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 268 paper fir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UL 268 화원에 의한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성 (Optical Properties for Smoke Particles of Fire Sources According to UL 268)

  • 지승욱;이종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9-13
    • /
    • 2014
  • 본 논문은 화재감지는 물론 화원까지 구별할 수 있는 광전식 연기감지기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현재 광전식 연기감지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원과 센서를 사용하여 광학챔버를 제작하였으며, UL 268에서 연기감지기를 시험할 때 사용되는 세 가지 화원(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을 대상으로 각 화원별 광학적 특징을 구하였다. 그 결과 종이화원과 목재화원은 산란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인화성 액체화원은 소광의 원인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daptability of the CO Sensor as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 to the Test Fire Source of UL 268)

  • 이춘하;성완기;이종화;김형권;지승욱;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54-63
    • /
    • 2014
  • 본 논문은 CO센서의 화재에 대한 감지특성을 분석 후 화재감지기로서의 적용성 판단을 하기 위한 논문이다. CO센서의 화재감지기로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해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시험실과 유사한 규모의 화재실험장을 설계 제작하고, UL 268에서 제시된 화재시험기준에 준한 실화재실험을 실시하여 화원 종류에 따른 CO센서와 광전식연기감지기의 다양한 화원의 화재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와 연기에 대한 감지특성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종이화원 및 목재화원과 같이 불완전연소로 진행되는 초기화재에서 CO센서가 광전식연기감지기보다 약 2~3배 빠른 감지특성이 나타났다. 특히, 목재훈소화재에서 CO센서의 감지특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Smoke Detector Depending on Controlled Fire Tests)

  • 사공성호;김시국;이춘하;정종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98-103
    • /
    • 2009
  • 본 논문은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여 주택용 화재감지기로 적합한지를 분석하고자 광전식연기감지기, 아날로그연기감지기, 단독경보형연기감지기를 시험체로 선정하여 UL 268에서 정하는 화재시험방법을 응용하여 화재성상(종이화재와 인화성액체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고자 화재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화재성상에 따라 연기감지기의 응답특성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 최수길;진세영;박상민;남영재;김시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1호
    • /
    • pp.37-46
    • /
    • 2020
  • 본 논문은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 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이다. 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과 UL 268에서 규정하고 있는 종이화재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기감지기 감도시험기를 이용한 작동실험 및 UL 268 종이화재실험에 측정된 각각의 측정값을 교차 대입한 결과 공기질 측정기(IAQ) S1의 경우 PM 10(평균값제외), HCH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 IAQ S2의 경우 PM 1.0, PM 2.5, PM 10, 연소가스분석기(CGA)의 경우 CO(평균값 및 최대값 제외)가 모든 실험 조건에서 연기발생에 따른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경향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본 실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자들 중 적응성이 가장 우수한 PM 10 및 CO는 화재감지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성과 신경망을 이용한 화원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ources Analysis Us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Smoke Particles and Neural Networks)

  • 지승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64-70
    • /
    • 2014
  • 신경망은 연기입자의 광학적 특징으로부터 화원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UL268에서 연기감지기 시험에 사용되는 세 가지 화원(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들의 광학적 특징으로 신경망을 훈련시켰다. 또한, 소광과 산란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연기챔버를 제작하여 연기의 광학적 특징을 얻고 그 결과를 신경망에 입력하였다. 종이화원, 목재화원, 인화성 액체화원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신경망은 화원을 정확하게 구별하였다. 또한, 종이-목재화원, 종이-인화성 액체화원, 목재-인화성 액체화원과 같은 복합화원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화원을 모두 구별하였다.

다양한 화원으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감지하는 광전식연기감지기의 필요성에 대한연구 (A Study on the Need for Developing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Detecting Smokes Emitted from Diverse Fire Sources)

  • 이종화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5-73
    • /
    • 2016
  • In this paper which was performed to bring public attention to the need for developing an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that detects smokes emitted from diverse fire sour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may not respond to certain smoke types depending on the size and color of smoke particles. The test was performed on a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which is being used generally for specific fire targets specified in UL268, including paper fire, wood fire and flammable liquid fire, while the actual response performance of the fire detector, as well as respective smoke particles collected from different fire source which were photographed with a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were analyzed in the test for this study.

장애경보 방지를 위한 연소 연기입자와 비연소 연기입자의 광 특성 분석 (Analysis of Optical Properties of Fire Smoke and Non-fire Smoke for Reduction of Nuisance Alarm)

  • 지승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49-55
    • /
    • 2014
  • This paper is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an advanced photoelectric type smoke detector that has high reliability by reducing the occurrence of nuisance alarms. This paper was attempted to distinguish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fire smoke particle and non-fire smoke particle. According to UL 268 standards, three types of test fires (the paper, the wood and the flammable liquid) were used in this paper for measurement of the fire smoke particles, and the water vapor and the cigarette smoke that were known as the main cause of the nuisance alarms were also used for the non-fire smoke particles. A smoke detection chamber was created, which was equipped with one light source and several light sensors for enabling simultaneous detection of light extinction and scattering, respectively. This paper analyze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moke particle using this chamber.

화원에 따른 광전식 연기감지기 반응시간 분석 (Analysis of the Response Time of a Photoelectric Spot-Type Smoke Detector Depending on the Type of Fires)

  • 지승욱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89-94
    • /
    • 2013
  • The fire testing performed for smoke detector model approval in Korea tests only one kind of fire smoke. A photoelectric spot-type smoke detector using Mie scattering is affect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beam and the particle diameter. According to UL (Underwriters Laboratories Inc.) 268 standard, this paper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response for a photoelectric spot-type smoke detector on sale in Korea using various fire smokes. Probability that the response time is included in non-defective range is 100% in paper fire, 90% in wood fire and 75% in flammable liquid fire, 90% in wood fire and 75% in flammable liquid fire. According to the estimation for population mean of the response time choosing a confidence level of 99%, a maximum of 19% for wood fire and that of 38% for flammable liquid fire are defective.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smoke particle, this paper is found that these results are caused by the smoke particles are wide variations in size or have very bl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