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so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8초

새인두흡충 제2중간숙주의 발견 (Demonstra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Clinostomum complanatum in Korea)

  • 정동일;공현희;문주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305-312
    • /
    • 1995
  • 1994년 4월부터 8월까지 경북 의성군 가음지, 개천지 및 쌍계천에서 채집한 담수어에서 검출한 흡충류 피낭유충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새인두흡충의 피낭유충으로 동정한 후 이 피낭유충을 닭에 실험적 감염시켜 얻은 성충을 형태학적으로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탈낭유충은 혓바닥 모양이며 길이 3.28-4.27 mm, 폭 0.94-1.46 mm의 크기이었다. 실험감염 4일 후 닭에서 얻은 성충은 길이 4.20-4.86 mm, 폭 1.14-1.49 mm이었다. 16종의 담수어중 12종, 칼납자루, 납지리, 줄납자루, 붕어, 기름종개, 폴마자, 참붕어 돌고기, 각시붕어, 참물개 긴물개 및 갈겨니에서 새인두흡충의 피낭유충을 겁출하였다. 피낭유충의 기생율은 납지리와 돌마자에서 88.9%로 가장 높았고 개체당 감염정도는 붕어에서 13.0개로 가장 높았다. 이번 연구로 우리 나라에도 새인두흡충이 토착적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알았고 담수어가 인체 감염원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학봉종택 가도(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A Study on The relocation pla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18th century's Jongtaek based on the analysis of Hakbong Gado)

  • 유기원;김기주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7-25
    • /
    • 2009
  • Hakbongjongtaek(The head house of Uisong Kim family, 鶴峯宗宅), firstly built in the early 17th century, was moved to its neighboring place in the late 18th century. The man who led the relocation(移建) of the house was the eldest grandson of the family, Jong-soo, Kim. He made and overall plan and also participated in building the house. There remain four Gados(family paintings, 가도(家圖)) related to the relocation plan. This paper aims to make an analysis of these Gados, and through analysis, to find what was the essential poing of the relocation plan and how the point was represented in the painting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main focus of relocation plan was the form of Anchae(the inner house). Anchae was designed as asymmetrical form, and restricted to four kan. Only Andaechung needed to be 6 kan size for religious ceremonies. 2. For the design of Sarangchae, the displacement of large Sarangbang and small Sarangbang was an important issue. There were two ways of layout: parallel type and facing type. The latter was chosen. 3. The representation and techniques of Gado is quite concrete, in spite of differences among them. The expression of doors, windows, attic and kitchen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ace. Also the spatial division, which was expressed line on the grid, was based on the scaled ruler. As we've seen before, painting the relocation plan was a kind of endeavors to make the housing type as a realization of Garye. Also, we can find out that role of the eldest grandson of the family was quite important to carry out the plan. As well as, it was meaningful to examine Sadaebu (the aristocrat of Chosun)'s perception of housing.

  • PDF

연륜 변화를 이용한 의성지역 주요 조림수종의 생장특성 (The Growth Characteristic of the Main Afforestation Species Using the Change of the Annual Ring in Uiseong Area)

  • 이동섭;김동근;배관호;서형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74-281
    • /
    • 2005
  • 의성군의 기후특성은 여름 고온과 강우집중이 높으며, 이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겨울에 저온과 건조가 심하고, 점진적으로 저온일이 증가하고, 강-우량이 감소하는 지역이다. 또한 의성군 조림지의 토양은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전형인 pH $4.5\~5.6$사이의 산성토양으로 나타났으며, 부식층의 두께는 조림수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A층의 두께는 평균 $10\~20cm$ 정도로 비교적 얕은 편이었다. 또한 전형적인 갈색 산림토양을 나타내고 있고 일부 아카시나무 조림지는 층위의 구분이 불분명한 미숙 토양으로 나타났다. 의성군 지역의 임지환경에 따른 주요조림 수종의 생장특성은 낙엽송의 경우 성재재적이 가능한 흉고직경 6cm에 도달하는 기간이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7년에서 19년 사이에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사면에서 동사면이나 북동사면에 비하여 연륜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리기다소나무의 경우 서사면과 동북사면에서 연륜폭의 변화가 적고 고른 반면 남사면과 동사면에서는 연륜의 변화폭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비슷한 수령과 토양에서 사면방향이 다른 차이만으로도 연륜폭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7\~9$년 정도에 가능하며 연년생장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것도 19년 내외가 되면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연륜폭은 전체적으로 사면 특성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까지 특별한 간벌이 없는 관계로 점진적으로 연년생장량이 감소하고 있다. 부분적으로 북동사면과 남서사면간의 비교에서는 연륜폭 변화가 서사면과 동사면의 비교에 비하여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성재재적에 이르는 시기는 입지에 상관없이 6년 정도 소요되면 연년생장량은 약 19년 전후에 연년생장율이 $10\%$이하로 떨어져서 생육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에 있어서는 임지내에서 계곡부와 산록부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상수리나무 또한 토양이 비교적 비옥하고 보습성이 높은 계곡부에서 연륜의 변화가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년생장량 또한 비교적 시계열적으로 떨어지면 조림 후 17년 전후해서 $10\%$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카시나무는 사면방향에 따른 변이보다는 기후 등의 영향으로 연륜폭 변화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북서사면과 북동사면 사이에 연륜폭 변화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주요 조림수종은 성재재적이 되는 흉고직경 6cm에 이르는 시기가 최소 5년에서 9년 정도의 기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나며, 연년생장량이 현격히 떨어지는 시기는 수령이 13년에서 19년 사이에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엽송의 경우 사면방위에 따라 조림의 성공과 생육이 결정되며 리기다소나무와 잣나무는 사면방위, 기후가 영향을 미치며, 조림 후 임지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수리나무, 아카시나무 등의 활엽수종에서도 자연발생적인 임지라 하더라도 임지의 관리를 통한 충분한 보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분지(慶尙盆地)에서 발견(發見)되는 함광퇴적암층(含鑛堆積巖層) (Ore-Bearing Sedimentary Formation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Korea)

  • 최위찬;윤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24권3호
    • /
    • pp.227-232
    • /
    • 1991
  • Since "Gyeonsang Formation" has been introduced 90 years ago by B.Koto(1903), it was newly found within the lower Chomgog Formation ore mineralized zone. The mineralized zone occurs along the stratigraphic unit there. The ore minerals are mainly composed of hematite, ilmenite and magnetite. The molybdenum (2.100-3.100ppm?), copper and zinc are the accessories. There are also traces of cadmium, gadolinium, neptunium, ruthenium and tin. The ore mineralized zone shows about 1 km of apparent thickness with 10 to 12 degrees of plunging on the surface and extends 12 km along its strike in the U-Bo sheet(Chwae et al., 1990). The mineralized zone could be valuable to correlate the stratigraphic sequence between the Uisong and Mirryang subbasins, if giving consideration of the Palgongsan lineament (Chang, 1975).

  • PDF

홍화씨 추출분말 함유 건강음료의 제조와 항산화성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lth Drink with Extract Powders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 김준한;박준홍;박소득;최성용;성종환;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7-624
    • /
    • 2002
  • 홍화씨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와 그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을 조사하였다. 추출건조분말의 수율은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추출물이 5.62%로 가장 높았다. 음료제품의 당도는 $11.4{\sim}14.2%$, pH는 $2.83{\sim}3.34$, 산도는 $0.09{\sim}0.91%$이였고, 총페놀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117 mg/g로, 음료제품은 SD-I이 440 ppm으로 가장 높았고,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6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49 mg/g로, 음료제품 SD-V가 138 ppm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serotonin 화합물인 serotonin-I과 serotonin-II의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과 amyloglucosidase 가수분해 후 60% 에탄올 추출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은 21.09 ppm과 33.56 ppm의 함량을 보였고, 홍화음료의 경우는 SD-II에서 3.83 ppm과 5.81 ppm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cacetin의 함량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에서 가장 높은 13.53 ppm의 함량을 보였고, 홍화음료에서는 SD-V가 1.14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DPPH 소거활성은 80% 에탄올추출 동결건조분말이 94.51%로, 음료제품 SD-I이 94.88%을 나타내어 100 ppm BHA 표준용액의 93.88%보다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홍화음료의 관능평가에서는 SD-I과 SD-II가 전제적 기호도, 색 및 향 등의 모든 관능평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항산화제 및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의 홍화씨의 식품학적 가치를 높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수분스트레스가 작약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Stress on Growth and Yield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 김세종;박준홍;오동식;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9-204
    • /
    • 2001
  • 작약의 생육단계별 한발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한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상부 생육은 4월1일~5월30일 단수처리에서 경장67.5cm, 경수 10.4개로서 대조구보다 각각 6.8cm, 0.9개 작거나 적었다. 지하부 생육은 6월 1일~7월30일 단수처리에서 근장 27.2cm, 근경 24.5mm로서 대조구의 33.1cm, 29.8mm보다 각각 5.9cm, 5.3mm 작거나 가늘었고, 뿌리수략은 대조구가 $2,039kg\;10a^{-1}$인데 비해 6월 1일~7월 30일 단수처리구는 $1,809kg\;10a^{-1}$으로서 11% 감소되었으며 상품수량도 17% 감소하여 가장 피해가 컸다. 장기간 한발시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생육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정관수(50kPa)시기는 봄에는 무강우후 17일경, 여름에는 무강우후 9일경, 생육후기인 8월부터는 무강우후 13일경으로 예측되었다.

  • PDF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Leaves of Carthamus tinctorius

  • Lee, Jun-Young;Chang, Eun-Ju;Kim, Hyo-Jin;Park, Jun-Hong;Choi, Sang-W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13-319
    • /
    • 2002
  • A total of eight flavonoids (1-8), including a novel $quercetin-7-o-(6"-o-acetyl)-{\beta}-D-glucopyranoside$ (6) and seven known flavonoids, luteolin (1), quercetin (2), luteolin $7-o-{\beta}-D-glucopyranoside$ (3), $luteolin-7-o-(6"-Ο-acetyl)-{\beta}-D-glucopyranoside$ (4) quercetin $7-o-{\beta}-D-glucopyranoside$ (5), acacetin 7-o-{\beta}-D-glucuronide (7) and apigenin-6-C-{\beta}-D-glucopyrano $syl-8-C-{\beta}-D-glucopyranoside$ (8), have been isolated from the leaves of th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and chemical studi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se flavonoids was evaluated against 2-deoxyribose degradation and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generated via a Fenton-type reaction. Among these flavonoids, luteolin-acetyl-glucoside (4) and quercetin-acetyl-glucoside (6) show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ies against 2-deoxyribose degradation and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microsomes. Luteolin (1), quercetin (2), and their corresponding glycosides (3 & 5) also exhibited strong antioxidative activity, while acacetin glucuronide (7) and apigenin-6,8-di-C-glucoside (8) were relatively less active.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동아의 경정배양을 통한 기내증식 (In vivo propagation of Paeonia lactiflora Pall. Through Shoot-Tip Culture of Winter Buds)

  • 정재동;한증술;지선옥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1-104
    • /
    • 1995
  • 작약동아의 정아 및 액아의 기내배양에 의한 유묘의 증식에 필요한 배양조건을 구명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아배양의 경우, 생장조절재의 조성에 무관하게 두지방종에서 100% 신초가 신장하였으나 생장은 의성지방종 은 NAA 0.1 mg/L 단용배지, 영천지방종은 NAA 0.01 mg/L 단용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액아배양의 경우, NAA 0.01 mg/L와 zeatin 5.0 mg/L 혼용배지에서 의성지방종은 100%, 영천지방종은 50%의 가장 높은 신초신장율을 보였고 신초의 생장도 양호한 경향이었다. 정아 및 액아배양으로부터 유도된 신초는 vermiculite를 지지물로 한 NAA 0.1 mg/L 첨가배지에서 30.0%의 발근율을 보였으나 뿌리의 생장은 양호하였다.

  • PDF

마늘(Allium sativum L.) 게놈의 고반복서열의 분이와 특성 조사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Highly Repetitive Sequences in the Genome of Allium sativum L.)

  • 이동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9권1호
    • /
    • pp.49-55
    • /
    • 1996
  • 본 연구는 마늘(Allium sativum L.)의 기초적인 유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단양마늘을 대상으로 염색체 DNA의 반복서열의 양상을 확인하고, 고반복서열이 매우 빠르게 reassociation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이들에 해당되는 부분을 분리하고, 클로닝하였다. 이들 고반복서열 클론의 게놈 내의 copy수는 대체적으로 $10^{5}~10^{7}$이었다. 이 중 일부 클론의 염기서열과 분석한 결과, G/C 함량은 25~40% 정도로 낮았고, 일부서열의 내부에서는 소단위의 염기서열이 반복배열되어 있었다. 단양을 비롯한 문경, 서산, 의성 품종 사이에서 해당 반복서열의 변이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다섯종류의 고반복서열을 탐침으로 이들 품종 마늘에 대한 RE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분석을 한 결과 이들 서열의 유전적변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작약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 발생양상 (Occurrence of Meloidogyne hapla in Peony Fields)

  • 박소득;김기재;김정혜;유오종;류정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3-125
    • /
    • 1998
  • 작약 재배지 뿌리혹선충 조사는 의성과 영천지역에서 실시하였다. 조사된 131개의 포장중에서 102개 포장에서 뿌리혹선충이 검출되었다. 감염된 포장의 57.8%에서 토양 300ml당 31마리 이상의 높은 밀도를 보였고, 밭에서는 논보다 기생밀도가 높았다. 사양토에서 식양토보다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었다. 토양의 물리화학적특성은 뿌리혹선충의 밀도에 영향을 주었는데 높은 기생을 보인 포장에서 OM, ${K}^{+}$, pH함량이 낮았다. 또한 높은 유충의 밀도를 보인 포장에서는 선충밀도가 낮거나 감염되지 않았던 포장보다도 석회요구량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