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ehalas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The Viability Change of Yeast Cell Responding to Trehalose Accumulation and Maintaining Neutral Trehalase Activity under Extracellular pH Acidified by $H_2SO_4$

  • Jin, Ingnyol;Yun, Haesun;Paik, Sanhkyoo;Kim, Ilsup;Sohn, Ho-Yo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제12권2호
    • /
    • pp.47-52
    • /
    • 2002
  •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KNU5377) and S. cerevisiae ATCC24858 (ATCC24858) were exposed to $H_2SO_4$ as a stress, which was added at various concentrations to a YPD media. The growth of KNU5377 was reduced to approximately 60% in the YPD media containing 40 nm sulfuric acid when compared to the non-stressed condition. When their growth was monitored during an overnight culture, two strains, KNU5377 and ATCC24858, could not grow when exposed to over 50 mM of sulfuric acid. After a short exposure to this acid for 1 h, KNU5377 exhibited stronger resistance against $H_2SO_4$ than ATCC24858. The neutral trehalase activity of KNU5377 unchanged despite under various concentrations of $H_2SO_4$. In contrast, It at of ATCC24858 was much low at higher $H_2SO_4$concentrations. Trehalose, a non-reducing disaccharide, was maximally accumulated after a short exposure to 60 nm $H_2SO_4$ for KNU5377, but it was reduced under more severe stressful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NU5377 should modulate the trehalose concentrations under the severe stress condition of high sulfuric acid concentrations. The most highly induced protein in the KNU5377 exposed to sulfuric acid was found to be an approximately 23 kDa protein, which was revealed to be the 605 large subunit ribosomal protein, Ll3 by FASTA search results.

  • PDF

된장에서 분리된 내염성 효모의 동정 및 특성조사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smotolerant Yeast Isolated from Soy Paste)

  • 변명옥;이승범;구본성;송재경;류진창;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3호통권90호
    • /
    • pp.181-186
    • /
    • 1999
  • 염농도가 높은 전통식품인 된장에서 호염성 효모를 분리하였다. 2M NaCl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이 균은 Zygosaccharomyces rouxii로 등정되었으며 생리적 특성, rDNA를 probe로 이용한 RFLP 및 화합성 단핵 동종 효모 균주와 교배 결과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Z. rouxii YDJ 균은 생장속도가 S. cerevisiae 보다 느려 대수기를 완료하는데 $2{\sim}3$일 소요되었다. S. cerevisiae에서는 배지에 염농도가 높아질수록 glycerol보다 trehalose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Z. rouxii는 세포 내에 glucosamine, glycerol, trehalose함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Z. rouxii의 호염성은 glycerol과 같은 polyol이외에도 trehalose과 glucosamine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rehalose 생합성 효소인 trehalose phosphate synthase는 S. cerevisiae보다 Z. rouxii에서 낮았으며 trehalose 분해효소인 trehalase도 S. cerevisiae 보다 Z. rouxii에서 낮았다. 그러나 Z. rouxii는 NaCl 처리시 trehalose가 증가하므로 내염성은 glycerol 이외에 trehalose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잠뇨로부터 질소함유 당물질 분리 및 gly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 (Isolation of N-Containing Sugars from Silkworm Urine and Their Gly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 송주경;정성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4호
    • /
    • pp.364-370
    • /
    • 1998
  • Glycosidase inhibitors from urine of Bombyx mori were isolated and their inhibitory activities on glycosidases were evaluated. Six compounds were isolated by using several ion exchange columns, and their chemic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by the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Compound IV, V and Ⅵ were identified as 1-deoxynojirimycin, fagomine and 1,4-dideoxy-1,4-imino-D-arabinitol, respectively. Among six compounds isolated,1-deoxynojirimycin(IV) was the most potent inhibitor on $\alpha$-glucosidase and $\beta$-galactosidase of rat intestine, and its inhibitory activities for trehalase and almond $\beta$-glucosidase were relatively weak. Compound V and Ⅵl retained a little inhibitory potency toward $\alpha$-glucosidase and $\beta$-galactosidase. Compound II and III, however, have been found to have no effect on all glycosidases tested in this study.

  • PDF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 소장의 미소융모막 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brush border membrane bound enzymes of the small intestine in iwetagonimus yokogatvai infection in mice)

  • 홍성태;유재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1호
    • /
    • pp.9-20
    • /
    • 1991
  • 요꼬가와흡충은 국내에서 가장 감염이 혼한 장흡충으로 은어나 기타 담수어에 의해 매개되며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이 흡충에 감염되면 심한 설사를 하며 이때 소장의 점막이 퇴행성 변화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소장 상 피세포의 미소융모막에 분포하는 몇 가지 소화효소의 활성도가 요꼬가와홉충의 감염과 치료에 의하여 받는 영향 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이 흡충에 감염되면 충체가 빠르게 배출되어 감염 2주 이후에는 투여량의 10% 이내의 충체만이 감염되어 있고, 상부 공장에서 감염 2∼4주에만 퇴행성 변화와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leucine aminopeptidase, disaccharidases (sucrase, maltase, trehalase, lactase)의 환성도가 십이지장과 상부 공장에서 감염 2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하부 공장에서는 증가하였다. 감염 3주 이후에는 감염군에서의 활성도가 정상 대조군의 것과 차이가 없었다. 감염 1주에 치료한 군의 활성도는 치료 후 2주에 감염대조 군의 활성도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하였고, 감염 3주에 치료한 군은 치료를 안한 감염군과 같은 환성도를 보였다. 요꼬가와흡충에 감염된 마우스의 소장에서 초기에 미소융모막 효소의 활성도가 크게 감소하며, 이러한 변화는 형태학적인 병변의 생성 및 회복과 또한 감염된 충체의 수의 시기적 변화와 일치하였다. 요꼬가와흡충 감염 초기에 소장의 소화효소 활성이 감소하는 현상이 미소융모막에서 일어나는 소화 및 홍수를 저해하고 이에 따라서 설사가 초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Trehalose Biosynthetic Modules in the Adjacent Locus of the Salbostatin Gene Cluster

  • Choeng, Yong-Hoon;Yang, Ji-Yeon;Delcroix, Gaetan;Kim, Yoon-Jung;Chang, Yong-Keun;Hong, Soon-Kw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0호
    • /
    • pp.1675-1681
    • /
    • 2007
  • The pseudodisaccharide salbostatin, which consists of valienamine linked to 2-amino-1,5-anhydro-2-deoxyglucitol, is a strong trehalase inhibitor. From our Streptomyces albus ATCC 21838 genomic library, we identified thirty-two ORFs in a 37-kb gene cluster. Twenty-one genes are supposed to be a complete set of modules responsible for the salbostatin biosynthesis. Through sequence analysis of the gene cluster, some of the upstream gene products (SalB, SalC, SalD, SalE, and SalF) revealed functional resemblance with trehalose biosynthetic enzymes. On the basis of this rationale, we isolated the five genes (salB, salC, salD, salE, and salF) from the S. albus ATCC 21838 and cloned them into the expression vector pWHM3. We demonstrated the noticeable expression and accumulation of trehalose, using only the five upstream biosynthetic gene cluster of salbostatin, in the transformed Streptomyces lividans TK24. Finally, 490 mg/l trehalose was produced by fermentation of the transformant with sucrosedepleted R2YE media.

Effect of Trehalose on Stabilization of Cellular Components and Critical Targets Against Heat Shock in Saccharomyces cerevisiae KNU5377

  • PAIK SANG-KYOO;YUN HAE-SUN;IWAHASHI HITOSHI;OBUCHI KAORU;JIN INGNYO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965-970
    • /
    • 2005
  • In our previous study [14], we found that heat-shock exposure did not stimulate the neutral trehalase activity in Sacchromyces cerevisiae KNU5377, but did in ATCC24858. Consequently, the trehalose content in KNU5377 became 2.6 times higher than that in ATCC24858. Because trehalose has been shown to stabiliz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ome macromolecules, the present work was focus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ehalose content of these strains and thermal stabilities of whole cells, throug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to predict critical targets calculated from the hyperthermic cell killing rates.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prominent DSC transition of both strains gave identical $T_m$ (transition temperature) values in exponentially growing cells, and that the $T_m$ values of critical targets was about $3^{\circ}C$ higher in KNU5377 than in ATCC24858. Both heat-shocked KNU5377 and ATCC24858 cells displayed similar shifts in their DSC transition profiles. On the other hand, the $T_m$ value of the critical target of KNU5377 was decreased by $2.1^{\circ}C$, which was still higher than ATCC24858 showing no changes. In view of these results, the intrinsic thermotolerance of KNU5377 did not appear to result from the stability of entire cellular components, but rather possibly from that of particular macromolecules, including critical targets, even though it should be investigated in more details. Although the trehalose levels in heat-shocked cell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s described in our previous study [14], the overall pattern of thermal stabilities and their predicted critical targets in two heat-shocked strains seemed to be identical. These data suggest that the trehalose levels examined before and after heat shock of exponentially growing cells are not closely correlated with the stabilities of whole cells and/or critical targets in both yeast strains.

Trehalose Metabolism: Gate to Stress Signaling and Seed Development in Plant\ulcorner

  • Chung, H-J;Kim, Y-S;Lee, E-J;Kim, J-S;Shin, Y-M;Cho, I-S;Jin, H-O;Cho, J-W;Chung, C-H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15-421
    • /
    • 2000
  • The disaccharide trehalose ($\alpha$-D-glucopyranosyl-$\alpha$-D-glucopyranoside) is found in variety of organ-isms that are able to withstand almost complete desic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function of trehalose in plants, we isolated Arabidopsis trehalase (AtTRE) gene that encodes the enzyme able to hydrolyze trehalose to glucose, and trehalose-6-phosphate synthase isolog, TPS3 gene by RT-PCR. The AtTRE had the substrate specificity to hydrolyze only trehalose, and a broad pH range of enzyme activity. The AtTRE promoter/GUS reporter gene was expressed in cotyledons, mature leaf tissues including guard cells, and developing siliques. The GUS expression driven by AtTPS3 promoter was significant in root tissues, and the level of GUS activit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pBll 21 control seedlings. The knockout of AtTPS3 gene in Arabidopsis resulted in the retarded root development, whereas the overexpression of AtTPS3 increased the root elongation in the presence of sucrose in MS medium. Possible functions of AtTRE and AtTPS3 in plant will be discussed. In addition, ectopic expression of yeast TPS1 driven by the inducible promoters in tobacco and potato conferred the plants on the drought and freezing tolerances.

  • PDF

발효공정에서 트레할로스의 온라인 모니터링을 위한 흐름주입분석 (Flow Injection Analysis for On-line Monitoring of Trehalose in Fermentation Processes)

  • 한경아;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84-9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TreH를 형질전환한 대장균으로부터 생산하고 부분적으로 정제한 후, 에폭시에 고정화하고 트레할로스-FIA 시스템에 이용하였다. 산소 전극을 이용한 트레할로스 검출 방법과 분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트레할로스 검출 방법을 비교하고, 공정에서의 온라인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소 전극을 이용한 분석의 경우 다른 대사 물질로 인한 간섭현상이 상대적으로 적고 검출 가능한 농도가 0.1$\sim$1.0 g/L로 많은 량의 트레할로스를 생산하는 공정을 모니터링할 경우 적합한 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분광학적 방법으로 트레할로스를 검출한 실험의 경우 TreH와 GOD/HRP를 고정하여 실험한 경우와 TreH만 고정하고 GOD와 HRP를 직접 주입하는 방식을 비교했을 때 검출 가능한 농도는 0.01$\sim$0.2 g/L로 낮은 농도의 트레할로스를 모니터링할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ABTS나 GOD, HRP의 주입량 등 경제성과 운전이 편이성 등을 고려할 경우 GOD와 HRP를 직접 주입하는 시스템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형 생물반응기 내 트레할로스의 농도를 온라인 모니터링한 결과는 오프라인 값과 매우 잘 일치함을 보였다. 생물공정에서 트레할로스의 온라인 모니터링이 FIA 기술에 의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살균제 Validamycin A의 시험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Detection of Fungicide Validamycin A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 박지수;도정아;이한솔;박신민;조성민;신혜선;장동은;조명식;정용현;이강봉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29
    • /
    • 2019
  • 발리다마이신 에이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로 이탄당인 균당을 2개의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trehalase)의 작용을 저해하여 균 증식을 억제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벼, 고추, 복숭아, 마늘, 양파, 참다래 등에 세균성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 농약으로 등록되어 있다. 국외의 경우 일본에 잔류허용기준(MRLs)이 감자 포함 43품목에서 0.05-0.06 mg/kg으로 기준이 설정되어 있고, 유럽은 0.01 mg/kg 일률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기준이 설정될 예정이다. 축산물의 경우 잔류물의 정의를 설정하고 있지 않으나 농산물의 경우 잔류물의 정의는 일본에서 모화합물로 설정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도 모화합물로 규정할 예정이다. 따라서 발리다마이신 에이의 잔류허용기준 신설에 따른 안전관리를 위하여 공정시험법을 개발하였다. 분석기기는 발리다마이신 에이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LC-MS/MS를 분석기기로 선정하였고 메탄올/물(50/50, v/v)을 이용하여 진탕 추출 후 HLB 카트리지를 이용한 정제 조건을 확립하여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발리다마이신 에이의 직선성은 결정계수($r^2$)가 0.99이상으로 우수하였으며,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0.005, 0.01 mg/kg으로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대표 농산물 5종(현미, 감자, 대두, 감귤, 고추)에 대하여 정량한계, 정량한계 10배, 정량한계 50배 수준으로 회수율 실험한 결과 평균 회수율(5반복)은 72.5-118.3%이었으며 분석오차는 10.3% 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증 결과 각 농도별 발리다마이신 에이의 평균 회수율은 70.9~117.7%이었고, 상대표준편차(RSD)는 7.9% 이하로 조사되었다. 두 실험실간 회수율 결과에 따른 평균값은 75.9~112.7%이며 RSD는 18%미만으로 본 연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 가이드라인(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 40)의 잔류농약 분석기준 및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식품등 시험법 마련 표준절차에 관한 가이드라인(2016)'에 적합한 수준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 중 발리다마이신 에이의 잔류검사를 위한 공정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유사 농산물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리라 판단되어 향후 국내 농산물 중 농약의 잔류허용기준 신설 및 잔류농약 검사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간흡충에 감염된 토끼 및 흰쥐 담관상피의 분비기능 (Secretions of the biliary mucosa in experimental clonorchiasis)

  • 이순형;이종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1호
    • /
    • pp.13-20
    • /
    • 1993
  • 간흡충에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변화로는 담관 직경이 확장되고 담관벽이 비후되며, 담관 상피층에 선종성 증식과 배세포 화생이 관찰되었다. 치료 후에는 이러한 변화 중에서 화생이 소실되나 선종성 증식은 상당히 완화되어 잔존하고 담관벽의 비후는 지속된다. 이러한 형태학적인 변화는 선종성인 특징이 있어 어떠한 분비기능이 예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소장의 분비물이 담관 점막층에서 분비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간흡충 피낭유충을 300개씩 8마리의 토끼에 감염시킨 후, 14주에 프라지관텔로 치료하여 구층 후 6개월 및 1년에 간을 적출하고, 파라핀 포매하여 절편을 만들어 분비물에 대하여 면역조직화학법을 시행하였다. Gastrln과 secretin은 정상토기의 간내 담관 및 감염된 담관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Serotonin은 비감염 간 내 담관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감염 대조군의 담관상퍼층에서 몇 개의 양성 세포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치료 후 6개월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휜쥐에 100개씩 간흡충 피낭유충을 감염시키고 증식된 상피 층에서 소장 미소응모막 효소의 활성을 관찰한 바, alkalinephosphatase의 활성이 감염군에서 대조군과 같은 정도로 관찰되 었으나 sucrose, trehalase, lactate, leucine annnopeptidase의 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하여 간흡충 감염시에 증식된 담관상피에 소수의 serotonin 분비세포가 있음을 관찰하였고 다른 소장의 분비기능은 생기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 serotonin을 포함한 세포는 비만세포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