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ber quality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貯藏溫度와 充塡材料가 마의 貯藏과 品質에 미치는 影響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Keeping Materials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Yam)

  • 김영광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8-63
    • /
    • 1997
  • 최근 한방(韓方)의 생약제(生藥劑) 또는 생식용(生食用)으로서 마의 소비량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어 년중(年中) 출하(出荷)를 위한 안정적인 저장방법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시험은 마의 저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저장온도와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저장 또는 상품성과 관련된 형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고 같다. 1. 충전재(充塡材)에 따른 건전개체율은 상온저장과 저온저장 모두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높았고 상온저장에서는 흙, 저온저장에서는 PE film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한편 중량감소율은 상온과 저온저장 모두 타충진재(他充塡材)에 비하여 PE film과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가장 낮았다. 2. 충전재과(充塡材科)에 따른 저장 후 상품성(商品性)과 관련된 명도(明度)와 수분함량(水分含量)은 저온저장에 비하여 상온저장에서 낮았으며, 충전재(充塡材)는 저온저장에서 PE film을 이용할 경우 명도 및 색도 a값이 높고 색도 b값이 낮은 반면, vermiculite를 이용할 경우 PE film과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3. 충전재료별 저장 후 상품수량은 건전개체율 또는 수분함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인 반면, 부패정도가 $30\sim60%$, 60% 이상인 것, 중량감소율 또는 색도 b값과 부(負)의 상관(相關)으로 분석되었다.

  • PDF

Optimization of membrane fouling process for mustard tuber wastewater treatment in an anoxic-oxic biofilm-membrane bioreactor

  • Chai, Hongxiang;Li, Liang;Wei, Yinghua;Zhou, Jian;Kang, Wei;Shao, Zhiyu;He, Qia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96-202
    • /
    • 2016
  • Membrane bioreactor (MBR) technology has previously been used by water industry to treat high salinity wastewater. In this study, an anoxic-oxic biofilm-membrane bioreactor (AOB-MBR)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treat mustard tuber wastewater of 10% salinity (calculated as NaCl).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OB-MBR on membrane fouling rate ($K_V$),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three key operational parameters, namely time interval for pump (t), aeration intensity ($U_{Gr}$) and transmembrane pressure (TMP). The optimal condition for lowest membrane fouling rate ($K_V$) was obtained: time interval was 4.0 min, aeration intensity was $14.6 m^3/(m^2{\cdot}h)$ and transmembrane pressure was 19.0 kPa. And under this condition, the treatment efficiency with different influent loads, i.e. 1.0, 1.9 and $3.3kgCODm^{-3}d^{-1}$ was researched. When the reactor influent load was less than $1.9kgCODm^{-3}d^{-1}$, the effluent could meet the third discharge standard of "Integrated Wastewater Discharge Standa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del fitt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an predict accurately membrane fouling rate within the specified design space. And it is feasible to apply the AOB-MBR in the pickled mustard tuber factory, achieving satisfying effluent quality.

택사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Alisma Plants)

  • 도정애
    • 생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1-418
    • /
    • 1995
  • In order to clarify the originality of several Alisma Rhizome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their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Morphological observation shows the variability of Alisma shape and quality. The diversities in morphological shapes and qualities of tuber were observed among different origins. Chinese product looked like corm shape, but korean's irregular shape. The microscopic observation of korean Alisma revealed the presence of irregular vascular bundle which was scattered transversely and longitudinaly,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rhizome. This facts suggest that the portion of crude drug in Alisma should be the corm rather than the rhizome. In the physicochemical differences, chinese Alisma contains larger amount of mineral elements such as K, Na and Ca than korean Alisma. On the contrary, protein contents in lyophilized powder of aqueous extracts in korean Alisma rhizom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hinese Alisma rhizome. The leaves and stems contained larger amount of Ca and Na than tuber, and may be used as the osmotic diuretics for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 PDF

裁培地域에 따른 加工用 감자의 品質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Quality of Processing Potato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 양성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38
    • /
    • 1997
  • 국내의 감자 재배지역(栽培地域)에 알맞은 가공용(加工用) 감자품종(品種) 선납(選拉) 및 재배지역(栽培地域)간 품질성(品質性)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재배지역(栽培地域)별로 유망(有望) 가공용(加工用) 품종(品種) 및 계통(系統)들의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역에 따른 평 균 총서(總薯) 수량(收量)을 보면 대관령(大關嶺) (3,051 Kg/10a), 강릉(江陵(2,863 Kg/10a), 보성(寶城) (2,844Kg/10a)의 순이었으며 평균(平均) 규격서(規格薯) 수량(收量)은 대관령9大關嶺) (2,351 Kg/10a), 강릉(江陵) (2, 278 Kg/10a), 보성(寶性) (2,246Kg/10a)의 순으로 높았다. 품종별(品種別) 수량(收量)은 각지역 모두 Gemehip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식용(食用)으로 사용하기에 유망하였다. 비중(比重)은 대관령(大關嶺)지역이 비교적 높았으며 품종간(品種間)에는 대서(大西)와 NS1이 높았고 Gemchlp은 낮았으며, 클루코스 함량(含量)은 NS1, 대서(大西), NS2, 수미(秀美) 및 Gemchip순으로 낮게 나타났고 chip color 역시 NS1, 대서(大西), NS2, Gemchip 수미(秀美)순으로 밝아 글루코스 함량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제품수율(製品收率)은 각 지역 모두 대서(大닌西), NS1, 수미(秀美), NS2, Gemchip 순(順)으로 나타나 비중(比重)의 순서와 일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대서(大西)와 NS1 품종(品種)이 칩 가공(加工)용 유망품종(有望品種)으로 판단되었다.

  • PDF

단마의 번식기관, 재식거리 및 시비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ed Organ, Planting Space, and Fertilizer Level on Growth and Yield of Chinese Yam(Dioscorea opposita Thunb.))

  • 조지형;권태용;민기군;이승필;최부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9-15
    • /
    • 1995
  • 본 실험은 단마의 번식기관별 재식거리 및 시비량이 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져 1992년부터 1993년까지 경북농림진흥원 북부시험장에서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일수는 절편묘 42~56일, 여두묘 37~46일, 영여자묘 50~56일로 나타나 여두묘가 가장 빨랐으며, 시비량이 많을 수록 출아가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2. 지상부 생육은 사용한 종묘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아장이 길었으며, 밀식하면 마디수가 다소 적은 경향을 보였고, 전체적인 지상부의 생육은 절편묘를 종근으로 하여 재식거리 60${\times}$20cm에 N$P_2O_2K_2O$를 56-56-64kg/10a로 시용하는 것이 가장 양호하였다. 3. 지하부의 생육은 괴근장, 괴근폭, 괴근수 및 괴근중 모두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의 순으로 양호하였고, 재식거리에 따른 괴근생장은 밀식할수록 괴근장, 괴근폭, 괴근중이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시비량이 많을 수록 개체당 무게가 증가하였다. 4. 수량은 절편묘를 30${\times}$20cm로 밀식하면 60${\times}$20cm에 비해 평균적으로 19%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여두묘는 45${\times}$15cm에 비해 30${\times}$15cm가 10% 증수되었으며, 영여자묘는 30${\times}$10cm에 비해 10${\times}$10cm가 10%정도 증수되었다. 적품성은 절편묘, 여두묘, 영여자묘 순으로 우수하였으며 시비량에 있어서는 N-$P_2O_2K_2O$=28-28-32kg/10a에 비해 56-56-64kg/10a 처리가 37~47%감수되었다. 따라서 단마 재배시 다식밀식으로 재배하는 것이 수량증수의 효과가 있었으나 적품성을 고려할 때 절편묘는 45${\times}$20cm, 여두묘는 30${\times}$15cm, 영여자묘는 20${\times}$10cm로 재배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된다.

  • PDF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세대간 생육 및 수량 변이 (Growth and Yield Variations among Generations in Field Cultivation of Virus-free Sweet Potato Plants)

  • 이승엽;이나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76-382
    • /
    • 2014
  •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재배에 따른 세대 간 수량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안노베니', '연황미', '맛나미' 등 3품종의 무병묘 세대($TC_0$, $TC_2$, $TC_3$) 삽수를 $75{\times}25cm$로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하였다. 정식 30일째 줄기신장은 대조구인 농가묘보다 무병묘 세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TC_0$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120일째 수확기 생육은 줄기길이, 원줄기 마디수와 곁가지수는 농가묘보다 무병묘 세대에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무병묘 세대의 지상부 생체중이 농가묘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무병묘 세대간 그리고 품종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당괴근수와 평균괴근중은 농가묘보다 $TC_0$$TC_1$ 세대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TC_2$ 세대에서는 농가묘와 차이가 없었다. 무병묘 세대의 주당괴근중은 농가묘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무병묘 세대간에는 $TC_0$에서 가장 높았다. 무병묘 세대의 평균상저수량, 상저비율과 소형 고구마(40-200g) 비율도 농가묘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300g 이상 괴근비율은 $TC_0$ 세대에서 가장 낮았다. $TC_2$ 세대의 상저수량은 $TC_0$ 세대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농가묘와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품종간 상저수량은 '맛나미'에서 가장 높았으며, '안노베니', '연황미' 순이었다. 따라서 무병주의 수량과 품질 유지를 위해서 농가는 3년 주기로 교체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교체주기는 바이러스 재감염 정도에 따라 2-3년 주기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uber quality of Ashwagandha (Withania somnifera Duanal) affected by different growth conditions

  • Kaliyadasa, Ewon;Jayasinghe, Lalith;Peiris, Sriyani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51-161
    • /
    • 2019
  • Ashwagandha (Withania sominifera Duanal) is an important medicinal herb with increased demand after discovering its anti-stress and sex stimulating properties that ar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biologically active alkaloid compound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a proper agro technological package that ensures the optimum growth of Ashwagandha to obtain the finest quality without degrading the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Mixtures of organic and inorganic fertilizers were combined with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ed as four different treatments in this study. The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tubers were recorded up to 12 months starting from two months after sowing (MAS) while the shoot height, root length, number of leaves,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and the root with a shoot ratio of up to 6 MA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wth of Ashwagandha was not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method of planting, type of fertilizer or their combinations during most of the harvests. However, tubers harvested at 6 MAS had the highest recorded dry tuber weight per plant in all four treatments compared to the early harvests where two direct seeded treatments had the best results. Comparison of the phytochemical compounds showed that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had the highest recorded values for alkaloid and withaferine A contents with a lower percentage of fiber compared to the treatments with inorganic fertilizer. In conclusion, direct seeding with organic fertilizer and tubers harvested at 6 MAS are recommended as the best cultivation conditions and harvesting stage to obtain high quality tubers of Ashwagandha, respectively.

Growth, qual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transgenic potato (Solanum tuberosum L.) overexpressing StMyb1R-1 under water deficit

  • Im, Ju-Sung;Cho, Kwang-Soo;Cho, Ji-Hong;Park, Young-Eun;Cheun, Chung-Gi;Kim, Hyun-Jun;Cho, Hyun-Mook;Lee, Jong-Nam;Jin, Yong-Ik;Byun, Myung-Ok;Kim, Dool-Yi;Kim, Myeong-Ju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54-16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growth, quality, and yields of StMyb1R-1 transgenic potato and also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ssessment guidelines of transgenic potato. Three transgenic lines (Myb 1, Myb 2, and Myb 8) were cultivated under conventional irrigation, drought condition, and severe drought condition and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wild type, non-transgenic cv. Superior. Myb 2 showed a different flower color from wild type and Myb 1 had much bigger secondary leaflets than wild type. Myb 1 and Myb 2 showed higher $P_2O_5$ content in both top and root zone and longer shaped tubers than wild type. In yield factors, transgenic lines had more tubers than wild type, however their yield decreases were severe because of the poor enlargement of tuber under water deficit condition. This tendency was noticeable in Myb 1 and Myb 2. In TR ratio, chlorophyll content, dry matter rate, and relative water content,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between transgenic lines and wild type. Meanwhile, in phenotype, growth, quality, and yield factors, substantial equivalent was confirmed between Myb 8 and wild type. Then, Myb 8 showed the highest marketable tuber yield under conventional irrigation, while showed lower level than wild type under water deficit. Judged by this result, the enhancing droughttolerance by StMyb1R-1 gene might actually not mean the enhancement of photosynthesis or starch accumulation in tuber and, furthermore, not the yield improvement. More detailed research will be required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Myb1R-1 and yield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