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27초

사인의 열수 추출물이 B16F10 흑색종세포의 멜라닌형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ion of Aqueous Extract from Amomum xanthioides on ${\alpha}$-melnocyte Stimulating Hormone 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Cell)

  • 이수진;예정숙;최영현;이용태;정경태;정성윤;최병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0-53
    • /
    • 2007
  • To develope skin-whitening or therapeutic agents against hyperpigmentation, aqueous extract from Amomum xanthioides (AEAX) was evaluated for melanogen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 The treatment with AEAX at the 0.5 and 1.0 mg/ml level significantly inhibits the biosynthesis of melanin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The AEAX-treated cells at the 1.0 mg/ml level were more efficient than commercial arbutin at 0.1 mg/ml. The tyrosinase activity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AEAX-treated cells at the 0.5 and 1.0 mg/ml level. The Western analyses confirmed the significantly decreased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by AEAX treat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EAX may contribute to the inhibition of melanin biosynthesis through regulating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and serve as a new candidate in the design of new skin-whitening or therapeutic agents.

쓴메밀 추출물의 미백 개선 효과 (Whitening Effect of Fagopyrum tataricum Extract)

  • 한나경;박창민;권주찬;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79-186
    • /
    • 2014
  • 본 연구는 쓴메밀 추출물(FTE)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및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단메밀 추출물(FEE)과 그 효능 비교를 하였다. 그 결과로 쓴메밀 추출물은 단메밀 추출물보다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세포내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적용 실험에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공 색소침착을 유발한 후, 쓴메밀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도포하였고, 8주 경과 후 피부 밝기를 측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쓴메밀 추출물은 미백 개선을 위한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짚신나물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 김태혁;김정미;백종미;김태우;김대중;박정해;최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7-18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melanin synthesis. The whitening effects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s were examined by in vitro mushroom tyrosinase assay and B16BL6 melanoma cells. We assessed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melanogenic enzyme proteins including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in B16BL6 cells.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onto free radical generatio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 Our results indicated that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effectively inhibited free radical generation. In DPPH and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rimonia pilosa Ledeb water extract had a potent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y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BL6 melanoma cells. Also, Agrimonia pilosa Ledeb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in B16BL6 melanoma cells. These results show that Agrimonia pilosa Ledeb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on the melanogenesis. The underlying mechanism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whitening activity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We suggest that Agrimonia pilosa Ledeb may be useful as new natural active ingredients for antioxidant and whitening cosmetics.

연자육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준영;임경란;정택규;윤경섭
    • KSBB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137-145
    • /
    • 2013
  • In order to develop new skin whitening agents, we prepared the $CH_2Cl_2$ layer (NGC) and BuOH layer (NGB) of 75% EtOH extract of the Nelumbinis nucifera Gaertner. We measured thei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 vitro and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n B16-F1 melanoma cells. They did not show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shroom tyrosinase but showed melanin synthesis inhibitory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ssay, NGC and NGB suppressed melanin production up to 52% and 46% at a concentration of $100{\mu}g/mL$, respectively.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the inhibitory effects of NGC and NGB on melanogenesis, we measured the expression of melanogenesis-related proteins by western blot assay. As a result, NGC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phosphorylated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CREB) protein, and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NGB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MITF,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RP-1, TRP-2, and p-CREB expression. Moreover, NG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glycosylation of tyrosinase. As a result, NGC and NGB inhibited the activity of ${\alpha}$-glucosidase in vitro and the glycosylation of tyrosinase in B16-F1 melanoma cells.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NGC and NGB could be used as active ingredients for skin whitening.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른 무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dish Bud (Raphanus sativus L.)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and Sprouting Period)

  • 한진희;문혜경;정신교;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49-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순을 추출용매 및 발아시기에 따라 추출하여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 그리고 AC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 1.2의 Z2조건에서 각 추출물들이 81.44~89.71%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고 pH 1.2와 pH 4.0의 조건에서 발아 4일째와 8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보다 높은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추출용매에 따라 소거능의 차이는 보였으나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해 소거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pH 6.0 조건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16.12%의 활성을 보여 발아 12일째 무순의 에탄올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소거능 효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27.05%의 범위를 보였고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의 활성이 52.15%로 무순 추출물의 활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추출물 중에서는 발아 8일째의 아세톤 추출물과 메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아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SOD 유사 활성은 4.57~15.59%로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발아 8일째와 12일째의 무순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으며, 추출용매는 메탄올 추출물이 62.65~84.89% 측정되어 가장 좋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은 발아 4일째의 무순 추출물이 21.26~29.52%로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발아초기에 비해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저해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아시기와 추출용매에 따른 ACE 저해능은 12.48~51.78%의 저해 활성을 보였으며, 발아 8일째의 에탄올 추출물이 51.78%로 각 추출물 중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천연 기능성 식품의 소재 발굴 및 식품 개발에 있어 연구 활용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일반적으로 섭취하여 큰 효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무순을 유효성분만을 추출하여 소재화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현행 건강기능식품법에 따르면 물, 주정, 핵산 등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용매의 종류 및 추출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큰 기대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발광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들깨 부위별 항산화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효과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Promoting Effects of Perilla by the Light Emitting Plasma)

  • 유지혜;최재후;강병주;전미란;이찬옥;김창흠;성은수;허권;유창연;최선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4
    • /
    • 2017
  • Background: The light emitting plasma (LEP)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novel artificial light source for plant growth and functional component enhance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P on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plant parts of perilla. Methods and Results: Previously germianted seeds of perilla were cultivated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fluoresce lamp, LED red, blue, white, green, and LEP) in a culture room for 2 months. Parts of perilla were harvested and extracted in 70% EtOH. The extracts were used to detect total phenolic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educing pow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as indicators of biological activity. Biological activity was highest in seedlings grown under LEP. The total phenolic content was highest in the stems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roots of perilla exposed to LEP. The DPPH and ABTS radical activity in all the parts of perilla exposed to LEP were higher by approximately three-fold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fluoresce lamp). The reducing power values of perilla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eatment with LEP. In addition, all the extract of perilla plants exposed to LEP promoted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P can be an important artificial light source for enhancement of biological activity. Conclusions: LEP could promote whit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발효 동충하초의 유용성분 및 생리 활성 작용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Powder Fermented by Several Microscopic Organisms)

  • 안희영;박규림;윤경훈;이재윤;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5
    • /
    • 2015
  • 본 실험은 동충하초 분말과 8가지 균주로 각각 발효한 동충하초 분말의 혈전용해 활성,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미네랄 함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발효한 결과 CAo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가장 증가하였고, 주요 미네랄인 K, Mg, Ca, Zn 등의 함량 역시 증가하였다. 또 native-PAGE를 이용하여 발효 전과 발효 후 단백질을 비교하였을 때, CAo군에서 새로운 단백질이 관찰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CMp군이 다른 군에 비해 경미하게 높은 활성을 나타냈지만, 모든 군들이 합성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 (BHT)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을 보았을 때 CAo군이 C군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번데기 동충하초의 항혈전을 비교한 결과, CAk군과 CBs군에서 큰 항혈전능을 나타내었다. 두 균주를 1%(v/w), 5%(v/w)로 접종하여 발효 시간과 발효 온도를 조정하면서 각각의 항혈전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CAk군과 CBs군 모두 5%(v/w)로 접종하여 $40^{\circ}C$에서 24시간 발효하였을 때 최대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번데기 동충하초는 발효 균주에 따라 건강 기능성식품의 원료 또는 혈전용해제의 원료로써 가능성을 보이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지구자(枳椇子)에탄올추출물이 B16F10흑색종세포의 멜라닌생성에 대한 효과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 Ethanol Extract on the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

  • 김준호;문대원;최미은;임규상;문연자;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7-342
    • /
    • 2009
  • Acquired pigmentary skin diseases such as abnormal melanogenesis, vitiligo, chloasma and inflammatory pigmentation are related to regulate the melanin production, In this study, an ethanol extract of Hovenia dulcis Thunb.(EHD) makedly inhibited melanin biosynthesis and suppres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TRP-2) in B16F10 cells. On the other hand, EHD did not inhibit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HD may contribute to the inhibition of melanin biosynthesis through regulating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and serve as a new candidate in the design of new skin-whitening or therapeutic agents.

백강잠의 멜라닌 생성 억제와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lanin Synthesis Inhibition and Whitening Effect of Bombysis Corpus)

  • 오한철;임규상;황충연;윤인환;김남권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3
    • /
    • 2007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whitening effect of Bombysis Corpus on melanin synthesis. Methods : The whitening effects of Bombysis Corpus were examined by in vitro melanin production assay. We assessed inhibitory effects of Bombysis Corpus on melanin-release from B16F10, on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on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on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effect of Bombysis Corpus on the expression tyrosinase, TRP-1, PKA, ERK-1 ERK-2, AKT-1, MITF in B16F10. Results : 1. Bombysis Corpus inhibited melanin-release,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2. Bombysis Corpu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vitro and in B16F10. 3.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in B16F10. 4.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PKA in B16F10. 5.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ERK-1, ERK-2, AKT-1 in B16F10. 6. Bombysis Corpus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MITF in B16F10. Conclusion : The study shows that Bombysis Corpus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on the melanogen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