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Clinical Impact and Reliability of Carbonic Anhydrase XII in the Differentiation of Malignant and Tuberculous Pleural Effusions

  • Liu, Yun-Long;Jing, Li-Ling;Guo, Qi-S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351-354
    • /
    • 2013
  • Objective: To assess the practical utility of pleural fluid carbonic anhydrase XII (CAXII) quantification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effusions. Materials and Methods: Fluid was collected prospectively from fifty patients presenting with lymphocytic pleural effusions for investigation and CAXII was quantified by ELISA. Results: Pleural fluid CAXII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ung cancer patients (n=30) than in tuberculous controls (n=20).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is biomarker were 60%and 75%, respectively. CAXII measurement was not inferior to cytological examination in the diagnosis and exclusion of pleural effusions from lung cancer patitents (sensitivity 60% vs. 57%; specificity 75% vs. 100%; positive predictive value 77%; negative predictive value 54%). In patients with negative cytology, it offered a sensitivity of 54%. Conclusions: Pleural fluid CAXII is elevated in pleural effusions from lung cancer patients. Measurement of CAXII may be used in the future as a valuable adjunct to cytology in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s related to lung cancer, especially when cytological examination is inconclusive.

결핵성 흉막염으로 오인된 악성중피종 (Malignant mesothelioma mistaken for tuberculous pleurisy)

  • 양지영;송민주;박소정;천재경;유정완;최창민;김용희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2권1호
    • /
    • pp.50-54
    • /
    • 2015
  • Malignant mesothelioma is a common, primary tumor that can invade pleura, and is associated with previous exposure to asbestos. However, it poses considerable difficulties regarding its diagnosis and treatment, and thus, accurate history taking with respect to exposure to asbestos, and radiologic and pathologic examinations are essential. In addition, the involvement of a multidisciplinary team is recommended in order to ensure prompt and appropriate management using a framework based on radiotherapy, chemotherapy, surgery, and symptom palliation with end-of-life care. Because lymphocyte-dominant, exudative pleural effusion can occur in malignant mesothelioma, adenosine deaminase values may be elevated, which could be mistaken for tuberculous pleurisy, and lead to an incorrect diagnosis and suboptimal treatment. The authors describe a case of malignant mesothelioma initially misdiagnosed as tuberculous pleurisy. As evidenced by the described case, malignant mesothelioma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patients with lymphocyte-dominant, exudative pleural effusion with a pleural lung lesion.

폐암 및 결핵성 흉막염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Tuberculous Pleurisy)

  • 임병국;오윤정;신승수;이규성;박광주;황성철;이이형;최진혁;임호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71-181
    • /
    • 2001
  • 연구배경 :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주변 조직으로의 침습 및 전이에 필수적이다.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인자 중 하나인 VEGF는 여러 종양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하며 임상적 소견 및 예후 등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최근에는 흉막액 VEGF 측정의 의의와 유용성이 보고되고 있다. VEGF는 염증성 질환에서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결핵에 있어서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폐암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혈청과 흉막액의 VEGF 농도를 측정하여 병인학적 및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폐암 환자에서 치료 반응 및 경과에 따른 VEGF 농도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여 종양 표지자로서의 임상적 의의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방법 : 폐암 환자 85예와 결핵성 흉막염 환자 13예, 정상 대조군 20예에서 혈청과 흉막액을 채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법으로 VEGF 농도를 측정하여 각 군간의 비교 및 임상적 소견과의 비교 분석을 하였다. 결 과 : 폐암 환자($619.9{\pm}722.8pg/ml$)에서 정상 대조군($215.9{\pm}191.1pg/ml$) 에 비해 혈청 VEGF 농도가 높았다. 폐암의 조직세포형에 따라서는 대세포암과 미분화암에서 편평상피암과 선암에 비해 혈청 VEGF 농도가 높았으며, 환자의 다른 임상적 소견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악성 흉막액을 동반한 폐암 환자 ($2,228.1{\pm}2,103.0\;pg/ml$)에서 결핵성 흉막염 환자($897.6{\pm}978.8\;pg/ml$)에 비해 흉막액 VEGF 농도가 높았다. 악성 흉막액에서 VEGF 농도는 흉막액의 적혈구 수(r=0.75), LDH(r=0.70), glucose(r=-0.55) 등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에서 VEGF의 혈청 농도가 증가되어 있으며 특히 악성 흉막액 내의 VEGF는 혈청에 비해 고농도를 보였고 결핵성 흉막액에서보다 높게 나타나 악성 흉막액의 형성에 병인학적인 역할을 시사하였다. 악성 흉막액의 VEGF 농도는 흉막액의 LDH, glucose, 적혈구 수 등과 상관성이 나타나 종양 부하량(tumor burden)의 유의한 지표로 사료된다.

  • PDF

흉막삼출액에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한 결핵균의 검출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Pleural Effusion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김호중;김영환;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09-518
    • /
    • 1993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 삼출은 아직까지도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흉막 삼출의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조직학적 진단 방법을 포함한 기존의 진단 방법으로도 약 70%에서만 확진이 가능하다. 특히 고연령층이나 면역이 억제된 환자등에서 기존의 진단 방법으로 진단되지 않고, 여러가지 시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흉막 삼출의 경우에는 임상적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며, 보다 예민한 진단 방법의 개발을 위해 여러 분야의 노력이 있어 왔다. PCR은 어느 특정한 DNA를 연속적으로 복제할 수 있어 검체내에 극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는 병원체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며,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도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되었다. 이에 저자들은 PCR을 이용한 결핵성 흉막염 진단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양성 및 음성 대조군으로 배양된 결핵균주및 비결핵성 Mycobacterium 균주를 사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흉막 삼출 환자 53명이었다. 이중 결핵성 흉막염이 확진된 환자가 20명, 결핵성 흉막 삼출이 배제된 환자가 20명,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후 호전된 환자가 10명이었고, 항결핵제제 투여후에도 호전되지 않았으며 반복적인 진단 과정에서 결핵이 배제된 환자가 3명이었다. 대상 환자는 흉막 생검및 흉수의 ADA 활성도를 포함한 기존의 진단 방법과 PCR을 시행하였다. PCR의 target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의 특이성을 갖으며 한 개체내에 여러번 반복하여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DNA인, IS6110 gene의 일부인 123 base pair DNA로 하였고, 그 결과를 기존의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1) 배양한 결핵균 및 비결핵성 Mycobacterium을 이용한 PCR의 강수성은 DNA 1 fg까지였고, Mycobacterium tuberculosis와 Mycobacterium bovis에만 특이적이었다. 2) 확진된 흉막액을 이용한 PCR의 감수성은 80.0%(16/20)였고, 특이성은 95.0%(19/20)였다. 3)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후 호전된 환자중 60.0%에서 PCR 양성을 나타내었다. 4) 결핵이 확진되지 않았으나 임상적으로 결핵으로 의심하여 항결핵제제를 투여한 환자중 호전되지 않고 추후 결핵이 배제된 환자 3명 모두에서 PCR 음성을 나타내었다. 5) 흉막액의 ADA 활성도는 확진된 결핵성 흉막염 환자군과 임상적으로 결핵이 의심되어 항결핵제 투여후 호전된 군이 여타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PCR 결과와 좋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PCR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매우 예민하고 특이적이었으며, ADA와의 좋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PCR을 이용한 진단 방법을 추가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항결핵치료 종료후 발생한 농흉 (Empyema Occurred after Completion of Antituberculous Chemotherapy)

  • 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6호
    • /
    • pp.554-558
    • /
    • 1992
  • A 38 years old man had been treated as a pulmonary tuberculosis by the positive result of acid fast stain of bronchial washing from the focal infiltrative lesion at left lower lobe. On radiologic examination after one year treatment, there was an aggravation of lesion at left lower lobe with moderate amount of pleural effusion at the same side. After 11 weeks, follow up chest film disclosed bilateral pleural effusion. The pleural fluid of both side was pus in gross appearance with low pH, high LDH, low glucose and high protein. Pleurodectomy was performed to remove the loculated empyema with the thickened pleura of right thorax. This pleuro-pulmonary lesion can be easily misdiagnosed as a tuberculous lesion if it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s a possible diagnosis.

  • PDF

흉막액 Cholesterol 농도에 대한 진단적 의의 (A Diagnostic Significance of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 김영균;권순석;김관형;한기돈;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62-269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the pleural fluid cholesterol level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and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52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involved in this prospective study. By predefined criteria, 40 of these effusions were classified as exudates (Group I) and 12 as transudates (Group II). Group I was subdivided into tuberculous exudates (Group A) and non-tuberculous exudates (Group B). The followings are parameters used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pleural protein (P-PROT) 3.0 g/dl, pleural protein/serum protein ratio (P/S PORT) 0.5, pleural LDH (P-LDH) 200 IU, pleural LDH/serum LDH ratio (P/S LDH) 0.6, pleural cholesterol (P-CHOL) 50 mg/dl and pleural cholesterol/serum cholesterol ratio (P/S CHOL) 0.4. Mean values of the parameters in each group were compared, and then misclassified rate and the dignostic efficiency for each parameter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P-CHOL ($94.98{\pm}73.86\;mg/dl$) in Group I was higher than that ($36.5{\pm}26.5\;mg/dl$) in Group II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2) Mean P/S CHOL ($0.64{\pm}0.39$) in Group I was also higher than that ($0.27{\pm}0.15$) in Group II (p<0.01),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P/S CHOL between Group A and Group B. 3) Misclassified rat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1.9%. P/S PROT 3.8%. P-CHOL 9.6%, P/S CHOL 11.5%, P/S LDH 11.5%, and P-LDH 17.3%. 4) Diagnostic efficiencies for each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were as follows; P-PROT 98.1%, P/S PROT 96.2%. P-CHOL 90.4%. P/S CHOL 88.5%, P/S LDH 88.5%, and P-LDH 82.7%. In conclusion, we think that the pleural fluid chloesterol level could be used as a supportive parameter in separating the exudates from the transudates, but could not be used as a parameter in differentiating tuberculous exudates from non-tuberculous exudates.

  • PDF

소아 감염성 흉막삼출의 원인 분석 (A clinical study on the etiology of parapneumonic effusion in children)

  • 염정숙;배원태;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56-63
    • /
    • 2006
  • 목 적 : 흉막삼출을 동반한 폐렴에서 빠른 원인병원체의 판단으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후유증 발생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자료를 얻기 위해 최근 경험한 감염성 흉막삼출의 원인병원체, 연도별 발생빈도 변화, 연령별 빈도 및 후유증 발생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2004년까지 17년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폐렴으로 입원한 환아 중 감염성 흉막삼출을 보인 86례를 대상자로 이들의 병록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대상자의 남녀 비율은 1.45 : 1(남 : 여=51 : 35명)로 남아가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5.64세(${\pm}4.43$)이었다. 발생빈도의 변화를 연도별로 분류해 보았을 때 평균 발생률은 감소를 보이지만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r=-0.25, P=0.30). 총 대상자 86례 중 원인체가 밝혀진 경우는 57례(66.3%)로 결핵 7례(8.2%), 비결핵 세균성 14례(16.3%), 미코플라스마 34례(39.5%), 기타 감염성 흉막삼출 2례(2.3%)였다. 나머지 29례(33.7%)는 원인불명 감염성 흉막삼출이었다. 비결핵 세균성 흉막삼출 14례를 병원균 별로 분류하면 황색포도알균이 5례(5.8%)로 가장 많았고, 폐렴사슬알균이 3례(3.5%), 녹농균 3례(3.5%), 기타 포도알균 2례(2.3%), 폐렴막대균 1례(1.2%)로 밝혀졌다. 미코플라스마 폐렴은 혈청검사를 통한 진단이 비교적 용이하고 후유증 동반율이 매우 낮고, 비결핵 세균성 흉막삼출에서 흉막액의 소견은 높은 백혈구수와 함께 중성구 우세를 보이며, 산도와 당이 매우 낮게 측정되고, 단백과 LDH가 매우 높게 나오는 특징을 보였다. 결핵성 흉막삼출 환자 1례에서 흉막비후의 후유증을 남겼는데, 결핵성 흉막삼출은 흉막액에 높은 백혈구수에 림프구와 중성구의 우세가 비슷하고, 단백과 LDH가 높게 나오는 특징을 보였다. 결 론 : 이에 연구자들은 폐렴의 초기에 흉막유출이 동반되었는지를 빨리 파악하고, 환아의 연령도 고려하여 병인을 추정하여, 흉막삼출액의 빠른 분석을 통한 치료적 접근이 사망률과 이환율을 줄일 수 있는 것이라 본다.

결핵성 흉막염으로 오인된 흉막 악성 중피종 3예 (Three Cases of 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isdiagnosed as Tuberculous Pleurisy)

  • 김기욱;김지은;조우성;이지석;박혜경;김윤성;이민기;이호석;김영대;이창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4호
    • /
    • pp.323-330
    • /
    • 2007
  • 저자들은 흉수로 내원하여 결핵성 흉막염 진단 하에 항결핵약제로 치료 시작 후 호전이 없어 시행한 수술적 생검에서 흉막 악성 중피종으로 확진된 3예를 경험하였기에 국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삼출성 늑막염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Exudative Pleural Effusion)

  • 권경순;양창헌;이관호;이영현;정재천;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6권1호
    • /
    • pp.69-80
    • /
    • 1989
  • 1987년 10월 1일부터 1988년 9월 30일까지 늑막삼출로 본원에 입원한 환자 138명을 대상으로 삼출액의 백혈구치와 임파구의 분포, pH, 생화학적 검사, 결핵균 검사, 암세포학적 검사 및 경피적 늑막 조직 생검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삼출성 늑막염은 결핵성이 57.3% 악성이 26.8%로 악성의 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결핵성은 전 연령에 걸쳐 고른 분포를 나타내었고 연령이 높을수록 악성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2. 결핵성 늑막삼출의 경우 늑막액의 결핵균도말 및 배양 양성율은 3.7%로 매우 낮았으며 조직생검에 의한 진단율은 75%로서 늑막천자 및 조직생검에 의한 진단율은 78.7%이었다. 3. 악성 늑막삼출의 경우 세포학적 검사에서 암세포의 발견율은 42.3%이었고 조직학적으로 악성인 경우는 60%로서 세포학적 검사 및 조직검사의 진단융은 71%이었고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악성 늑막삼출은 선암이 가장 많았다. 4. 삼출액의 성상을 비교하면 pH, 백혈구치, 단백양, 당치 등은 유의성이 있으나 두군의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 않으며 임상에서 많이 고려되는 lympho-dominant삼출이 악성에서도 빈발하므로 임상적 감별진단에 큰 도움이 되지 않았다. 5. 조직학적으로 비특이성 염증반응인 경우 추적검사에서 결핵성이 52.2%, 악성이 26%, 원인불명이 21.8%로서 결핵이나 암의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생화학적 검사는 악성과 결핵성의 감별진단에 별 도움을 주지못하며 악성 늑막삼출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진단이 불확실한 경우에는 반복된 세포진검사 및 늑막조직 생검을 병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결핵성 흉막염에서 항결핵제 치료 후의 잔여 흉막비후와 관련된 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fter Chemotherapy in Tuberculous Pleurisy)

  • 이기만;안종준;서광원;박지현;이미숙;황재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5호
    • /
    • pp.607-614
    • /
    • 2001
  •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은 항결핵제 치료 후에도 잔여 흉막의 비후가 많은 예에서 관찰되며 이로 인해 흉막박피술까지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는 치료후의 잔여 흉막비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확실히 밝혀진 것이 없다. 이에 저자는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 임상 및 흉수의 분석을 통하여 잔여 흉막비후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결핵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6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가 없는 군(1군 ; 37)과 잔여 흉막비후가 있었던 군(2군 ; 26 명)으로 나누었으며, 분석 요소는 임상특징, 방사선학적 소견, 흉막생검 소견 및 흉수 검사로 양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임상적 특징 : 호흡곤란, 기침 및 흉통, 발열의 유무 및 증상 시작부터 치료개시까지의 기간, 말초혈액에서의 총 백혈구치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방사선학적 및 흉막조직 검사 소견 : 흉수의 양 및 폐결핵 유무 및 진단 초기에 흉수의 소방화유무는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늑막 생검 조직의 현미경적 검사에서 육아종이 보였던 경우가 1군(30%)에 비해 2군(62%)이 많았다. 항산균 염색 검사에서 결핵균이 별견된 경우가 1군의 8%에 비해 2군이 38%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3. 흉수 검사 소견 : 흉수의 검사상 총 백혈구치 및 백혈구 감별산정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ADA 및 단백질값, 포도당치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락트산탈수소효소치는 1군의 $860{\pm}71$(mg/dL)에 비해 2군이 $1370{\pm}208$(mg/dL)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의 치료 후 잔여 흉막 비후는 흉막 생검조직에서 육아종이 있는 경우, 항산균 염색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된 경우, 흉수 검사상 락트산탈수소효소가 높은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