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al Era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4초

전환기부터 산업화 시기까지 한국인의 가치 탐색 (Exploring the Values of Korean in the Period of Transitional and Industrial Era)

  • 류형선
    • 한국철학논집
    • /
    • 제39호
    • /
    • pp.115-142
    • /
    • 2013
  • 본 연구는 해방 이후부터 70년대 말 산업화 시기까지 한국인이 중요시 여겼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두 시기에 대한 구분은 본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사회, 혹은 한국인들의 가치체계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전환기', '산업화 시기'로 구분하였으며 정치, 경제 및 사회적 요인들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시기별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시기별로 나타나는 주요가치와 인재상을 도출하고자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가치가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시기별로 나타나는 주요가치와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 전환기의 주요가 치로는 예의와 규범을 제시하였고, 추구하는 인재상은 무실역행(務實力行)하는 자세가 강조되는 실천적 지식이었다. 산업화 시기의 주요가치로는 성실, 근면, 자조, 협동을 제시하였고, 추구하는 인재상은 경제발전에 필수적이고 강력한 직업능력을 갖춘 기능인이었다. 시기별로 지속적으로 탐색한 가치는 애국심이었다. 전환기의 애국심은 초기에는 전통적 지배구조의 붕괴와 지도자의 부재로 인하여 국가와 민족이 충의 대상이었다면 지도자의 선출과 국가의 건립 이후에는 새로운 지배구조가 형성되어 국가보다는 지도자나 상급자에 대한 충성으로 변모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업화 시기 애국심은 국가경제정책을 충실히 이행하고 반공정신으로 무장하여 북한을 압도하는 통일의지를 가지는 것 등으로 비교적 다른 시기에 비하여 목적성이 매우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해방 이후 현대 교육의 이상적 인간상 탐색 - 전환기, 산업화 시기, 민주화 시기를 중심으로 - (Exploring of the Ideally Right People of Modern Education since Liberation)

  • 류형선;지준호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171-202
    • /
    • 2014
  •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현대 교육의 이상적 인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해방 이후에서 90년대에 이르는 시기를 광복 이후 분단까지의 '전환기'와, 경제성장을 통한 현대 국가 발전의 기반이 된 '산업화 시기', 그리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정치?경제?사회 참여를 요구하는 '민주화 시기'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의 특성에 대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교육적 인간상의 추출을 위하여 이들 각 시기의 주요 가치를 탐색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각 시기별 인간상을 고찰하였다. 시기별로 나타나는 주요가치와 인재상은 다음과 같다. 전환기의 주요가치로는 예의와 규범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무실역행(務實力行)하는 자세가 강조되는 실천적 지식이었다. 산업화 시기의 주요가치로는 성실, 근면, 자조, 협동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경제발전에 필수적이고 강력한 직업능력을 갖춘 기능인이었다. 민주화의 주요가치로는 참여, 평등, 공존을 제시할 수 있으며, 추구하는 인재상은 경제성장의 둔화라는 위기감 속에서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이바지하는 우수한 과학인재상이었다. 각 시기별 인재상은 실용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유형의 인간상이 드러나고 있으며 공동체적 덕성을 중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인 가치관의 연속선상에서 시기별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바이커 집합주택(集合住宅)과 그 역사적(歷史的) 의미(意味)에 관한 연구 (The Byker Housing Redevelopment and Its Historical Meanings)

  • 최왕돈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1호
    • /
    • pp.81-90
    • /
    • 1997
  • The 1960s is a transitional era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The Byker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well reflects this situation, and is a good example of materialization of social pluralism and expressional needs of a community.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see its meanings in the history of mass housing in the Western countri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It is the first large-scale project where the concept of user participation was sucessfully realized; It suggested various tools of desirable design methodology; It made a paradigmatic change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mass housing projects.

  • PDF

유토피아의 도시.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ity and Architecture of the Utopia)

  • 이일형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38
    • /
    • 2007
  • If we take account of the 'Architectural Tradition' which aims a construction of better environment, we can see that this tradition has ended historically toward Utopia. It is a continual trend from ancient Greece to contemporary epoch in each transitional periods and especially in the Renaissance Era. Utopia is an ideal commonwealth in which inhabitants exist under perfect conditions, ideally perfect places or state of things. The plans of utopia are complete projects of image, its goal is an social, political and economic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eras. Its plans are characterized by rigid geometrical pattern as circle and square, which contain generally center axis symmetry enclosure. Recent urban and architectural circumstances no longer reflect utopian visions. Since the latter of the 20th century, it appears dystopia on the contrary. Therefore, the utopian ideal city and architecture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the era unlike the continuity of its concept.

  • PDF

아르데코양식과 배경적요소가 실내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Art Deco Style and Background Element Influence to the Interior Design)

  • 안희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1-81
    • /
    • 1990
  • Style have been changing by the situations and the background of contemporary politics, society and economics, and which influence significantly to create new forms. Since the style of ART DECOC 1929s -1930s) has been studied with main reference to its cause and motivation, it is known that the style of ART DECO is one that has given $$\mu$h potential and chance to the development of interior design.In the study, it was focussed on to study on interior design, architecture, funiture, etc. in America where ART DECO had been once successful in his career.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e study implying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s concerning styles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al process of the era, etc.; i.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ange + period of the study, contemporary backgrounds, elements of ART DECO' style, ART DECO in AmericaCthe background of ART DECO s subject, etc.).The writer of this study, while referring to the study and groping for any help to finding a brilliant concept of design and the merit of the trend of a contemporary era, hope to contribute more my own interior design.

  • PDF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직업능력개발정책 - 이행노동시장 모형을 중심으로 - (Job Competency Development Polic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유길상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67-174
    • /
    • 2017
  •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이 직업능력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이행노동시장(Transitional Labor Market: TLM) 모형을 중심으로 조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4차 산업혁명시대의 직업능력개발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존의 일자리의 상당부분을 소멸하게 함과 동시에 일자리의 형태와 직무의 내용, 일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환경 하에서는 노동시장 이행의 각 단계에서 위험이 증대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제도의 혁신과 생애경력개발 및 평생직업능력개발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인재를 육성하고, 4차 산업혁명이 초래할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직업능력개발체제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하도록 패러다임적인 발전을 이루어야 하고,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생태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외암리 민속마을에 나타난 한국정원의 전환기적 양상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 이원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100-121
    • /
    • 2009
  • 본 연구는 1920년대 외암리 민속마을을 사례로 정원의 전환기적 양상에 대해 정원요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 시기에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에 따른 종래의 전통적 정원양식과 다른 양식의 정원구성요소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하에 정원구성요소로 수경, 식물, 구조물, 포장 등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환기적 시기인 1920년대는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영향과 안으로 실학사상, 개화사상과 더불어 신분제도상의 붕괴조짐이 정원설계요소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세의 영향으로 외래양식의 도입과 외래수종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며, 내부적 신분제도상의 변화는 정원양식의 탈규범화를 촉진하여 상위지향적 형태 및 재료의 사용과 공간기능의 변용을 초래하였다. 전환기적 정원의 특성이 나타나는 정원 조영자는 신분제도상의 붕괴에 불구하고 경제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변화에 지배계급으로 위치를 공고히 한 상류계층에 국한되어 있으며, 식민치하의 사회 혼란상으로부터의 도피적 행태나 선진문물을 선구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통하여 정원의 변화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의 결과로, 자연에 심산 유곡에 위치한 정원의 입지와 지형처리기술을 발달시켰으며, 외래의 양식을 차용하고 사랑마당 정원을 변모시키는 정원조성행태를 보이게 된다. 정원의 배치 및 공간구성에서 전환기적 양상이 두드러진 유형은 건물과 마당(내원)으로 공간구획의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전환기적 정원설계요소의 출현이 빈번한 유형으로 수경관의 형태와 정원공간의 변화는 사랑 마당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외래적인 요소의 영향이 지대한 수경관과 수목, 점경물 등의 도입이 주요한 공간변화를 일으킨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전환기적 정원요소로 수경관에서는 계류를 중심으로 한 부정형지의 회유식 연못이 주를 이루며, 식물은 전통수종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외래수종과 토피아리형 수목인 상록침엽수, 관목류의 출현이 두드러지며 건조물은 외래형식이 가미되고 점경물은 형태와 배치기법 등에 변화가 나타나며 원로가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전환기적 정원조성기법의 특징은 적극적인 지형처리기법과 정원소유를 위한 영역성의 증대, 정원재료 및 형태의 변화와 양식의 혼재, 정원의 장식미 추구, 정원 내 의식공간의 퇴조, 동선처리 기법의 변화, 차경에서 선경으로의 취경기법의 변화, 사랑마당 공간 변화, 정적인 정원감상기법에서 동적으로의 변화 및 은유에서 직유로 정원표현기법이 달라지고 있다. 또한 정원을 중심으로 한 내부지향적 시각구조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일환으로 전통과 현대의 교량 역할을 하는 근대시기에 대해 접근해 본 것으로 시기적 양상은 전통정원에서 근대정원으로 전이되는 전환기적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향후, 한국조경사의 한 부분으로 근대조경의 시기가 인식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추후 과제로 삼는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건축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the Utopia and Dystopia)

  • 이일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184-190
    • /
    • 2000
  • If we take account of the Architectural Tradition which aims a construction of better environment, we can see that this tradition has ended historically toward Utopia. It is a continual trend from ancient to contemporary epoch especially in each transitional periods. Utopia is an ideal commonwealth in which inhabitants exist under perfect conditions, ideally perfect places or state of things. But, Dystopia implies skeptical perspective on the future which has emerged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 awareness about crisis concerning negative aspects highlighted by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since Modern era. Dystopia is the opposite of Utopia which was a propaganda used by Modern architecture and has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Utopias plans are complete projects of image, its goal is an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eras. Its plans are characterized by rigid geometrical pattern as circle and square, which contain generally center·axis·enclosure·boundary·symmetry. Recent architectural circumstances no longer reflect utopian visions. Dystopias plans have described extreme mechanism, destructive offense, expression of fragmentation and differentia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refore, as the Utopian architecture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the era unlike the continuity of its concept, the Dystopian architecture will find its expression differently while maintaining its basic concept and intention.

  • PDF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중상류 주거의 안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Social Structure in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 Focused on main houses of higher middle class in Gyeonggi province -)

  • 박형진;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19-28
    • /
    • 2003
  • Residential space can be stated as a decisive body composit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Resulting from this idea,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a mirror reflecting peoples' life at that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a certain era through analyzing the residential space built and used at that period. Viewing from this point,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as a transitional period, was a tie of collapse for the structure of middle-class society forcing its identity system to be reorganized, and of improving upon commerce, agriculture, and manual industry to enable modernization. Following this id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igher middle class residences built at the close of 19th century in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bring into light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of the period.

희양산봉암사 극락전의 연구 -조성시기와 용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Geungnakjeon(Paradise Shrine) of Bong-amsa Temple at Mountain Hiyangsan - Based on its applications and historical period of establishment -)

  • 홍병화;김성우
    • 건축역사연구
    • /
    • 제16권5호
    • /
    • pp.7-20
    • /
    • 2007
  • Bong-amsa Temple is a special temple in the custody of Jogye sect, a branch of Buddhism in Korea. Due to limited public access to this temple, its Geungnakjeon(paradise shrine) has been little known to outside. But it is known that the Geungnakjeon has been not yet explored from academic standpoints in terms of its historical establishment as well as applications, and it would be two-storied wooden pagoda or the like. In order to examine its historical establishment, this study investigate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Bong-amsa Temple and its intrinsic architectural style. As a result, it was estimated that the building was established around the transitional period ranging from the late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it was found that the Geungnakjeon is not the two-storied wooden pagoda, but the unique building including an incidental component called Chayanggan(遮陽間; a sort of stepped penthouse)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its possible applications, this study compared this building with other Buddhist funeral articles in forms similar thereto, such as Buddhist pagoda(僧塔), sarira container(舍利器) and Gamnodo(甘露圖) which depicts Byeoknyeon Daeban(碧蓮臺畔; a palanquin carrying malignant spirit). Then, this study estimated its possible applications on the basis of relevant historical literatur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is building was used as Wondang(願堂; a sort of Buddhist prayer house) to wish royal family's going to Nirvana after death, and it was not Confucian-style architecture popularized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but Buddhist-style architecture built widely from the era of Kory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