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I디자인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24초

웹 기반 주의력 검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회귀억제 과제와 그래픽 UI를 중심으로 (User Centered Interface Design of Web-based Attention Testing Tools: Inhibition of Return(IOR) and Graphic UI)

  • 곽지은;곽호완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331-367
    • /
    • 2008
  •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의 타당도를 저해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해결책의 일환으로 검사 툴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개선하고자 세 단계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은 곽호완의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 중 주의력 검사 툴의 UI 디자인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에 의한 발견적 시찰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 검사 툴의 지시 화면, 조사 양식, 과제 화면, 결과 화면 등의 디자인에서 세부적인 사용성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연구 2는 찾아낸 사용성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기반 주의력 검사에 특화된 11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의 작업 흐름에 맞추어 화면 구성과 사이트 구조 등을 최적화하고 재미 요소를 가미하여 검사 툴을 새롭게 디자인 한 다음, JAVA를 이용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구현한 개선 툴(그래픽 툴)이 기존 툴(텍스트 툴)에 비해 더 효과적임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 3에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행 측정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수 유형과 출현비율 및 UI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행 측정 결과, 그래픽 툴이 텍스트 툴에 비해 UI 디자인 문제들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자 실수 유형과 출현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사후 설문 조사 분석 결과, 텍스트 툴에 비해 그래픽 툴은 전반적인 만족도, 화면, 용어와 시스템 정보, 학습 용이성, 시스템 성능 등의 만족도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사용자 요구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용 UI 저작도구의 제작 (A UI Authoring Tool User Needs Analysis through Mobile Game for Smart Devices)

  • 이준석;이대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18
    • /
    • 2013
  • 스마트폰은 하나의 화면에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게임을 디자인 하는 경우 기존 모바일게임 UI배치를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레이아웃 연구를 기본으로 게임의 레이아웃들을 분류한 후 이것을 정보영역과 정보표시영역으로, 조작과 비조작 영역으로 분류해 성격적으로 4종류로 구분했다. 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게임 제작을 위한 저작도구를 만들었고 개발자 10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인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했다. 그리고 실시 결과를 기반으로 저작도구를 수정해 게임 개발에 적용했으며 개발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XR 콘텐츠 UI/UX 평가를 위한 VR 스마트 팩토리 교육훈련 콘텐츠 제작 (VR Smart Factory Training Content Production for XR Content UI/UX Evaluation)

  • 이영우;임익수;이수민;김현식;강민구;이창교;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1
    • /
    • 2021
  • 이 논문에서는 제조 분야에 디지털 트윈 기반 XR 콘텐츠의 UX/UI 디자인 및 사용성 평가를 위하여 범용적인 콘텐츠 소프트웨어와 달리, HDM의 의존성이 큰 XR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공정수행작업 시나리오에 맞춘 XR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XR 콘텐츠의 공정수행 작업 시나리오를 수행하기 위해 Qculus Quest2라는 HMD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콘텐츠 제작은 Unity 엔진과 SteamVR Plugin을 통해 제작되었다.

  • PDF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Interaction Design Study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 장효진;장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5-87
    • /
    • 2021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구성의 특성과 VR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류, 인터랙션 유형, 인터랙션 방식, 인터랙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정리하여 인터페이스의 관계 분석 틀을 제시하였으며, VR안전교육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절차 지식의 습득, 사고 상황 체험 학습 그리고 내용의 확인 및 평가의 세 가지 구성단계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습자 체험단계에서 교육 핵심 체험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위 충실도를 높이고 일반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간략하게 축소하여 체험의 질을 조절하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학습자가 생소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 절차에 대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 주요 상호작용 대상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간UI나 화살표나 상징을 활용한 기표, 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게시글 및 다감각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험 자유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필수 행위를 강조하고 인지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사실적 방식 인터랙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험의 확인과 평가 단계에서 사고 상황 후 신체손상 등의 부정적 경험을 은유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메타UI를 활용하고 3인칭 시점이나 반복재생의 방식으로 학습자의 체험을 객관적 시각으로 환기하는 것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인터랙션 차원에 따른 요소들의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대학 이미지 제고를 위한 Image Mark 개발 -동명대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mage Mark for reconsideration of College Image)

  • 신인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27-235
    • /
    • 2001
  • 현재 우리나라 대학 교육환경은 내외의 많은 변화와 위기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될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고 대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UI(University Identity)나 CI(College Identity)를 도입하여 현재의 이미지를 수정하거나 재창조하는 노력이 대학 경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UI나 CI는 교육기관이라고 하는 대학의 특성상 경직되고 강한 느낌을 갖고 있으며 그 층용에 있어서도 융통성의 결여로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결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운용의 경직성과 이미지 전달의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성, 친근감, 세련된 감각을 전달할 수 있는 Image Mark를 개발하여 대학이 목표하는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부드럽고 친근하게 교육수요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대학의 경쟁력 강화에 그 역할을 충실히 하고자 한다. 더불어 대학 이미지를 부드럽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적극적 홍보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캐릭터도 함께 개발하였다.

  • PDF

악학규범의 처용무복식 고증 제작 (Historical Reconstruction on the Costumes for the Cheo-yong Dance in Ak-Hak-Gue-Peom)

  • 이태옥;윤현진;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3
    • /
    • 2005
  • This study is for the construction of Cheo-Yongdance Costumeby historical research based on Ak-Hak-Gue-Peom(樂學軌範). Through the production of Cheo-Yongdance Costume by historical research, it is examin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hat be a help of the right succession of a traditional costume. Cheo-Yongdance Costumeis draught to real size by comparing the size and picture suggested in Ak-Hak-Gue-Peom. In the specialty of Cheoyong(處容) dance Costume in the drawing, the length of clothes was 152cm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excavated Danlyeong(團領) of Chosun Dynasty period. Width was 81.9cm that is very big and the width of Danlyeong is 11.7cm. The sleeve length of Hansam(汗衫) is 20O.60cm and it is one that attached Hansam to Jeogori(저고리). The material used for Cheoyong dance Costume is Dan(緞), Cho, Joo(紬), Red gold patterned brocade(紅金線). At the same part, and as the goal was differently used at the same clothing. As the methods of dyeing, the process of dyeing naturally is suggested. A gardenia seeds, indigo plant, and ink stick are used for the color of blue, red, yellow and black. The producing process is made in concrete by suggesting the process of producing clothing. Danlyeong is required the technique of smoothing out wrinklesin case of attaching. Goon(裙) was made by making plaits below and attaching string for making form in the literature. Ui(衣), Chon-ui(天衣) and Goon(裙)'s Bang-sul(方膝) are drawn a Man-hwa Mun(蔓花紋) on Ak-Hak-Gue-Peom by using the golden dyeing material. As the result of producing the clothe by using the recorded size in Ak-Hak-Gue-Peom, it could be examine a pertinent dance clothing for expressing the dance performance with big motions.

  • PDF

3D GUI 모바일폰의 사용자 경험과 브랜드 인지도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of Brand Awareness and User Experience in 3D GUI Mobile Phone)

  • 김승인;신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47-159
    • /
    • 2010
  • 국내에 출시된 터치스크린 폰에서 기존 평면 UI와 달리 큐브형태의 3차원 입체그래픽을 제공하는 3D UI가 적용됐다. 본 연구는 두 개의 다른 기업의 브랜드가 3D GUI에 대한 사용자 개개인의 개별적이고 차별화 된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별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가 사용자 경험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만들고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현재까지 발표된 3D GUI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드 공개와 비공개로 사용자 경험 만족도를 측정하였고, 만족도의 차이가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브랜드 공개시 응답자는 자신의 기능선택에 대해 논리적인 이성은 뒤로하고 브랜드에 집중하는 반응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 기업체들이 경쟁적으로 출시한 3D GUI를 사용함에 있어 브랜드가 사용자 경험의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디자이너들은 제품이나 서비스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브랜드가 디자인의 핵심부분으로써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Z세대의 모바일 음악재생에 대한 유희적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amusement Experience of Mobile Music Play in the MZ Generation)

  • 이지수;최종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77-183
    • /
    • 2021
  • 새로운 소비 주체로 떠오르는 MZ세대는 기성세대의 가치 중심적인 성향과 달리 소비를 일종의 놀이로 인식해 개인의 행복과 만족감을 중요시하며 타 세대에 비해 유희적 특성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세대이다. 이에 본 연구는 MZ세대의 보편적인 유희 활동 중 하나인 음악 스트리밍 앱의 핵심 기능인 재생화면의 유희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인터랙션 요소에 대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파악했다. 선행 연구를 통해 MZ세대의 유희적 특성뿐만 아니라 인간의 유희적 특징과 유희와 예술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유희적 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인터랙션과 게이미피케이션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기존 음악 앱의 재생화면 사례 분석을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맥락적 조사 방법을 통해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사용자 행동 패턴 분석을 바탕으로 재생화면에 유희적 요소를 적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인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희적 인터랙션을 통한 몰입감 있는 음악 감상 경험제공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했다.

데이터 로딩과 사용자 경험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rrelating Data Loading with User Experience)

  • 윤인식;문일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3
    • /
    • 2024
  •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차량 내에서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했고, 사용자는 웹과 앱을 통해 매일 정보를 얻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의 응답 속도가 느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사용자는 기다리라는 메시지를 받게 된다. 사용자의 대기는 불편한 경험이지만,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 대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그러나 서비스 처리 시간이 예상치를 넘어가면 사용자는 더욱 심한 지루함과 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용자의 대기 지루함을 완화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은 로딩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신의 로딩 기법인 Skeleton 로딩이 사용자 대기 경험에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다른 로딩 기법과 비교하여 UI 측면에서 얼마나 매력적인 디자인 기법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Skeleton 로딩은 사용자 대기 경험을 개선하고, UI 디자인 측면에서도 매력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덤벨 이코노미 현상을 반영한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 개발 -상·하체의 각도별 근력운동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mart Athleisure Fashion for Dumbbell Economy -Focused on the Analysis of Upper and Lower body muscle strength by angle-)

  • 김가연;김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5-176
    • /
    • 2021
  • 최근 홈트레이닝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헬스케어 분야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덤벨이 코노미 현상을 반영한 고부가가치의 패션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상·하체 근력운동을 원하는 운동 초보자를 위한 스마트폰 앱의 UI/UX 개발 및 덤벨 이코노미 현상에 활용 가능한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상·하체의 각도별 근력운동 자세 고찰을 통해 운동 초보자를 위한 운동방법, 호흡법, 운동범위에 대한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력운동 전문가를 대상으로 사용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필요성 검증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카운팅, 운동 자세, 운동 캘린더 기능의 3가지 콘텐츠로 구성된 스마트폰 앱 UI/UX 개발과 사용자 중심의 기술적·디자인적 측면에서 필요한 콘셉트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탈·부착 커스터마이징 형태의 스마트 애슬레저 패션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