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ical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17초

전형성과 온라인 쇼핑몰 -결정요인과 쇼핑몰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he Typicality of On-line Shopping Malls)

  • 차태훈;채승원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1권
    • /
    • pp.1-19
    • /
    • 2003
  • 전형성(typicality)이란 하나의 제품이 하나의 범주를 대표하는데 적절하다고 인지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형성은 브랜드 선호도, 인지도, 최초상기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비자행동연구에서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기존의 전형성에 관한 연구들은 제품이나 브랜드 혹은 오프라인상의 점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제 인터넷쇼핑몰 산업이 성숙기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대부분의 인터넷이용자들은 인터넷쇼핑몰에대해 익숙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한 연구는 시의적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이 전형성의 결정요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노출빈도와 속성구조 접근법을 중심으로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인터넷쇼핑몰을 순수온라인 인터넷쇼핑몰과 오프라인 기반 인터넷쇼핑몰로 분류하여 이러한 차이가 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나아가서 전형성이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출빈도와 속성태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쇼핑몰의 전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쇼굉몰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속성태도와 전형성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추가적으로 전형성과 선호도, 구매의도와의 관계도 예상대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 PDF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87-9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목적부합속성을 충족하도록 제품이 디자인 된 정도와 외형적 디자인의 물리적 속성 유사정도가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전형성의 목적부합속성에 의한 차원과 물리적 속성의 유사정도에 의한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에서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형성 판단정도는 그 제품의 디자인이 그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부합속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될수록 디자인의 전형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외형적인 디자인 공통속성이 많을수록 그 제품의 디자인이 전형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전형성 결정요인의 각 차원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목적부합속성을 많이 충족시키는 디자인일수록 소비자는 선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외형적인 디자인이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 유사한 정도가 중간정도일 때 가장 선호되며, 아주 비슷하지 않거나 매우 비슷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품별 지향성과 가격수준에 따른 전형성이 심미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n Aesthetic Response of Typicality According to Product Orientation and Price Levels)

  • 이진렬;김진아;홍정표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103-110
    • /
    • 2001
  • 본 연구는 제품지향성과 지각된 가격수준에 따라 심미적 반응에 대한 전형성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연구가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의견의 일치를 보이지 못하는 것과 관련하여 제품지향성과 지각된 가격수준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함으로써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결과적으로 심미적 반응에 대한 전형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디자인지향적 제품의 경우에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역U자형 관계를 나타내고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상대적으로 기능지향적 제품의 경우에는 전형성과 선호도와의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광고유형, 브랜드 전형성, 인지욕구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Cognition on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 Focused on Outdoor Apparel Brands -)

  • 정미연;황선진
    • 복식
    • /
    • 제66권8호
    • /
    • pp.1-1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mparative advertisement brand typicality and need for recognition in outdoor apparel market. This study was created with a mixed factorial design of 2 (Advertisement types: Comparative advertisement vs. General advertisement) X 2(Brand Typicality: High Brand vs. Low Brand) X 2 (Need for Cognition: High vs. L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comparative advertisement had a greater positive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tentions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s. Second, while comparative advertisement wa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advertisement for outdoor apparel brands with low typicality. Third, consumers with higher need for cognition showed a preferre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ntention when met with comparative advertising in contrast to general advertisement. Fourth, when consumers with higher needs for cognition were exposed to advertisement for brands of lower typicality, there was higher positive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 intention with comparative advertisement in comparison to general advertisement. This means the comparative advertisement may be effective for the new garment brand or the garment brands having low typicality to secure the cognition quickly from the consumers having high need for cognition.

제품 형태에 있어서 전형성 효과에 대한 통일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Unity on Typicality Effect In Product Form)

  • 김진아;양종열;홍정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논문집
    • /
    • pp.97-10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derating influences of unity on typicality effect of prototype theory in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t is said in the classical point of view of categorization that the higher level of typicality, the more preference a consumer have on a specific product. According to, however, the prototype theory'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preference and typicality, there i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factors. But the prototype theory is needed to be verified with various design variables such as harmony, proportion, balance etc as well as unity.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moderating effect of unity on typicality effect of new product.

  • PDF

뷰티브랜드 확장상황에서 희석효과 -전형성에 기초한 브랜드 확장 시 모브랜드의 지식이 전이 되었는가?- (The Effect of Dilution on Beauty Brand Extension Situation -Was Parent Brand's Knowledge Transferred to Brand Extension by Typicality?-)

  • 최정선;전중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3-76
    • /
    • 2011
  • The potential for brand dilution occurs when new brands merge with an identical image of a parent brand. Despite the significant attention regarding the effects of dilution on brand extension,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brand dilution in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typicality of extensional type on brand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 for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 In addition,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when customers evaluate the typicality of the extensional type for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s. For the experiment, 4 description type factorial designs were performed. A total of 2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ho had experience of visiting a beauty sal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independent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ypicality and extensional type that reveals differential influences on the attitude or purchase intentions toward extended beauty brands. Second, the knowledge of the parent brand is transferred to extended brands.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knowledge transfer, as customers evaluate the typicality of the extensional type for the potential dilution toward beauty brand extension. This study provid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with some limitations.

과제유형과 범주전형성에 따른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책략 발달 (Recall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s Strategy for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in Children)

  • 윤경희;이경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5-72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al trends in organization strategy for taxonomic and slot-fiber lists and category typicality,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in relation to developmental changes in category knowledge structure, emergent organization capacity and effects in category typicality on children's recall. Moreover, the influences of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on children's recap were figured ou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Children's recall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increased with age. That is, the older children performed better recap and used organization strategy on both list types than the younger children. 2. AU children performed recall and used organization strategy better for the slot-filler than taxonomic list. The 4-year-olds, however, demonstrated better recap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for the slot-filler than taxonomic list. While the 6-year-olds and 8-year-olds showed no such differences. These findings were supported the view that script-based slot-filler categori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young children's memory performance. 3.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recall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for category typical than category atypical list. AU children received higher scores for the typical than atypical items on recap and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4.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 strategy, list types,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s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recap.58% of the variance of children's recap was explained by four variables.

  • PDF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 이재호;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73-81
    • /
    • 2000
  • 이 연구는 지식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위계성과 전형성에 대한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움 목표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범주지식은 전형단어가 비전형단어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지만, 각본지식은 두 조건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하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음 목표단어의 어위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으며, 두 지식 모두 전형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지식은 전형성에 따른 위계구조를 구성하지만 각본지식은 범주지식에 비해서 위계성과 전형성이 약회된 구조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자기해석과 자기감시가 브랜드 가시성에 따라 제품 선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construal and Self-monitoring on Brand Product Prefere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Brand Visibility-)

  • 김하예;김종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39-553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self-construal and self-monitoring on brand product preference by moderating brand visibility. Brand visibility consisted of product typicality and brand salienc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preferred products with high product typicality and low brand salience. Respondents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high self-monitoring also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high product typicality and low brand salience versus respondent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low self-monitoring. Respondents preferred a product when they recognized a brand name, but brand visibility should be exposed natur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brand identity and the appropriacy of brand logo siz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