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City Planning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건설사업과 u-City 사업 프로세스 (A study on the Processor of City construction and u-City business)

  • 유재덕;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287-292
    • /
    • 2009
  • u-City 사업은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IT 사업 프로세서가 결합된 구축 프로세서로 도시개발 계획 단계에서 u-City 계획 및 설계 내역이 반영되어야 효율적으로 구축이 가능하며,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u-City 사업 프로세서 간 연계방안을 제시하고 각 단계별 주요업무를 설정하여 제시하였으며, 특히 도시개발 프로세서와 연계한 u-City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단계별 핵심 업무 중 USP(u-City Strategic Planning)수립 방안들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u-City 계획체계 정립방안 (Strategies for the Establishment of u-City Planning System in the Ubiquitous Computing Age)

  • 김정훈;조춘만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29-144
    • /
    • 2008
  • 2008년 2월 $\ulcorner$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lrcorner$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 법에는 유비쿼터스도시 계획, 건설, 관리에 관한 사항들이 정해져 있다. 범국가 차원의 법 추진체계가 마련됨에 따라 향후 도시들이 u-City로 계획되고 건설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가지게 된다. 앞으로 이 법률에 근거하여 국가차원의 u-City 종합계획 등 계획적 수요가 크게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u-City를 실제 구현하고 현실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획적 접근방법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저마다 다른 내용과 범위를 가지고 난립하고 있는 u-City 사업을 보다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관점에서 수립되도록 규정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u-City 구현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체계의 틀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u-City 계획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기존 u-City관련 사례 및 관련 계획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u-City 계획체계의 개념, 특성, 구성요소를 정립하였다.

  • PDF

u-방재 City 기본방향 연구 (Introduction of Principles for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in u-City)

  • 김현주;박영진;이원성;연경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27-130
    • /
    • 2008
  • This study demonstrates a basic concept and designing direction for the realisation of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in u-City(u-BangjaeCity) that is from establishing a planning system in terms of the areas of profess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for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nd designing disaster or safety management system via using ubiquitous technology for the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realise u-City it is necessary to maps out interrelation amongst various services such as traffic,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regarding the tendency of disaster prevention planing in u-City and its analysis could be the fundamental resource in order to develop the standard model of u-BangjaeCity.

  • PDF

신도시계획의 계획지표를 반영한 U-City의 U-방범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U-Service for Security in U-City Newtown Planning)

  • 윤효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D호
    • /
    • pp.645-6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시대를 선도하는 U-City 추진이나 U-City 관련기술의 연구개발도 중요하지만, 오랜 역사적 경험과 지속적 연구로 성숙되어진 공간계획기법들과 연계되는 U-City의 추진이 필요하다는 시점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최근의 신도시계획에서 나타나는 각종 공간계획지표의 변화특성, 특히 안전이나 방범에 대한 계획지표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어서 안전한 도시공간 형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기법과 전통적인 안전도시구상을 위한 방어공간이론, 최근의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각각의 계획적 지표들이 계획단계부터 통합되어지지 않고 추진되어지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 연계하려는 시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였던 범죄예방를 위한 공간계획의 시점에서 보면, 건축적인 접근과 함께 비건축적인 접근이 상호보완적으로 추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인 감시 등 비건축적 접근에 치중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즉, CCTV 등의 활용이 시대적 요구라고 할지라도 물리적 공간계획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방향에서 고려가 되어야 할 것이나 이에 대한 배려는 미약한 실정이었다.

지자체 U-도시계획 수립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Ubiquitous Strategy Planning for Local Governments)

  • 김명동;박광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5-58
    • /
    • 2013
  •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been planning for u-City construction with great efforts. Such efforts are needed in order to reflect the urban characteristics of each city, to promote local economic growth, and to have a sustainable operation model. Thus it is critical at an earlier stage to set a strategic direction based on urban environment analysis, which will lead to a feasible implementation of u-City. This paper derives issues and suggests improvement methods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USPs (u-City Strategy Planning's) of ten local govern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improvement methods will greatly reduce risks involved in u-City construction and contribute to better provided local-specific u-services.

DEVELOPING U-CITY MARKET SCENARIOS THROUGH A SCENARIO PLANNING APPROACH

  • Yong-Ho Kwon;Jae-Jun Kim;Suk-Hee Han;Jin-Sik Kim;Yoon-Sun Le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459-468
    • /
    • 2007
  • The u-City construction project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construction market because it seems economic value-added field for construction firms. However, construction firms don't willingly participate in the u-City construction market because environments of the future business for the u-City are very uncertain. Scenario planning is a very powerful method in managing this uncertain planning situation and is based on scenarios that help each enterprise appropriately adapt itself to its own business environments. Therefore it is based on the main principles of systems thinking and multiple futures. For the purpose of dealing with such uncertainties,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the possible market scenarios of the u-City construction market in S.Korea through a scenario planning approach. From this perspective, we considered various aspects of the u-City construction such as market demands, technology development, policy level and management environment. After considering the relevant issues, we identified the main trends and key uncertainties. Finally, we developed three coherent u-City construction market scenarios. Construction firms can use these scenarios as a basic reference for market analysis and business strategy. Therefore, this paper is able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construction firms in the u-City construction market.

  • PDF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이용한 부산시 U-City 계획의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of U-City Planning in Busan using System Dynamics Model)

  • 김병선;신동빈;김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5-6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도시의 시공간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System Dynamics Model)을 구현하고, SD 모형을 기반으로 부산시 U-City 계획에의 적용가능성을 모색하여 올바른 U-City계획 수립의 정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U-City 이슈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이전연구와의 차별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도시의 시계열적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SD 모형을 설계 및 구현하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U-City 계획측면에서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인 U-City 계획의 정책방향으로 U-City 기술과 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제시 필요성, 구도시와 신도시를 연계 통합할 수 있는 U-City 모델 구축과 사회 및 인구구조의 변화를 반영한 실효성 있는 U-City 서비스 모델 발굴 등을 들 수 있다.

u-City IT인프라 구축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u-City IT Infrastructure)

  • 김정욱;김일중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8권3호
    • /
    • pp.291-296
    • /
    • 2009
  • "The Act on Ubiquitous City Construction and etc." stipulates the regulations on the plann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u-City. As its national-level law system is about to take its effects, future new city developments are expected to have its legal basis to be built to meet u-City requirements. Also, it is anticipated that such needs would require much more planning techniques and strategies. In reaction to those upcoming needs, this study is to search for new I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u-City in reality. It is also to supply with the each step framework to execute the u-City projects in more structuralize and systemize manner. Therefore, with the u-City IT infra construction guide line v1.0,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I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rocess.

u-City의 공간개념과 도시건설의 주체별 역할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and Physical Planning and the Role of Participants for Ubiquitous City)

  • 최봉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438-445
    • /
    • 2009
  • 최근 u-City에 대한 각급 정부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신도시 및 도시재개발에 있어서 u-City를 표방하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u-City의 공간개념이나 공간계획에 대한 고민이 미흡한 가운데 단순히 첨단기술의 집합체로써 u-City에 대한 계획 및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u-City를 단순히 첨단기술의 집합체로써만이 아닌 시민의 생활을 담아내는 공간이며 기초적 도시의 환경으로써 정의하고, u-City에 대한 관점과 최근 동향을 검토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바람직한 u-City 건설을 위한 공간계획적 접근 방안으로써 계획단계, 건설단계, 관리운영단계를 제시하고, 끝으로 각 단계 및 공간위계에서 필요로 되는 구성주체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ster Plan for Development of u-City Export Model)

  • 김윤형;박광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u-City 해외 선점을 위한 일환으로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해 u-City 수출 관련 정부의 정책 방향 및 u-City 해외 진출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성공적인 u-City의 해외 진출을 위한 구상 계획, 구축 계획, 운영 계획, 평가 계획 단계를 가지는 마스터플랜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였다. 또한, 현재 국토부에서 진행 중인 u-City 수출 모델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해외 맞춤형 u-City 마스터플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u-City 해외 선점을 위한 정부의 정책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u-City를 기반으로 해외에 진출하고자 하는 민간기업들의 U-City 수출 모델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