖蒲), 천궁(川芎), 시호(柴胡) 등(等)은 oleic, linoleic, linolenic 같은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을 다량(多量)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 PDF

벗풀에 대한 2,4-D, 2,4-D ETHYLESTER 및 BENTAZON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Herbicidal effect of 2,4-D, 2,4-D ethylester and bentazone on Sagittaria trifolia)

  • 신현승;박태선;이인용;박재읍;류갑희;이정운;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6-41
    • /
    • 1996
  • 본(本) 실험(實驗)은 논 난방제(難防除) 잡초(雜草)로 지적(指摘)되고 있는 벗풀에 대(對)한 2,4-D, 2,4-D ethylester 및 bentazone의 살초효과(殺草效果)와 효과적(效果的)인 사용법(使用法)을 밝히고자 수행(遂行)되었다. 1. 2,4-D와 2,4-D ethylester는 80일(日)까지도 벗풀에 대(對)하여 100%의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내었으나, bentazone은 60일(日) 이후(以後) 처리(處理)에서 살초효과(殺草效果)가 감소(減少)되었다. 2. Bentazone은 생장점(生長點)으로 이행(移行)이 어려운 반면(反面), 2,4-D와 2,4-D ethylester는 생육후기(生育後期)임에도 지하부(地下部)의 생장점(生長點)으로 쉽게 이행(移行)되어 생장점(生長點)을 파양(破壤)하였다. 3. 2,4-D와 2,4-D ethylester는 3cm 담수구(湛水區)에서도 80일(日)까지 완전방제(完全防除)가 가능(可能)한 반면(反面), bentazone은 1cm 이상(以上) 담수구(湛水區)에서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4 괴경현성(塊莖形成)에 있어서 2,4-D와 2,4-D ethylester의 한계(限界) 처리수준(處理水準) 및 시기(時期)는 각각(各各) 기준량(基準量)의 1/4량(量)인 7g ai/10a과 1/8량(量)인 6g ai/10a 60일(日)이었다.

  • PDF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雜草)의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1. Distribution and Growth of Weeds in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8-288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및 군락구조(群落構造)의 변화(變化)를 파악하여 비교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잡초(發生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8종(種), 및 사초과(莎草科) 4종(種) 등 총 14종이었고, 우점초종은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황새냉이, 너도방동사니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비율은 73.6 : 26.4%로 일년생 점유율이 높았다. 2.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 1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7종(種), 사초과(莎草科) 4종(種)등 총 12종이었고, 우점초종은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밭뚝외풀 순(順)이었다.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82.1 : 17.8%로 일년생(一年生) 점유비율이 단연 높았다. 3. 건답(乾畓) 및 담수직파(直播)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장양상에서 대부분 잡초(雜草)들의 개체수(個體數)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경에서 결정되었고, 건물중(乾物重)은 파종(播種) 후(後) 75-90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초장(草長)의 신장(伸長)은 피, 올챙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播種) 후(後) 45~60일(日), 미국가막사리는 파종(播種) 후(後) 60~90일(日)에 큰폭의 신장성(伸長性)을 보였으며 그 외의 잡초(雜草)들은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이후부터 완만한 신장(伸長)을 나타냈다. 4. 생육후기까지 가장 우점했던 초종은 건답직파에서 알방동사니, 가막사리, 바랭이 및 피였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알방동사니, 피 및 올챙고랭이였다.

  • PDF

올방개 괴경(塊莖)의 맹아(萌芽)에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土壤溫度) 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 (Effect of Depth of Tuber Burial,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on Tuber Sprouting of Eleocharis Kuroguwai Ohwi)

  • 전재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1994
  • 올방개 괴경(塊莖) 형성(形成)과 휴면(休眠) 각성(覺醒)에 각성 미치는 매몰심(埋沒深), 토양온도(士壞溫度)및 수분조건(水分條件)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토양표층(土壤表層)으로 부터 30cm 이내(以內)에 고루 분포(分布)하였다. 괴경(塊莖)의 크기는 형성심도(形成深度)가 깊어질수록 커지는 경향(傾向)이었다. 새로 형성(形成)되는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이 없지만, 성숙(成熟) 괴경(塊莖)은 휴면성(休眠性)을 보였다. 신괴경(新塊莖)을 $5^{\circ}C$ 정온(定溫) 또는 $20^{\circ}C$로부터 $1^{\circ}C$로 하강(下降)되는 변온조건(變溫條件)에서 30일간 처리(處理)할 때는 비휴면성(非休眠性)이 유지(維持)되었다. 괴경(塊莖)의 생존력(生存力)은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토양조건(士壞條件)에서 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키면 감소(減少)되었지만, 25cm 매몰심(理沒深)에서는 토양(土壞) 수분조건(水分條件)에 관계없이 감소(減少)되지 않았다. 25cm 깊이로 매몰(埋沒)시킨 괴경(塊莖)의 맹아율(萌芽率)은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에 관계없이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한 반면, 건조(乾燥) 및 습윤(濕潤) 조건(條件)의 5cm 매몰(埋沒)에서는 60일 동안 맹아율(萌芽率)이 증가(增加)하다가 그 이후(以後)부터 감소(減少)되었다.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의 맹아율(萌芽率)은 25cm 보다 5cm 매몰심(埋沒深)에서 높았으며, 두 매몰심(埋沒深) 모두 매몰(埋沒) 기간(期間)이 길어질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