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nk Control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2초

京釜線 鐵道建設에 따른 韓半島 空間組織의 變化 (Changes in spatial organization of Korea by the construction of Seoul-Pusan railroad)

  • 주경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17
    • /
    • 1994
  • 경부선 철도는 韓半島의 從貫鐵道로 1905년에 일본에 의하여 건설되었다. 일본은 경부선 노선을 당시에 우리 나라에 존재하였던 여러 교통로를 組合하여, 이 철도 하나로 한 반도 전체를 통제할 수 있도록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 노선은 당시 한국의 주요 水運, 道路 交通, 市場地域 등이 횡단되도록 하였다. 또한, 鐵道驛은 기존의 취락에서 1km이상 떨어져 광범위한 부지상에 입지시켰다. 이와 같이 건설된 경부선 철도는 개통후 30년후에 한국의 空間組織을 크게 변화시켰다. 경부선 철도상의 주요 지점이 급성장하고 개통 전의 여러 상 업, 행정, 교통요지들이 쇠퇴하였다. 또한, 경부선 철도중심으로 모든 기능들이 집중되어 地 域經濟의 兩極化 現象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생태적 不均衡이 누적되어 왔다.

  • PDF

고령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운동이 대요근 및 대퇴부 근황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soas Major and Quadriceps Cross Sectional Area in Elderly People after 12 Weeks of Exercise)

  • ;;;;;김준동;노호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2011
  • 본 연구는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트레이닝을 실시한 후, 대요근과 대퇴부 근육의 근 횡단면적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에서 80세까지의 노인 58명(남성 30명, 여성 28명)이었으며, 대조군 19명과 운동군 39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측정항목은 신장, 체중, 체질량, 대요근과 대퇴부의 근 횡단면적을 측정하였다. 근육의 평가는 자기공명영상법(MRI)을 사용하여 실험 전, 후 실시하였다. 운동군은 대요근과 대퇴부 근육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기계를 사용하여 평균 주 2일, 12주 동안 23번의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대요근의 측정부위는 L4와 L5의 중간부위를 분석하고, 대퇴부는 대퇴골과 무릎까지 길이를 나누어 50%부위에서 분석하였다. 트레이닝 후, 운동군의 대요근 근횡단면적은 9.4% 증가하였다(남성 11.5%, 여성 8.4%). 그러나 대퇴부 근 횡단면적은 남녀 모두 운동 후 증가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같은 기간 대조군의 근 횡단면적에서도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요근은 자세 유지와 허리, 골반 및 대퇴부의 연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특히 노인의 이동활동에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된 트레이닝 기계를 사용하여 단기간트레이닝 후, 대요근 근 횡단면적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것은 노인들의 근력 및 이동능력의 향상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과실 품질 및 생산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Fruit Quality and Productivity of 'Kawanakajima Hakuto' Peach according to the Different Irrigation Starting Point)

  • 이슬기;조정건;정재훈;이동용;한점화;장시형;류수현;김희태;강상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5-483
    • /
    • 2023
  • 본 연구는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수체 생육, 생리 반응 및 과실 품질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관수 개시점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의 노지 복숭아 시험포(35°49'30.4"N, 127°01' 33.2"E)에 재식된 7년생 '천중도백도' [Prunus persica (L.) 'Kawanakajima Hakuto']를 사용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 9월까지 관수 개시점을 -20, -40, -60, -80kPa로 설정하였다. 주간부 단면적 증가량과 엽면적은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신초 길이와 두께는 -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8월에 측정한 광합성률은 -60kPa(17.7μmol·m-2·s-1), -40kPa(15.6μmol·m-2·s-1), -20kPa(14.5μmol·m-2·s-1), -80kPa(14.0μmol·m-2·s-1) 순으로 높았다. 5월과 8월에 측정한 SPAD 값은 -60kPa 및 -40kPa 처리구보다 -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낮았다. 수확기는 -20kP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3일 빠르게 도달하였다. 과중은 -60kPa(379.1g), -40kPa(344.0g), -80kPa(321.0g), -20kPa(274.9g) 순으로 높았다. 경도는 -20kPa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60kPa 처리구에서 13.3°Bx로 가장 높았다. 상품과 비율은 -60kPa 처리구에서 50.7%로 가장 높았고, -80kPa 처리구에서 23.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을 -60kPa로 설정하는 것이 생산량 및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태양소장경근(手太陽小腸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natomical study on The Arm Greater Yang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the regional muscle group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inner part of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 Abd. digiti minimi muscle(SI-2, 3, 4), pisometacarpal lig.(SI-4), ext. retinaculum. ext. carpi ulnaris m. tendon.(SI-5, 6), ulnar collateral lig.(SI-5), ext. digiti minimi m. tendon(SI-6), ext. carpi ulnaris(SI-7), triceps brachii(SI-9), teres major(SI-9), deltoid(SI-10), infraspinatus(SI-10, 11), trapezius(Sl-12, 13, 14, 15), supraspinatus(SI-12, 13), lesser rhomboid(SI-14), erector spinae(SI-14, 15), levator scapular(SI-15), sternocleidomastoid(SI-16, 17), splenius capitis(SI-16), semispinalis capitis(SI-16), digasuicus(SI-17), zygomaticus major(Il-18), masseter(SI-18), auriculoris anterior(SI-19) 2) Nerve ; Dorsal branch of ulnar nerve(SI-1, 2, 3, 4, 5, 6), br. of mod. antebrachial cutaneous n.(SI-6, 7), br. of post. antebrachial cutaneous n.(SI-6,7), br. of radial n.(SI-7), ulnar n.(SI-8), br. of axillary n.(SI-9), radial n.(SI-9), subscapular n. br.(SI-9), cutaneous n. br. from C7, 8(SI-10, 14), suprascapular n.(SI-10, 11, 12, 13), intercostal n. br. from T2(SI-11), lat. supraclavicular n. br.(SI-12), intercostal n. br. from C8, T1(SI-12), accessory n. br.(SI-12, 13, 14, 15, 16, 17), intercostal n. br. from T1,2(SI-13), dorsal scapular n.(SI-14, 15), cutaneous n. br. from C6, C7(SI-15), transverse cervical n.(SI-16), lesser occipital n. & great auricular n. from cervical plexus(SI-16), cervical n. from C2,3(SI-16), fascial n. br.(SI-17), great auricular n. br.(SI-17), cervical n. br. from C2(SI-17), vagus n.(SI-17),hypoglossal n.(SI-17), glossopharyngeal n.(SI-17), sympathetic trunk(SI-17), zygomatic br. of fascial n.(SI-18), maxillary n. br.(SI-18), auriculotemporal n.(SI-19), temporal br. of fascial n.(SI-19) 3) Blood vessels ; Dorsal digital vein.(SI-1), dorsal br. of proper palmar digital artery(SI-1), br. of dorsal metacarpal a. & v.(SI-2, 3, 4), dorsal carpal br. of ulnar a.(SI-4, 5), post. interosseous a. br.(SI-6,7), post. ulnar recurrent a.(SI-8), circuirflex scapular a.(SI-9, 11) , post. circumflex humeral a. br.(SI-10), suprascapular a.(SI-10, 11, 12, 13), first intercostal a. br.(SI-12, 14), transverse cervical a. br.(SI-12,13,14,15), second intercostal a. br.(SI-13), dorsal scapular a. br.(SI-13, 14, 15), ext. jugular v.(SI-16, 17), occipital a. br.(SI-16), Ext. jugular v. br.(SI-17), post. auricular a.(SI-17), int. jugular v.(SI-17), int. carotid a.(SI-17), transverse fascial a. & v.(SI-18),maxillary a. br.(SI-18), superficial temporal a. & v.(SI-19).

족태음비경근(足太陰脾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찰(考察) (Anatomy of Spleen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0권4호
    • /
    • pp.65-75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pleen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into outer, middle, and inner part. Lower extremity and trunk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pleen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pleen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ext. hallucis longus tend., flex. hallucis longus tend.(Sp-1), abd. hallucis tend., flex. hallucis brevis tend., flex. hallucis longus tend.(Sp-2, 3), ant. tibial m. tend., abd. hallucis, flex. hallucis longus tend.(Sp-4), flex. retinaculum, ant. tibiotalar lig.(Sp-5), flex. digitorum longus m., tibialis post. m.(Sp-6), soleus m., flex. digitorum longus m., tibialis post. m.(Sp-7, 8), gastrocnemius m., soleus m.(Sp-9), vastus medialis m.(Sp-10), sartorius m., vastus medialis m., add. longus m.(Sp-11), inguinal lig., iliopsoas m.(Sp-12), ext. abdominal oblique m. aponeurosis, int. abd. ob. m., transversus abd. m.(Sp-13, 14, 15, 16), ant. serratus m., intercostalis m.(Sp-17), pectoralis major m., pectoralis minor m., intercostalis m.(Sp-18, 19, 20), ant. serratus m., intercostalis m.(Sp-21) 2) Nerve; deep peroneal n. br.(Sp-1), med. plantar br. of post. tibial n.(Sp-2, 3, 4), saphenous n., deep peroneal n. br.(Sp-5), sural cutan. n., tibial. n.(Sp-6, 7, 8), tibial. n.(Sp-9), saphenous br. of femoral n.(Sp-10, 11), femoral n.(Sp-12), subcostal n. cut. br., iliohypogastric n., genitofemoral. n.(Sp-13), 11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4), 10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5), long thoracic n. br., 8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6), long thoracic n. br., 5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7), long thoracic n. br., 4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8), long thoracic n. br., 3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19), long thoracic n. br., 2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20), long thoracic n. br., 6th. intercostal n. and its cut. br.(Sp-21) 3) Blood vessels; digital a. br. of dorsalis pedis a., post. tibial a. br.(Sp-1), med. plantar br. of post. tibial a.(Sp-2, 3, 4), saphenous vein, Ant. Med. malleolar a.(Sp-5), small saphenous v. br., post. tibial a.(Sp-6, 7), small saphenous v. br., post. tibial a., peroneal a.(Sp-8), post. tibial a.(Sp-9), long saphenose v. br., saphenous br. of femoral a.(Sp-10), deep femoral a. br.(Sp-11), femoral a.(Sp-12), supf. thoracoepigastric v., musculophrenic a.(Sp-16), thoracoepigastric v., lat. thoracic a. and v., 5th epigastric v., deep circumflex iliac a.(Sp-13, 14), supf. epigastric v., subcostal a., lumbar a.(Sp-15), intercostal a. v.(Sp-17), lat. thoracic a. and v., 4th intercostal a. v.(Sp-18), lat. thoracic a. and v., 3th intercostal a. v., axillary v. br.(Sp-19), lat. thoracic a. and v., 2th intercostal a. v., axillary v. br.(Sp-20), thoracoepigastric v., subscapular a. br., 6th intercostal a. v.(Sp-21)

  • PDF

요소 및 제일인산칼륨 엽면시비가 초가을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 특성과 저장양분 축적에 미치는 영향 (Foliar-application Effects of Urea and Potassium Phosphate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s of Persimmon Trees 75%-defoliated in Early Autumn)

  • 최성태;박두상;안광환;김성철;최태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3-57
    • /
    • 2013
  • 초가을 태풍에 의해 잎 손실이 심해지면 감나무의 과실 품질이 나빠지고 이듬해 생장에 필요한 저장양분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가림하우스 내 50 L 용기에서 재배한 2년생 '부유' 감나무를 대상으로 9월 상순에 인위적으로 적엽한 후 엽면시비 효과를 검토하였다. 9월 9일에 나무 전체 잎 수의 75%를 고루 적엽한 후 9월 중순과 10월 중순에 요소 0.5%액을 8회 엽면시비하거나 요소와 제일인산칼륨을 교호로 4회씩 엽비시비 (요소+KP 시비구)하는 처리를 하였다. 적엽한 나무 일부는 시비를 하지 않고 대조구로 두었다. 요소 엽면시비로 11월 6일 잎의 N과 P 농도가 대조구에 비해 약간 증가한 반면, 요소+PK 시비에 의해 P와 K농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엽면시비는 과실 비대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으나 과피의 착색을 감소시키는 경향이었다. 과실 당도는 요소 또는 요소+NK 시비로 대조구보다 각각 1.5, $1.0^{\circ}Brix$가 높아졌다. 엽면시비로 세근의 건물중이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영구기관인 지상부 목질과 뿌리의 건물중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영구기관의 N 농도는 엽면시비구에서 높은 경향인 반면 P와 K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가용성당 또는 전분 농도는 엽면시비 방법에 관계없이 신초, 주간 또는 세근에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엽면시비가 잎 손실 감나무의 과실품질과 저장양분 회복에 부분적으로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Rapid Upper Limb Assessment) 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 among Vehicle Assembly Workers)

  • 김재영;김해준;최재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48-59
    • /
    • 1999
  • 본 연구는 Rapid Upper Limb Assessment(RULA)를 이용하여 자동차 조립작 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작업평가를 하고, 이 결과와 작업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의 자각증상율 및 작업특성 변수들의 연관성을 분석함으로써, RULA결과가 관련 신체부위의 통증이나 불편함으로 보고되는 근골격계 부하의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지, RULA평가체계를 이용하여 작업 위험도가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자동차 제조업 작업자 314명을 대상으로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설문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IOSH의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감시기준(surveillence criteria)에 따라 자각증상을 조사한 결과, 연구대상자 중 목 32.8%, 어깨 26.4%, 팔 10.5%, 손 29.3%, 허리 41.4%였으며, 한가지 이상 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62.4%의 분포를 보였다. 2. 품질관리부에 비해 조립부서 작업자 틀이 전체 증상과 어깨, 허리, 팔 및 손부 위 증상에서 더 높은 유증상률을 보였다(p<0.05). 3. 부서별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 서브/조립반과 의장반의 공정이 높은 위험점수를 보였다. 전체 조립부서에 대한 평가결과 적합한 작업은 3.02%였고, 62.8%가 부적합한 작업으로 작업전환이나 중재조치가 필요한 경우였다. 자각증상과 RULA를 이용한 작업평가 결과를 비교한 결과 RULA점수가 클수록 자각증상율이 높음을 보였다.(p<0.05) 4. RULA평가지표와 자각증상사이의 관련성을 보기 위하여, RULA지표와 기타 작업관련요인들을 독립변수로, 자각증상유무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증상유무를 가장 잘 설명하는 회귀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증상군에 대해서는 반복작업(OR 2.183), 진동공구 사용(OR 2.775)과 총 위험도 점수(OR 2.250); 목 부위 증상군에서는 상완의 자세점수(OR 1.78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634) ; 어깨 증상군은 상지의 근사용(OR 3.076), 상완 및 손부 위의 총점수(OR 1.798); 어깨와 목 부위를 합한 증상군은 상완 및 손부위의 총점 수(OR 1.715)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057); 팔 증상군에서는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10.662) ; 손 부위 증상군에 대해서는 손목의 자세/손목 비틀림 지표 (OR 2.068)와 상지의 근사용 점수(OR 2.215); 허리부위 증상군에서는 하지의 근사용 점수(OR 2.6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작업관련 상지근골격계 자각증상과 RULA 점수사이에는 연관성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RULA가 직업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근골격계 부하에 폭로된 작업자들을 평가하는, 일차적인 작업 위험도 평가도구(Screening tool)로서 쓰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다만 향후 RULA 사용에 있어서 상지(upper limb)와 허리부위(back)의 평가를 구분하고, 기타 다른 작업관련 요인들에 대한 평가체계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