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mission Control

검색결과 4,109건 처리시간 0.035초

흰쥐에서 분리 배양한 간세포의 담세관 형성에 있어서 액틴미세섬유의 역할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ole of Actin Filaments during the Formation of Bile Canaliculi in Isolated Rat Hepatocyte Culture System)

  • 박창현;장병준;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37-450
    • /
    • 1999
  • 간세포의 기능적 연구를 위한 배양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Sprague-Dawley계 흰쥐의 간장에서 collagenase와 hyaluronidase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간세포를 분리하고 배양하여, 배양중인 간세포의 구조적인 변화와 담세관의 형성 과정을 확인하고, cytochalasin D를 배양계에 첨가한 경우 발생되는 간세포 및 담세관의 구조적인 변화를 살펴보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리 배양한 흰쥐의 간세포는 원형이었고, 표면에 미세융모를 가지고 있었으며. 배양중 서로 부착되어 세포띠를 형성하였다. Cytochalasin D처리후 간세포의 표면은 미세융모가 소실되어 편평하게 변화되었으며, 소포성 돌출물이 자주 관찰되었다. 담세관은 부착된 간세포의 사이에서 형성되었으며, 간세포 표면의 작은 융기에서 기시하는 다양한 길이 및 형태의 미세융모로 채워져 있었고, 양단에는 치밀결합 및 부착만 등으로 구성된 연접복합체가 존재하였다. Cytochalasin D 처리후 당세관의 내강은 팽창되었으며 미세융모는 소실되어 거의 존재하지 많았고, 양단에 존재하는 연접복합체는 파괴되어 간격이 벌어진 곳이 많았다. 담세관내에 존재하는 미세융모 속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심은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불완전하게 적은 양만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담세관주변세포질에 존재하는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은 불완전하여 부위에 따라 없는 곳도 있었다. Cytochalasin D처리후 담세관주변세포질의 액면미세섬유얼기는 존재하지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흰쥐의 간장에서 분리한 간세포는 배양중 성장하면서 정상적인 담세관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으며, 담세관의 형성은 접착부위의 연접복합체의 형성 및 미세융모의 형성,담세관 내 액틴미세섬유심 및 담세관주변세포질내 액틴미세섬유얼기의 형성 등을 특정으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김치저장성 향상을 위한 동결방법이 배추조직의 물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ing Methods for Kimchi Storage Stability on Phys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 양진한;박소희;유진현;임호수;황성연;조재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5-110
    • /
    • 2003
  • 김치를 $10^{\circ}C$에서 8일간 숙성시켜 산도 $0.6{\sim}0.7%$로 숙성된 김치를 $-70^{\circ}C$$-20^{\circ}C$로 냉동하여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배추 조직의 elasticity, hardness, 세포 조직의 변화, 드립양을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70^{\circ}C$에서 급속 동결한 것과 $-20^{\circ}C$에서 완만동결한 냉동 김치중 배추조직의 elasticity는 냉동저장 15일까지 감소하다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hardness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냉동 방법에 따른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control의 경우 세포벽이 매우 두꺼우며 세포의 모양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고 $-20^{\circ}C$로 냉동 처리하여 해동시킨 세포벽들은 많이 손상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70^{\circ}C$로 급속 냉동 시료의 경우 세포벽의 손상 정도가 $-2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보다 덜 파괴되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한편 냉동 저장기간 동안 드립의 손실량의 변화는 $-7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드립양은 $3{\sim}4%$정도로 $-20^{\circ}C$로 냉동 처리한 시료의 $5{\sim}6%$에 비해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자층 증착법에 의한 TiO2, Al2O3, 및 TiO2-Al2O3 나노라미네이트 박막이 316L Stainless Steel의 부식특성에 미치는 영향 (Corrosion Properties of Atomic Layer Deposited TiO2, Al2O3 and TiO2-Al2O3 Nanolaminated Film Coated 316L Stainless Steel)

  • 이우재;만지흠;김다영;장경수;최현진;최우창;권세훈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5-41
    • /
    • 2017
  • $TiO_2$, $Al_2O_3$, and $TiO_2-Al_2O_3$ nanolaminated films were grown by atomic layer deposition (ALD) on the 316L stainless steel (SS316L) substrates at a temperature of $150^{\circ}C$. The growth kinetics of $ALD-TiO_2$ and $Al_2O_3$ thin film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in order to precisely control the thickness of each layers in the $TiO_2-Al_2O_3$ nanolaminated films using a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the exact deposition rates of $ALD-TiO_2$ on $Al_2O_3$ surface and $ALD-Al_2O_3$ on $TiO_2$ surface were revealed to be 0.0284 nm/cycle and 0.11 nm/cycle, respectively. At given growth conditions, the microstructures of $TiO_2$, $Al_2O_3$ and $TiO_2-Al_2O_3$ nanolaminated films were amorphous.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test revealed that the $TiO_2-Al_2O_3$ nanolaminated film coated SS316L had a best corrosion resistance, although all ALDcoated SS316L exhibited a clear improvement of the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with a bare SS316L.

콘크리트 온도 측정을 위한 거푸집 일체형 무선센서네트워크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Integrated Wireless Sensor Network Device with Mold for Measurement of Concrete Temperature)

  • 이성복;박성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29-136
    • /
    • 2012
  • 본 연구는 타설 콘크리트의 온도를 무선센서 방식으로 현장에서 직접 간편하게 계측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고, 무선 전송네트워크시스템을 통하여 현장사무실 및 본사 등에서 실시간 효율적 온도이력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결과, 우선 무선센서네트워크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온도센서는 콘크리트 타설시 안정적으로 측정될 수 있도록 무선방식의 막대타입의 스텐레스 프로브형으로 제작하였으며, 거푸집에서의 탈부착이 간편하고 장기간의 내장전력공급이 가능한 거푸집일체형의 무선센서네트워크 장치를 개발하였다. 또한 무선센서네트워크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노드와 라우터, 게이트웨이 및 CDMA 통신방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콘크리트의 동일한 양생조건 및 상이한 양생조건에서 온도를 측정한 결과, 기존의 유선방식과 동일한 온도분포를 보였다. 향후, 개발된 무선센서네트워크 장치를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 현장 사무실에서의 정량적인 콘크리트 온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것으로 판단되며, 감리 감독업무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전반적인 콘크리트 구조체의 품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지(Ganoderma lucidum)의 β-Glucan에 의한 Sarcoma-180 육종암 생장 억제 (In vivo Growth Inhibition of Sarcoma-180 Cells by a β-Glucan from the Mushroom Ganoderma lucidum)

  • 한만덕;김용현;김완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21-727
    • /
    • 2014
  • 버섯 다당류 ${\beta}$-glucan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지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류(GLP)를 분리하고 Sarcoma-180 육종암을 이식시킨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여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육종암이 서혜부에 이식된 마우스에 GLP를 20 mg/kg의 농도로 10일간 복강투여 한 후 30일차에 확인한 결과, Sarcoma-180 육종암은 대조군대비 71.4% 억제되었으며, 마우스의 혈청, 종양조직 및 간조직 내의 TNF-${\alpha}$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GLP는 생체 내 TNF-${\alpha}$의 양적증가를 유도하며, 종양괴사 또는 에폽토시스와 연관된 육종암의 생장억제가 확인되었다. 이때 생장이 억제된 육종암 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상대적으로 큰 핵과 세포의 에폽토시스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지는 염색질 응축이 관찰되었으며, 핵막은 특징적으로 뭉쳐져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영지에서 분리된 GLP는 종양 세포의 에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파일전송의 성능향상을 위한 다중 가상소스 응용계층 멀티캐스트 (Overlay Multicast for File Distribution using Virtual Sources)

  • 이수전;이동만;강경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4호
    • /
    • pp.289-298
    • /
    • 2006
  •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에서 일반적으로 트리를 구성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이 경우 트리 상에서 하위 (descendants) 노드들이 체감하는 처리율 (throughput)은 상위 (ancestor) 노드들의 성능에 의해 좌우된다. 그리고, 상위 노드에서 오류가 하위 노드 전체에 영향을 끼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문서에서는 이러한 트리 구조의 약점들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전송 트리 상의 부모 노드 외의 다수의 가상 소스를 설정하고, 이들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함으로써 단위 시간 수신량을 늘리며 부모 노드의 오류를 피해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 그리고, 다수의 가상 소스를 이용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통일 데이타의 중복 수신 문제를 피할 수 있도록 가상 소스 선택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응용 계층 멀티캐스트 시험 개발 환경인 MACEDON을 이용하여 시험 구현하였고, 이를 전세계적인 오버레이 네트워크 PlanetLab에 적용하여 성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기존의 다수 전달자를 제안하는 기법인 Bullet에 비하여 20% 성능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중복 수신되는 데이타 및 제어에 필요한 메시지 비용을 90%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Cutaneous Microflora from Geographically Isolated Groups of Bradysia agrestis, an Insect Vector of Diverse Plant Pathogens

  • Park, Jong Myong;You, Young-Hyun;Park, Jong-Han;Kim, Hyeong-Hwan;Ghim, Sa-Youl;Back, Chang-Gi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60-171
    • /
    • 2017
  • Larvae of Bradysia agrestis, an insect vector that transports plant pathogens, were sampled from geographically isolated regions in Korea to identify their cutaneous fungal and bacterial flora. Sampled areas were chosen within the distribution range of B. agrestis; each site was more than 91 km apart to ensure geographical segregation. We isolated 76 microbial (fungi and bacteria) strains (site 1, 29; site 2, 29; site 3, 18 strains) that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differences. Species identification was molecularly confirmed by determination of universal fung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bacterial 16S rRNA gene sequences in comparison to sequences in the EzTaxon database and the NCBI GenBank database, and their phylogenetic relationships were determined. The fungal isolates belonged to 2 phyla, 5 classes, and 7 genera; bacterial species belonged to 23 genera and 32 species. Microbial diversity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the geographical groups with respect to Margalef's richness (3.9, 3.6, and 4.5), Menhinick's index (2.65, 2.46, and 3.30), Simpson's index (0.06, 0.12, and 0.01), and Shannon's index (2.50, 2.17, and 2.58). Although the microbial genera distribution or diversity values clearly varied among geographical groups, common genera were identified in all groups, including the fungal genus Cladosporium, and the bacterial genera Bacillus and Rhodococcus. According to classic principles of co-evolutionary relationship, these genera might have a closer association with their host insect vector B. agrestis than other genera identified. Some cutaneous bacterial genera (e.g., Pseudomonas) displaying weak interdependency with insect vectors may be hazardous to agricultural environments via mechanical transmission via B. agrestis.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cutaneous microflora of B. agrestis, which can help in the control of such pests for crop management.

실내 차양장치 결합형 창호의 태양열 취득률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Solar Heat Gain Coefficient in Glazing with Shading Devices)

  • 김태중;강재식;박준석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89-99
    • /
    • 2014
  • The determination of the solar and thermal performance of fenestration is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fenestration energy performance, estimating building load. Presently, there exist several methods for determining the thermal transmission(U-value) and solar heat gain coefficient (SHGC) of fenestration system. These method are commonly grouped under calculation or experimental methods. While U-value testing and calculation methods have been long established, SHGC has been evaluated only by the method of calculation under the lack of any established testing meth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exact SHGC for various types of fenestration with sun-shading or other solar control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erior venetian blind and roll screen on the SHGC of glazing system. SHGC has been evaluated by the KS L 9107 test method and exiting calculation method for precise comparison of the energy performances of various shading devices. In this research, the test sample consists of three different types of double glazing unit with venetian blind and roll screen. Slat angles of venetian blind were changed to $-45^{\circ}$, $0^{\circ}$, and$-45^{\circ}$. For the roll screen,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the roll screen in the closed position. In result, the venetian blind reduced SHGC by 21.2~28.4% at $45^{\circ}$, when compared to the double glazing unit. The roll screen reduced SHGC by 34.4~41.7% at clos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d and calculated SHGC were found to range between 0.001(0.2%) and 0.047(11.1%) for all test cases. For the cases of venetian blind $-45^{\circ}$, $0^{\circ}$ and $45^{\circ}$, the deviation ratio were 3.6~9.8%, 1.1~2.6%, 4.2~11.1%, respectively. For the case of roll screen, the deviation ratio were 4.1~5.7%.

KTX산천 귀선전류고조파가 일반선 TI-21형 AF궤도회로에 미치는 영향분석 (Effect Analysis of Classical Line TI-21 type Audio Frequency Track Circuit from KTX Sancheon Return Current Harmonics)

  • 최재식;김희식;박주훈;김범곤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8-45
    • /
    • 2016
  • KTX산천 고속차량에서 사용하는 전력변환시스템은 전력전자기술, 고속 대용량 반도체소자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술발달에 힘입어 높은 성능과 효율, 안전성,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뛰어난 제어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하지만 고속스위칭소자인 IGBT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고조파로 인해 전기차량은 물론 변전소, 신호시스템, 데이터전송 및 감시시스템 등 선로변 신호설비에 문제를 야기시켰다. 특히 전력변환장치의 정수배 부근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귀선전류고조파의 영향으로 TI-21 무절연AF궤도회로가 부정 동작하는 사례가 발생되었다. 본 논문은 고속전기차량과 궤도회로간 귀선전류고조파 이동경로 분석을 위하여 실제 현장에서 측정 및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신규로 도입되는 고속전기차량, AF궤도회로, 공동접지망 설계 시 폭넓게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Facilitation of AMPA receptor-mediated steady-state current by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in supraoptic magnocellular neurosecretory cells

  • Pai, Yoon Hyoung;Lim, Chae Seong;Park, Kyung-Ah;Cho, Hyun Sil;Lee, Gyu-Seung;Shin, Yong Sup;Kim, Hyun-Woo;Jeon, Byeong Hwa;Yoon, Seok Hwa;Park, Jin B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4호
    • /
    • pp.425-432
    • /
    • 2016
  • In addition to classical synaptic transmiss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cells via the activation of extrasynaptic receptors that generate persistent tonic current in the brain. While growing evidence supports the presence of tonic NMDA current ($I_{NMDA}$) generated by extrasynaptic NMDA receptors (eNMDARs),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onic $I_{NMDA}$ in various brain regions remains poorly understood. Here, we demonstrate that activation of eNMDARs that generate INMDA facilitates the ${\alpha}$-amino-3-hydroxy-5-methylisoxazole-4-proprionate receptor (AMPAR)-mediated steady-state current in supraoptic nucleus (SON) magnocellular neurosecretory cells (MNCs). In $low-Mg^{2+}$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 glutamate induced an inward shift in $I_{holding}$ ($I_{GLU}$) at a holding potential ($V_{holding}$) of -70 mV which was partly blocked by an AMPAR antagonist, NBQX. NBQX-sensitive $I_{GLU}$ was observed even in normal aCSF at $V_{holding}$ of -40 mV or -20 mV. $I_{GLU}$ was completely abolished by pretreatment with an NMDAR blocker, AP5, under all tested conditions. AMPA induced a reproducible inward shift in $I_{holding}$ ($I_{AMPA}$) in SON MNCs. Pretreatment with AP5 attenuated $I_{AMPA}$ amplitudes to ~60% of the control levels in $low-Mg^{2+}$ aCSF, but not in normal aCSF at $V_{holding}$ of -70 mV. $I_{AMPA}$ attenuation by AP5 was also prominent in normal aCSF at depolarized holding potentials. Memantine, an eNMDAR blocker, mimicked the AP5-induced $I_{AMPA}$ attenuation in SON MNCs. Finally, chronic dehydration did not affect $I_{AMPA}$ attenuation by AP5 in the neur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nic $I_{NMDA}$, mediated by eNMDAR, facilitates AMPAR function, changing the postsynaptic response to its agonists in normal and osmotically challenged SON MN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