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sodium phosphat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8초

Trisodium Phosphate와 키토산으로 처리한 냉장 한우 쇠고기등심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s of Refrigerated Korean Beef Loins Treated with Trisodium Phosphate and Chitosan)

  • 정진형;김광현;김창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0-17
    • /
    • 2001
  • The effect of trisodium phosphate and chitosan on aerobic plate counts, generation time, pH, shear force, and sensory evaluations in Korean beef loins stored at 4 or 10$^{\circ}C$ was assessed. The beef loins were treated with 5∼7.5% (w/v) trisodium phosphate and 1% (w/v) chitosan at exposure times of 10 min. The generation time of aerobic microorganisms on the beef loins increased with higher trisodium phosphate levels during storage at 4$^{\circ}C$. During storage at 10$^{\circ}C$, treatments of 5% trisodium phosphate and 1% chitosan were the most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growth of aerobic spoilage microorganisms. Shear values of the beef loins treated with trisodium phosphate and chitosan or chitosan alone were lower than those of trisodium phosphate during storage at 4$^{\circ}C$.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beef loins treated with trisodium phosphate and chitosan were in the \"liked less to typical\" category for odor and appearance scores compated to the controls during storage at 4$^{\circ}C$.

  • PDF

Trisodium Phoshate와 Cetylpyridinium chloride의 E. coli O157:H7 및 Listerial monocytogenes 에 대한 살균 작용 (Effect of Trisodium Phoshate and Cetylpyridinium chloride on E. coli O157:H7 and Listerial monocytogenes)

  • 강길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5-369
    • /
    • 1998
  • 가금류 가공등에서 사용이 허가된 Trisodium Phoshate(TSP)와 구강 청결제로 사용되면서 안전한 물질로 알려진 Cetylpyridinium chloride(CPC)를 이용하여 in vitro에서 E. coli O157:H7 및 Listerial monocytogenes에 대하여 살균작용을 조사하였다. E. coli O157:H7 및 Listeria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TSP는 $1{\times}10^{-2}\;M$ 농도에서} $37^{\circ}C$, 30분간 반응으로 각각 30~40%와 40~50%의 살균효과를 보였으며, CPC는 $5{\times}10^{-7}\;M$ 농도에서 $37^{\circ}C$, 30분간 반응으로 각각 90~95%와 95~99%의 살균효과를 보였다. 또한, TSP와 CPC는 온도와 pH에 따라 E.coli O157:H7 및 Listerial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작용이 영향을 받았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두 물질 모두 그 살균 효과 컸으며, TSP는 pH가 높을수록, CPC는 pH가 낮을수록 살균효과가 컸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TSP와 CPC도 E. coli O157:H7 및 Listerial monocytogenes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

새롭게 출현한 Arcobacter butzleri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 처리에 의한 생육저해효과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re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 장정순;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69-1173
    • /
    • 2003
  • 새롭게 출현한 식중독 세균으로 국내 유통 계육 등에 많이 오염이 되어 있는 Arcobacter butzleri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위생제 처리에 따른 생육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 균체에 1%농도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를 5, 10분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의 경우는 5분 이내에 모든 균주가 사멸하였다. 배양할 때의 유기산의 농도별 생육영향은 1%의 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0.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내에 A. butzleri가 사멸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trisodium phosphate의 경우 2% 농도에서는 1 시간이내에 사멸하였다. 유기산 중에는 젖산의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와 ethanol에 대한 사멸효과를 보았으나, 이 처리제는 효과가 나쁘거나 풍미에 영향을 주어 좋은 처리제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즙에 대한 항미생물 작용에서 마늘에만 생육저해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낮은 pH에 의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계육 등의 육가공 및 취급 시에 유기산 및 TSP 등을 이용하여 주요 Arcobacter에 의한 식중독저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초산과 Trisodium Phosphate로 처리한 닭고기의 소매점 판매와 냉장 동안 미생물 및 관능평가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Chicken Wings Treated with Acetic Acid and Trisodium Phosphate during Retail and Refrigerated Storage)

  • 김창렬;김광현;서석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9-195
    • /
    • 2000
  •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f chicken wings treated with acetic acid and trisodium phosphate(TSP) during retail(1${\pm}$2$^{\circ}C$) and refrigerated storage(4$^{\circ}C$). Chicken wings(average weight of 15${\pm}$2g per leg) were treated with 0.5∼2% aerobic plate counts(APC) on the surface of chicken wings for storage of 16 days at 4$^{\circ}C$. During storage of 12 days at retail store(1${\pm}$2$^{\circ}C$), the treating chicken wings with 7.5∼10% TSP solutions for 10 min show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in preventing the growth of aerobic microbes. For odor and appearance scores, chicken wings treated with 0.5∼2% acetic solutions resembled untreated wings for storage of 16 days at 4$^{\circ}C$. However, both odor and appearance scores of chicken wings treated with 2.5∼10% TSP solu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untreated wings for storage of 4 days, and a higher in the storage of beyond 8 to 12 days at retail store.

  • PDF

A Synergy Effect of Trisodium Phosphate and Ethanol on Inactivation of Murine Norovirus 1 on Lettuce and Bell Pepper

  • Kim, Eun-Jin;Lee, Young-Duck;Kim, Kwang-Yup;Park, J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106-2109
    • /
    • 2015
  • The synergy effect of trisodium phosphate (TSP) and ethanol against murine norovirus 1 (MNV-1), as a surrogate for human noroviruses, on fresh produces was evaluated. More than 2% (w/v) of TSP effectively inactivated MNV-1. The single treatment of 1% TSP or 30% ethanol for 30 min was not effective on MNV-1; however, cotreatment showed inactivation of MNV-1 on stainless steel and the produces of lettuce and bell pepper under 15 min. The results suggest that cotreatment of TSP and ethanol at a low concentration and a short time of exposure might be useful for the reduction of norovirus in some produce.

집단급식용 생계육에서 분리된 Salmonella의 항생체 내성과 위생 처리제의 영향 (Sanitizing Agent Effect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Raw Chicken Carcasses in Food Service)

  • 강지현;이영덕;정기창;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82-588
    • /
    • 2001
  • 단체급식용으로 납품되는 생계육에서 Salmonella를 분리하여 생육제어를 위한 생리특성을 분석하였다. 계육의 총균수는 표피의 내부 살부위에서도 표피 균수의 약 10%정도가 검출되었으며 75 개 계육시료로부터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분리한 후 최종적으로 51 주의 Salmonella를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 중 약 70%의 Salmonella는 4종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으로 보여 국내에서의 기 분리균에 비해서 높은 비율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Salmonella에 대한 여러 가지 위생처리제인 유기산의 중 lactic acid와 trisodium phosphate를 agar disk diffusion으로 표준균주인 S. typhimurium ATCC 14028, S. typhimurium ATCC 12023, S. heidelberg and S. enteritidis(isolated from egg)와 비교하였다. Lactic acid는 분리된 Salmonella나 표준균주 모두 비슷한 정도의 내성을 보여 주었고 오히려 분리 Salmonella는 더 내성이 적었다. 그러나 최근에 중요시되는 trisodium phosphate에는 표준균주에 비하여 분리된 wild type에서 내성이 강한 균주가 거의 절반에 가까운 정도로 많음을 알 수가 있었다. 또한 trisodium phosphate에 대한 내성은 처리시간과 처리 후 재생배지에 따라 다르게 보여서 이들은 환경에 따 라 내성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았다. 계육에 오염된 Salmonella는 wild type이므로 실제 위생처리제로 사용할 때는 좀더 철저한 처리가 요망되었다. 그러므로 집단 급식소에 납품되는 계육은 브로일러 사육단계에서의 항생제 관리와 도계과정으로부터 세균오염을 줄여야 하는 노력과 함께 이러한 식중독균의 제어를 위한 위생처리제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 PDF

인산(燐酸) 염(鹽)이 유산균(乳酸菌)의 생장(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hosphat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유태종;김일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0-205
    • /
    • 1979
  • 인산 염(monosodium phosphate, disodium phosphate, trisodium phosphate, ${\alpha}-polygel$ 및 sodium tripolyphosphate)이 Lactobacillus bulgaricus 단독 배양 및 Lactobacillus bulgari쳐s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혼합 배양(혼합비 1:1)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인산 염은 유산균의 생장을 촉진하였으며 특히 단독 배양의 경우 MSP와 STPP가, 혼합 배양의 경우 MSP와 DSP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산도도 유산균의 증식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배양액을 실온에서 저장하는 동안 생균 수의 감소는 인산 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완만하였으며 단독 배양시 특히 DSP와 TSP가 효과적이었고 혼합 배양의 경우 TSP와 ${\alpha}-PG$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혼합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된 발효유의 저장 중 안정성은 인산염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좋았으며 특히 MSP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초산과 Trisodium phosphate로 처리한 닭고기의 소매점 판매 및 냉장동안 이화학적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Chicken Treated with Acetic Acid and Trisodium Phosphate for Retail and Refrigerated Storage)

  • 김창렬;김광현;이재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9-225
    • /
    • 2000
  • 본 연구는 2.5-10% (w/v) trisodium phosphate (TSP) 및 0.5-2% (v/v)의 초산 용액에서 10분간 닭고기 (평균 500$\pm$30 g 중량) 다리의 표면을 침지한 다음 소매점(2$\pm$1。C) 및 4oC 냉장 동안 pH, thiobarbituric acid (TBA)가 및 육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2.5-10% TSP용액의 처리구는 처리 직후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pH 가를 나타내었으며 5-l0% TSP용액의 처리구는 저장 8일 까지 지속되었다 2.5-10%의 TSP용액의 처리구는 처리직후부터 저장 4일 까지 TBA가의 유의적 증가를 나타내었다. 0.5-2%초산용액의 처리구의 pH가는 처리직후 대조구보다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1.5-2%초산 처리구는 저장 16일 동안 지속되었다. 0.5-2%초산용액 처리구의 TBA가는 저장 4일 까지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5-2%초산용액 처리구는 저장 8일 까지 지속되었다. 0.5-2%초산 용액 처리구의 Hunter color L$^+$ 가는 처리직후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4일과 12일에는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1-2%초산 용액 처리구의 Hunter color a$^+$가는 처리직후부터 저장 16일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0.5-2%초산 용액 처리구의 Hunter color b$^+$ 가는 저장 4일에서 12일 동안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었다.

  • PDF

구강 내 사슬알균 종들에 대한 제3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의 탈부착 효과 (The Anti-Sticking Effect of Mixture of Trisodium Phosphate and Citric Acid on Oral Streptococcus species)

  • 정충현;조형훈;최광주;강승용;양남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9-292
    • /
    • 2008
  • Irisodium phosphate 12 hydrate와 citric acid monohydrate의 혼합액은 유리구슬(${\phi}7mm$)에 부착된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와 Streptococcus mitis (KCTC 3556) 및 Streptococcus salivarius (KCTC 3960)에 대하여 강한 항 부각효과를 보였다. 각 사슬알균 종들은 각각 3개의 유리구슬들이 들어있는 BHI 액체배지에서 18시간 흔들 배양되었다. 배양 후, 3개의 짧은 핀들이 부착된 핀셋을 사용하여 유리구슬들을 꺼낸 다음, 유리구슬에 맺힌 균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로 가볍게 세척하였다. 각 균주당 3개의 유리구슬들을 시약들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고 vortex mixer로 10분씩 와동(渦動)하였다. 칫솔질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각 시험관들에 물에 젖지 않는 기름종이 조각들을 40 mg씩 넣었다. 구강 내 사슬알균 종이 아닌 Streptococcus agalactiae는 5분간 와동(渦動)하였다. 각 시험관에서 취한 샘플들을 10배 계단 희석하여 BBH 한천 배지와 혼합하고 배양한 다음, 집락수를 계수하였다. 사슬알균 종 당실험을 3번 반복하였고, 시약에 의해 탈부착된 균수를 평균하여 생리식염수대조군의 평균으로 나누어 그 배수를 탈부착 효과로 계산하였다. 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구연산-제3인산나트륨-식염수혼합액(이하 CTS, pH 6.0)의 탈부착 효과는 생리식염수 대조군에 비해서 평균 12.5배였으며, 제3인산나트륨-식염수 혼합액(이하 TS, pH 8.4)은 평균 7.5배였고, 구연산-식염수 혼합액(이하 CS, pH 4.6)은 6.0배였다. Streptococcus salivarius에 대해서 CTS는 7.2배, TS는 2.6배, CS는 2.8배였다. Streptococcus mitis에 대해서 CTS는 2.4배였고, TS는 3.4배였으나 CS는 0.3배로 탈부착 효과가 없었다. 구강 내 사슬알균 종이 아닌 Streptococcus agalactiae에 대해서 CTS는 0.7배, TS는 0.6배, CS는 0.6배로 3가지 시약에 대하여 탈부착 효과가 전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충치와 아급성 심내막염의 원인균인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Streptococcus mitis가 CTS 혼합물에 의해서 구강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응용하면 새로운 개념의 치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충치의 예방 및 발치 후 아급성 심내막염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진용 경막제의 합성과 경막시험 (The Synthesis of Hardener for Photography and Hardening Test)

  • 김영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37
    • /
    • 1998
  • The hardening test of gelatin with 2,4-dichloro-6-hydroxy-1,3,5-triazine mono sodium salt was studied at pH 5, 7, 8 and about increasing temperature, respectively. The hardene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cyanuric chloride with sodium hydroxide, disodium hydrogenphosphate-12-water and trisodium phosphate-12-water in the presence of water. The product was identified by elemental analyzer. IR spectrophotometer. Novel hardener can be used in photographic emulsion and showed very good harden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