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27초

'NCS'의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이 '전문성' 및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n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for 'beautician(skin)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 suggested by 'NCS' on profession and practice suitability)

  • 김혜련;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512-352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학벌중심사회'에서 '능력중심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의 결과물인 'NCS'가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이 실제 피부미용사의 전문성과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위생관련 교과목과 기초직업능력을 제외한 3가지 요인은 실무능력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직업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4가지 요인들은 '전문성'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생관련 교과목이 고객의 건강과 관련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전문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이해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위생관련 교과목에 대하여 전문성이 아닌 당연한 실무능력으로의 인식 전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기초직업능력은 단시간 내에 습득하기 힘들고 전문지식과 합쳐질 때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능력들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기초직업능력의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정부가 'NQF'구축을 발표한 현 시점에서 그 기반이 되는 'NCS'에 대한 중간 점검이 필요한 시기이나, 학계 및 정부 차원의 이러한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NQF'구축시에 공통직업능력, 피부관련교과목, 네일관련 교과목은 능력중심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과과정으로 판단되나, 위생관련 교과목과 기초직업능력 교과목은 능력중심 인재양성을 위해서 교과과정으로 적용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안 모색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발명·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 척도 타당화 연구 (Validation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cale fo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ed in Invention and Patent Education)

  • 안병국;안도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29-648
    • /
    • 2015
  • 본 연구는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을 하였으며, 미응답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88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Luthans, Avolio 외(2007)가 제시한 심리적 자본 척도(PCQ, 24-items)를 발명 특허 분야를 공부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알맞게 번안 수정하여,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명 특허 특성화 고등학생의 심리적 자본 척도는 19개 문항의 4개요인(자기효능감, 희망, 적응유연성, 낙관주의)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의 전체 신뢰도는 .87이며,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72~.86으로 나타났다. 수렴 타당도 분석을 위해 심리적 자본과 관련 변인들(창의적 지능, 창의성, 학문적 효능감)과의 상호상관을 살펴본 결과,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준거 타당도를 위해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과 무경험 집단의 심리적 자본을 비교한 결과, 발명 및 학업 수상 경험 집단이 무경험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는 향후, 발명 특허 재능 학생들의 심리적 자본을 탐색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The Analysis of Teacher's Recommendation Usefulness in Selecting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이인호;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81-404
    • /
    • 2009
  • 이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추천 학생과 미추천 학생이 영재로 선발된 정도와 인지적 정의적 영재 관련 특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인천광역시 관내 20개 초등학교의 6학년 지도 교사 87명과 위 학교의 6학년 중 추천 학생 103명과 미추천 학생 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학생의 지능,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창의성, 학습방법, 성취동기, 학업능력에 대한 신념, 문제해결 성향 및 과제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추천 유무에 따라 학생의 영재 관련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영재 선발 2단계(영재성 검사)와 3단계(학문적성 검사)를 통과한 학생과 탈락한 학생의 영재 관련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 추천은 영재 선발에서 $70{\sim}80%$의 판별 적중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 초등 교사의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 계열에 따른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Self-Efficacy by Science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 이현동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1호
    • /
    • pp.63-74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재학 당시 진로 선택 계열에 따른 예비 초등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과학 동기를 비교하고,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A 광역시 소재 교육대학교 2~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525명의 응답 결과를 활용하였다. 응답한 예비 초등 교사 중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학생은 350명,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학생은 17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과학 동기에 대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증 및 효과 크기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두 검사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학생들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66.7%, 68.3%가 나타났고,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서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 초등 교사들의 과학 동기에 영향을 주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상대적인 중요도는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과제곤란도선호가,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과학 관련 교과목에서 높은 성취와 동기를 얻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을 잘 가르치기 위하여, 과학적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지정도서 활용이 수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ors' Utilization of the Reserve Collection in the University Library)

  • 윤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277-325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ors' utilization of the reserve collection in the university library. To accomplish this, an experiment-and-questionnaire study was done by selecting an experimental group for whom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reserve collection was used and a control group for whom the method was not used.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studied were as follows: (1) Students take the 'Comparative Politics' course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2) Students take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course III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The data to test the hypothesis were analyzed by SPSS/PC+ rout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T(228)=6.69, P<.0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ffect by majo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herefore, students for whom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reserve collection was used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for whom the method was not used. (2) As for the degree of utilizing the library and its materi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228)=8.87, P<.01). As for the results of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ffect by majo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both departments. As for the degree of utilizing library catalogues and bibliographical too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 (228)=8.55, P<.01). As stated earlie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ffect by major h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both departments. As for the degree of sincerity in doing homework and writing pap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T(176)=8. 03, P<.0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ffect by majo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again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agai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both departments. So, the students for whom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reserve collection was employed used library catalogues and bibliographical tools much more than those for whom the method was not employed, and were more sincere in doing homework and writing papers. (3)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degree of satisfaction in taking the course (T (228) = 6.61, P<.01). The results of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effect by major wa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both departments. Therefor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were taught by the teaching method utilizing the reserve collec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were not taught by the method.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of two departments as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teaching method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ho took the 'Comparative Politics' course in a small class which employed the seminar method were higher in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teaching method than students who took the 'History of English Literature' course III a large class which employed a lecture-oriented teaching method.

  • PDF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Learning Style,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Flow between Gifted and Normal Student)

  • 구영수;양연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77-19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입 간의 차이와 학습양식과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영재아 118명과 일반아 124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영재아는 일반아보다 독립적, 경쟁적, 참여적 학습양식을 가졌으며, 개인적, 행동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습몰입의 정도가 높았다. 둘째,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립 및 참여적 학습양식은 자기조절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영재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이고 독립적일수록, 행동적, 개인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고, 일반아의 학습몰입은 학습양식이 참여적일수록, 개인적, 환경적 자기조절학습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높았다.

매일 흡연하는 여고생의 흡연양상, 건강행태 및 가족특성 :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활용을 통한 융복합 연구 (Daily Smoking Girls' Tobacco Use, Health Behaviors and Family Factors : Analysis of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 이영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377-384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 기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여자 고등학생의 흡연양상, 건강행태 및 가족특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2015년 실시된 11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의 원시자료를 활용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여자 고등학생 2,006명이며,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 고등학생의 27.5%가 현재 흡연자이며, 30일 이내 흡연 경험이 있는 여고생은 752명(37.5%)이었다. 흡연일수를 기준으로 매일 흡연하는 여고생은 385명(19.2%), 간헐적으로 흡연하는 여고생은 367명(18.3%)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매일 흡연하는 여고생의 예측요인은 모성의 흡연 여부, 시설거주 여부, 주관적 학업성취도, 주관적인 가정의 경제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여학생 흡연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마련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근로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에 관한 연구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Korean Employees)

  • 조동란;박은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46
    • /
    • 1998
  • Introduction : In Korea, national attention to the workplace health promotion programs (HPP) for employees began in early 1990s. Governmental supports for the HPP and education programs have given to the employe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performance degree of employees' health promoting lifestyle(HPL). Subjects and Methods : For this study, 615 employees who attended governmental educa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samples. The tool for measuring HPL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r Korean by In-Sook Park in 1995. It is composed of 4-point scaled 60 items and divided into 11 subcategori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ing questionnaires from June to December in 1997. Those data were analyzed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with SAS program.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total mean score of the employees' HPL performance was 2.66. The average scores of 'harmonious relationships' category were the highest as 3.11, whereas the one of 'professional health maintenance' were the lowest as 2.02. The remains were 'sanitary life'(2.90), 'emotional support(2.85), 'regular diet'(2.84), 'self achievement'(2.78), 'healthy diet'(2.56), 'rest and sleep'(2.56), 'exercise and activity'(2.54), 'diet control'(2.53), 'self-control'(2.52). 2. The factors affecting HLP were category of industries and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major, educational experience of health promotion,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employees of service industries, female, older age, married, nurse, educated for health promotion,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performed HLP more than the others. 3. The participation rates of employees for HPP were 12.4%, because of limited time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Recommendations; 1. The regulation for performing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is essential for activating industrial health promoting movement. 2. More governmental supports for educations and service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are needed. 3. For behavioral changes of the employees, the contents of educations have to consist of exercise and activity, rest and sleep, diet and smoking habits. 4. The evaluating studies for ready mad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the industries are expected.

  • PDF

Outcomes into Adulthood of Survivors Born Either Extremely Low Birthweight or Extremely Preterm

  • Doyle, Lex W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1호
    • /
    • pp.7-15
    • /
    • 2018
  • We need to understand the outcomes into adulthood for survivors born either extremely low birthweight (ELBW; <1,000 g) or extremely preterm (EP; <28 weeks' gestational age), particularly their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metabolic status,respiratory function, growth, psychological and mental health performance, and functional outcomes. Blood pressure is higher in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in ELBW/EP survivors compared with controls. In some studies, expreterm survivors have higher insuli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than controls, which may also increase their risk for later cardiovascular disease. ELBW/EP survivors have more expiratory airflow obstruction than do controls. Those who had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the newborn period have even worse lung function than those who did not have BPD. As a group, they are unlikely to achieve their full lung growth potential, which means that more of them are likely to develop chronic obstructive airway disease in later life. Although they are smaller than term born controls, their weight gradually rises and ultimately reaches a mean z-score close to zero in late adolescence, and they ultimately attain a height z-score close to their mid-parental height z-score. On average, ex-preterm survivors have intelligence quotient (IQ) scores and performance on tests of academic achievement approximately 2/3 SD lower than do controls, and they also perform less well on tests of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 They have similar high rates of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as do controls. They are, however, over-represented in population registries for rarer disorders such as schizophrenia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ohort studies, ex-preterm survivors mostly report good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in daily activities, and they report good levels of self-esteem. In population studies, they require higher levels of economic assistance, such as disability pensions, they do not achieve education levels as high as controls, fewer are married, and their rates of reproduction are lower, at least in early adulthood. Survivors born ELBW/EP will present more and more to health carers in adulthood, as they survive in larger numbers.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Review on Science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Having Social and Emotional Problem)

  • 류은주;김정은;백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659-68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발명 영재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어려움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또래 관계 맺기, 의사소통과 협동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스트레스 처리능력, 다중처리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원, 가족, 학교로부터의 과도한 기대로 인해 자신의 영재성에 대한 의심, 자아 정체성의 혼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영재교육의 학업적 성취와 인지활동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영재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영재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영재교육에 학생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