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Social Structure in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 Focused on main houses of higher middle class in Gyeonggi province -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중상류 주거의 안채를 중심으로 -

  • 박형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 류호창 (건국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Residential space can be stated as a decisive body composit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Resulting from this idea,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a mirror reflecting peoples' life at that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s of a certain era through analyzing the residential space built and used at that period. Viewing from this point,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as a transitional period, was a tie of collapse for the structure of middle-class society forcing its identity system to be reorganized, and of improving upon commerce, agriculture, and manual industry to enable modernization. Following this id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higher middle class residences built at the close of 19th century in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bring into light the change of social structure of the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Amos Hapoport, House and Culture, 이규목, 譯, 열화당, 1985
  2. 강만길, 고쳐 쓴-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3.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대출판부, 1973
  4.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I], 지식산업사, 1995
  5. 안병태, 한국 근대 경제와 일본제국주의, 백산서당, 1982
  6.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 1,2, 역사비평사, 2000
  7. 한국경제사학회, 한국사시대구분론, 을유문화사, 1995
  8. 김영모, 조선지배층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
  9. 최일, 조선 중기이후 남부지방 중상류주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9
  10. 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11. 전봉희, 조선후기 주거사에 있어서 겹집화 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10호 통권96호 1996.10
  12. 이상헌, 18C부터 1910년까지 한국건축의 변천에 대한 사적 고찰, 서울대석론, 1984
  13. 김봉렬, 조선 후기 한옥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1982
  14. 나종현, 해방이전에 지어진 경기도 지역의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 연구서울대석론, 2000
  15. 이강민, 초기근대 전남지역 부농주거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2001
  16. 김동욱, 조선시대 영조조직 연구, 건축학회지, 1983.6
  17. 김종헌.주남철, 한국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2
  18.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3
  19.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94
  20. 김흥식, 민족건축론, 한길사, 1987
  21. 경기도사 편찬위원회, 경기도 역사와 문화, 경기출판사, 1997
  22. 경기도사 편찬위원회, 경기도의 어제와 오늘, 경기출판사, 2001
  23. 유승용, 민가연구의 상황, 대한건축학회지 33권 2흐 통권147흐 1989.3
  24. 송주현, 문화재로 지정된 전국 주택건조물 현황, 대한건측학회지 33권2호, 1989.3
  25. 조성기, 한국 중부형 민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권3호,1991.6
  26. 石毛直道, 住居空間 の人類學, 鹿島出版會, 1971
  27. 흥형옥, 한국주거사, 민음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