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lanting of seedling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9초

남부지방에서 벼 재배형태별 분얼체계 및 수량구성형질의 차이에 관한 연구 II. 출수기와 수량구성형질의 변화 (Studies on the Differences of the Rice Tillering System and Yield Characteristics under the Different Cultivation Method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II. Variations of Heading and Yield Components under Different Nursing Methods and Transplanting Time)

  • 김용재;신해룡;장강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87-498
    • /
    • 1992
  • 이앙기를 달리 하였을때 어린모와 25일묘, 손이앙묘의 출수반응, 수량 및 쌀의 품위차를 알아보고자 금오벼와 팔공벼, 동진벼를 공시하여 4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 15일 간격으로 7회 이앙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광주지방에서 안전출수한계기(8월 27일)로 본 안전이앙한계기는 조생종인 금오벼는 어린모 : 6월 26일, 25일묘 : 7월 1일, 손이앙묘 : 7월 11일이었으며, 중생종인 팔공벼는 어린모 : 6월 21일, 25일묘 : 6월 30일, 손이앙묘 : 7월 10일이었고, 중만생종인 동진벼는 어린모 : 6월 10일, 25일묘 6월 24일, 손이앙묘 : 7월 5일이었다. 2. 육묘방법별 수량은 이앙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금오벼는 어린모>25일묘>손이앙묘의 순이었으며 팔공벼는 25일묘(equation omitted)어린모(equation omitted)손이앙묘의 순이었고, 동진벼는 손이앙묘(equation omitted)25일묘(equation omitted)어린모의 순으로 증수되었다. 3. 수량생산기(출수전 10일부터 출수후 30일까지)에 있어서 적산온도를 보면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최대수량을 올린 6월 5일~6월 20일 이앙에서 1,003$^{\circ}C$였고, 25일묘에서는 6월 5일~6월 20일 이앙에서 1,014$^{\circ}C$, 손이앙기는 5월 20일~6월 5일 이앙에서 1,027$^{\circ}C$이었으며, 팔공벼에서는 어린모 : 1,018$^{\circ}C$, 25일묘 : 1,015$^{\circ}C$, 손이앙묘 : 1,086$^{\circ}C$ 이었고, 동진벼에서는 어린모 : 998$^{\circ}C$, 25일묘 : 984$^{\circ}C$, 손이앙묘 : 949$^{\circ}C$에서 최대수량을 보였다. 4. 육묘방법에 따른 이앙시기별 쌀의 품위는 금오벼는 어린모에서 조기이앙에 따라 동할미가 많았고 청미가 적었으며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는 청미가 현저하게 많아지면서 동할미도 증가하였다. 팔공벼와 동진벼는 이앙시기간에 차리가 인정되지 않았고 다만 극만식인 7월 5일 이후의 이앙에서만 청미 비율이 높았다.

  • PDF

벼 어린모(유묘) 기계이앙 재배연구 II. 육묘온도, 육묘일수 및 배유양분잔존량이 이앙후 조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Machine Transplanting Cultivation with Infant Seedling in Rice Plant II. Effects of Raising Temperature, Duration and Nutritional Residue in Endosperm on Seedling Growth after Transplanting.)

  • 양원하;윤용대;송문태;이문희;임무상;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4-439
    • /
    • 1989
  • 벼 어린모의 육묘온도별 최소 육묘일수를 구명하고 육묘온도, 육교일수 및 배유제거유무에 따른 이앙후 초기생육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어린모 육묘시 육묘오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를 맷트형성정도를 기준으로 보면 20/12$^{\circ}C$ 서/ 야)에서는 10일, 25/18$^{\circ}C$에서는 8일, 30/2$0^{\circ}C$에서는 6일어었다. 2. 벼 어린모 육묘시 유교온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의 묘생육을 보면 초자은 8~12cm, 엽수(불완전엽 제외)는 1.5~1.7엽, 지상부 건물중은 개체당 6.9~7.5mg, 배유양분잔존율은 32~36%이었다. 3. 벼 어린모 육묘시 육묘온도에 따른 최소 육묘일수의 적산온도는 육묘온도에 따라 다소 다르나 150~17$0^{\circ}C$의 범위이었다.

  • PDF

벼 소식재배를 위한 무복토 육묘 연구 (A Research on None Covering of Top-soil for Rice Seedling Nursery for Sparse Machine Transplanted Rice)

  • 박광호;류훈열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1권2호
    • /
    • pp.77-86
    • /
    • 2019
  • To determine none top soil covering in rice seedling nursery method for the sparse machine transplanting, four different sowing methods were tested. Shoot and root length, fresh weight, leaf number and color using leaf color chart(LCC) and SPAD were collected as the data comparison of methods. The seedling height showed the highest growth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230g seed rate of pre-emerged seeds and top-soil covering) > high sowing density 1 (290g seed rate of pre-emerged seeds and top-soil covering) ≥ high sowing density 2(290g seed rate of pre-emerged seeds and none top-soil covering) > high sowing density 3(290g seed rate of iron-coated seeds and none top-soil covering). There was an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oot length, leaf number, LCC, and SPAD values. Thus, a high sowing density of 290g for rice nursery seedling box was recommended to the sparse machine transplanting in rice cultivation with the none top-soil covering method, enabling convenient handling in transportation and machine transplanting work.

파종기 및 육묘기간에 따른 들깨의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wing Season and Seedling Duration of Perila of Perila(Perila Frutesces BRITTON var, Japonica HARA))

  • 정찬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2
    • /
    • 2008
  • 들깨품종은 지방종인 충주 종을 공시하여 육묘이식에 의한 맥 후작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맥 후작 육묘 이식 시험에 있어서는 파종기와 육묘일수에 관계없이 9월 1일부터 9월 3일 내에 모두 개화하는 단일성 작물임을 알 수 있었고, 10a당 종실수량은 5월 15일 파종에 6월 24일(40일 육묘) 이식함이 최고에 달하였다.

이식시기가 잔디 생장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Transplanting Methods of Raising Turf seedling from Seedling Tray; III. Effects of Turf Growth to Transplanting Times)

  • 이명선;임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4-197
    • /
    • 2005
  • 본 시험은 한국잔디의 실생묘 이식 재배에 따른 적정 이식 시기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식시기가 지연됨에 따라 잔디의 생육저하를 초래하였고, 생육특성을 고려할 때, 이식 시기는 7월 초순이전에 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일 조건이 지속되는 7월4일 이후부터 정식 묘의 포복 분지경수를 비롯한 마디수, 포복경의 총길이 등에서 급격한 생장 감소 현상을 나타냈다. 특히 제2직립경부터는 포복 분지 경수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백하수오의 파종방법과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근수량 (Effects of Sowing Method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Root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emsly)

  • 김민자;김인재;남상열;이철희;송범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8-421
    • /
    • 2002
  • 백하수오 근수량 증대를 위한 밀식 재배법을 확립하고자 직파와 육묘 이식으로 구분하여 파종하고 재식밀도를 달리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만장과 분지수는 길거나 많았으나, 엽장과 엽폭은 소식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개체당 엽수는 22주/$m^2$에서 가장 많았다. 2. 지하부 생육은 파종 방법 간에는 육묘 이식재배에서 양호하였고, 재식밀도 간에는 주당 지근수, 근장 및 근태는 소식할수록 많거나 길거나 굵었으나, 단위 면적당 지근수는 밀식할수록 증가하였다. 3. 생근수량은 직파 재배보다 육묘 이식재배에서 많았으며, 재식밀도 간에는 밀식할수록 많아 육묘 이식 17주/$m^2$(1,680 kkg/10a)에 비하여 27주/$m^2$(2,567 kg/10a)에서 53%증수되었다.

유채 봄 재배 기계이식을 위한 품종별 육묘 일수에 따른 묘소질 평가 (Evaluation of Rapeseed Seedling Quality According to Varieties and Seedling Ages for Spring Cultivation Transplanting)

  • 안다희;차영록;김광수;신운철;이지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3호
    • /
    • pp.256-2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채 3 품종별로 봄 재배 기계이식을 위한 최적의 유묘 특성을 구명하고자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간 육묘일수를 달리하여 하배축 길이, 본엽수, 엽장, 엽폭, 묘 전체 길이, 무게, 그리고 내충격도를 조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자동 1조식 범용 채소 이식기를 이용한 이식률 및 이식 7일 후 생존율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3개 품종별로 25, 30, 35, 그리고 40일로 나누어 육묘한 후 유묘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묘의 하배축 길이는 2개년 모두 평균 2 cm 이하로 나타났고 40일 묘에서 짧은 하배축 길이를 보였으나 2020년에는 통계적 유의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엽수를 비롯한 엽장과 엽폭은 2개년 모두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020년 대비 2021년의 생육이 더뎠으며 전품종의 25일 묘에서 본엽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2. 품종별로 위 육묘일수에 따른 묘 전체 길이를 조사했을 때, 2개년에서 40일 묘가 가장 길었고 25일 묘가 가장 짧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묘 무게의 경우, 육묘일수에 따른 현저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며 내충격도는 육묘일수가 짧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3. 위와 같은 특성을 가진 유묘를 범용 이식기로 본 포장에 이식한 결과, 조생종 '중모7001'은 30일, 중만생종 '내한'은 35일, 그리고 만생종 '탐라'는 40일 이상 육묘할 때에 높은 이식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4. 기계이식률과 육묘일수를 비롯한 유묘 특성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육묘일수, 잎의 크기, 그리고 유묘의 내 충격도는 이식률과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묘의 하배축 길이는 이식룰과 유의한 부의 상관으로 나타났다. 5. 이는 유채 봄 재배 기계이식을 위한 3품종별 최적 육묘일수 구명을 통해 재배 작기를 조절함으로써 유채 재배 시 습해 및 동해 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eedling Age on Growth and Yield of Machine Transplanted Rice in Southern Plain Region

  • Kim, Sang-Su;Kim, Bo-Kyeong;Choi, Min-Gyu;Back, Nam-Hyun;Choi, Weon-Young;Lee, Sean-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2-128
    • /
    • 1999
  • Three rice cultivars, Namweonbyeo (early maturing), Hwaseongbyeo (medium maturing) and Dongjinbyeo (medium-late maturing) were trans-planted with 3 different seedling ages to investigate their growth habits and to improve the cultural method in paddy fields in the southern plain area of the Honam region in 1993. The 10-day old seedlings had more vigorous elongation of plant height and higher tillering ability but lower effective tiller rate, when compared with 35-day or 40-day old seedlings. Leaf area index and top dry weight were lower in 10-day old seedlings up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thereafter, were not different among seedlings ages. CGR was later in 10-day old seedlings, up to 30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in 30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it was reversed. RGR was the highest in infant seedlings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while in 50 days after transplanting, it was reversed. Panicle number and spikelet number per square meter were the highest in 40-day old seedlings, next highest in 35-day old seedlings and the lowest and in adult seedlings up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while spikelet number per panicle was vice versa. Milled rice yield did not vary significantly by seedling ages, but among the varieties, it was less in Hwaseongbyeo compared with Naweonbyeo and Dongjnbyeo.

  • PDF

벼 어린모 육묘일수 연장에 따른 모소질, 본답 생육 및 수량성 (Effect of Nursery Period on Seedling Growth and Yield in Transplant Rice with Infant Seedling)

  • 김덕수;김정곤;김제규;한희석;강양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4-188
    • /
    • 2001
  • 벼 어린모 육묘시 적기이앙을 못하여 육묘일수가 연장 될 경우 모소질과 본답초기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화성벼를 공시하여 1997년 작물시험장 포장에서 8일모, 12일모, 16일모, 20일모를 이용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성묘을은 8일모가 93.9%로 가장 높았으며, 12일모는 88.9%, 16일모는 82.0%, 20일모는 80.8%로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성율이 낮아졌다. 2. 이앙당시 초장이 8일모가 7,6cm, 12일모가 13.0cm, 16일모가 15.1cm, 20일모가 16.9cm로 육묘 12일 이후는 육묘일수 지연에 따른 생육 차이가 적었다. 3. 종자내 배유양분 잔존율은 8일모가 52.5%로 가장 많았으며 12일모가 36.2%, 16일모 30.1%, 20일모가 27.4%였다. 4. 결주율은 8일모와 12일모는 5.1-5.2%로 비슷하였으나 16일모와 20일모는 6.7%, 7.8%로 결주 발생이 많았다. 5. 발근량은 8일모가 104.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12일모로 59.5, 16일모는 41.4, 20일초는 27.9였다 6. ha당 쌀수량은 육묘일수가 길어질수록 수량감소가 현저하여, 8일모 대비(6.18톤) 12일모는 5%, 16일모는 11%, 20일 모는 16%가 감소하였다. 7. 현미의 완전미 비율은 8일모와 12일모는 92.1, 91.5%로 비슷하였으며, 16일모와 20일모는 88.8, 85.4%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 PDF

Influence of Initial Seedling Size and Root Pruning Intensity on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 of Quercus acutissma

  • Na, Sung-Joon;Lee, Do-Hyung;Kim, In-Si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09-71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oot pruning intensity in combination with different initial seedling size on the growth of transplanting seedlings of Quercus acutissima. One-year-old seedling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their height, i.e. small (< 15 cm), medium (25-35 cm) and large size (35 cm <). Root of seedlings was pruned by three intensity such as, leaving 5 cm (severe), 10 cm (medium) and 15 cm (light) of taproot from the root-collar. After one year, we investigated survival rate, height and root-collar diameter (RCD)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weight. Also we measured characteristics of newly developed lateral roots such as number, total length, dry weight and diameter. Severe root pruning showed the lowest survival rate in all seedling size. Height increment, RCD incremen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intensity of root pruning. Seedlings of medium and light root pruning showed similar above-ground growth and dry weight of lateral roots. More large seedlings showed good survival rate, height increment and final shoot dry mass in all root pruning intensity. Therefore, one-year-old seedlings of Q. acutissima should be pruned taproot by 10 cm and transplanted to obtain excellent performanc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ransplanting work.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hat applying to different root pruning intensity depending on initial seedling size for producing 2-year-old seedlings with excellent growth and high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