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 of the Village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풍산김씨(豊山金氏)마을 뜰집의 변천과정(變遷過程)에 관한 연구(硏究) - 안동(安東) 오미(五美)마을과 봉화(奉化) 오록(梧麓)마을의 족보(族譜)를 바탕으로 -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Ddeulzip on Omi Village in Andong and Orock Village in Bonghwa)

  • 김화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3호
    • /
    • pp.51-6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in the Ddeulzip.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lan village of Pungsan Kim's family in Andong Cultural Area. Architectural transition of Ddeulzip is analyzed into three part. The first part is settlement of family. In this process, there is a background and many types of settlement. The second part is the extension of family. The extensional types are 'near-by branch' and 'far-away branch'. The last part is variation of housing. Spacial requests of residence are changed endlessly. Thus the spacial types of Ddeulzip are changed by the construction time of building. In many case, we couldn't decide the building period. The genealogy of Chosun Dynasty is the base of family history.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activity of Ddeulzip is based on the genealogy. The phylogenetic tree of Ddeulzip in clan village is constructed by the genealogy. The figures of the type of bunch of grapes is made by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genealogy. Omi Village in Andong was settled at first in the 15C. The cause of settlement is the aim of escape from political oppression. For long time, Omi Village is developed gradually. There area is divided in some small family boundary. There spacial types are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many times. Orock Village in Bonghwa is settled for search of best environment in the last of 17C. At that time, a lot of families of same clan are gathered in that village. For short time, Orock Village is enlarged quickly. Thus there spacial type is similar each other. But boundary of entire space of outdoor is constructed clearly by pavilion area, housing area and sanctuary area.

  • PDF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A Study on Village Names of Youngnam Provinces : the Cases of Changnyeong-Gun, Bonghwa-Gun and Namhae-Gun)

  • 박태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4
    • /
    • 1999
  • 본 연구는 영남지방의 지리적 성격이 상이한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촌락명을 분석하였다. 지명의 명명은 인간의 환경지각의 결과이고, 또 지명에는 그 당시의 문화가 각인되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지명이 포함하고 있는 주요 지리적 개념, 지명의 어구조, 개념구성의 결합관계 등을 구명하여 지역차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지리학의 개념별로 보면 산지지역인 봉화군은 자연에서, 평야지역인 창녕군과 도서지역인 남해군은 인문에서 인식한 촌락명이 상대적으로 많아 지역차를 보인다. 둘째 지명 어구조의 전 후어에서 전어는 주로 작명으로 사용된 고유명인데, 촌락의 문화경관, 위치, 변천을 설명하고 있다. 후어는 지명을 분류하는 유형 명으로 촌락의 자연환경, 촌락 공동체 표현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셋째 개념 구성은 봉화군은 자연 그대로, 창녕군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과정, 남해군은 상호작용의 결과가 인식, 명명되어 역시 상이한 지역성을 보이고 있다.

  • PDF

안동 서미 2동의 마을구조 및 민가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of the village and the Property of Folk Houses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 정명섭;곽동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7-76
    • /
    • 2003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stem of the architectural order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The scope of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12 traditional houses situated on this area. The focus of this study is mainly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this village, the arragement of houses related in geographical features of i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nd ground plans on these houses. As results of it, there are mostly Yeo-Kan houses(six spans sized) on Seomi 2-dong village in An-Dong and every house on this domain is in harmony with the systematic order of it.

아산 외암마을 일원의 변화과정 추적을 통해 본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 (Shape of Cultural Landscape in Oeam Village, Asan by Investigating Changes)

  • 이창훈;이원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88-97
    • /
    • 2017
  • 본 연구는 아산 외암마을을 대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경관상(文化景觀相)을 살펴 마을의 소경관(素景觀)의 형성배경과 시기별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암기(巍巖記)"를 비롯한 여러 문헌에서 언급되는 외암마을의 주변 지형과 경관요소의 내용에서 과거 선인들에게 인식되었던 소경관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지형분석을 통해 외암마을이 형성되기 전에 흐르던 자연수계와 마을 내 인공수로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분석하였다. 둘째, 외암마을의 경관변화를 특정 지을 수 있는 (1) 예안 이씨 동족촌의 확장기, (2) 마을 경관에 큰 변화가 없이 주민 간에 유기체적 관계를 형성하며 마을이 유지된 정체기, (3) 국가정책에 의해 마을 경관모자이크가 가장 크게 변하는 변화기, (4) 문화재 지정 이후 보존을 원칙으로 한 관광활용을 도모하는 보존 활용 시기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셋째, 과거 마을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였던 지역은 마을의 동쪽에서 서측으로 이동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과거에는 마을의 동측지역에서 마을의 생성과 확장의 과정에서, 농업을 중심으로 한 기능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마을이 산업화와 관광화의 외부간섭을 받는 과정에서 마을의 서측에 위치한 진입부로 마을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중심지가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외암마을의 과거모습의 이해를 위한 문헌발굴과 해석을 통한 진정성 규명 연구가 병행되어야 하며, 마을 내 세부 경관요소의 변화과정과 특성비교 등의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강변에 입지한 부여칠산마을의 배치와 주택의 방위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Directional Orientation in Houses and Site Design of Chilsan Village in Riverside Location, Buyeo County)

  • 이현병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9-78
    • /
    • 2013
  • The location of villages differs by position, and the method to form the conditions of location varies greatly. This study h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village layout in the riverside and directional relations in houses. With changes in riverside landscape and transition to an agriculture-oriented village, there have been changes in road and the size, shape and direction of houses as well. In terms of the direction of houses situated along the river, a house facing the river accounts for more than half of all houses in the village. As traditional houses are transformed into modern houses over time, houses have become bigger, and the number of the houses facing south or southeast has been on the rise. As described above, riverside landscape and preference for the house facing south have an effect on determination of the facing direction of houses. However, the direction of geographical features of the village was first followed, and other conditions have been ref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facing direction of houses have been observed.

두만강 북안 조선족 이수마을 주택평면의 변화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House Plan in Lishu Settlement of Tumen Riverside)

  • 임금화;서승현;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26
    • /
    • 2008
  • 1) Lishu village is located in a riverside of an upper Tu-men river. Since an upper tream of Tu-men river is narrow and easy to pilot a boat, early in the past, it facilitated the form of the village near to the North Korea. 2) As for elevation, it consisted of only doors, but as time goes by, windows were made. So windows and doors were appearing much in the elevation. In 1970s', elevations are constructed in various ways; in 1980, attributed to brick housing, the elevations become much more diverse; from 1990, symmetrical elevation was revealed which consists of one door and two windows in each side of a door after 2000, the structure of the housing restored of 1930s' style which contained one window in Jungji and 1970s' style consisting of 3 windows, moreover, many free-style elevations appeared to be commercial use.

  • PDF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권역 주민들의 참여도와 활성화방안 연구 -전남농촌마을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Participate and Revitalization Plan for Development of rural village Local residents -Focused on Jeonnam Rural Village-)

  • 정명희;김재원;박대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5-52
    • /
    • 2011
  • Development of rural village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community development nongsan eoeopin samuijil improve and promote the special law, from 2004 to 2017, based on the 1000 National differentiated rural areas to maintain the "ness, and in rural areas to build basic infrastructure, a complex life-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development and participate in the preliminary planning stages and led from the bottom-up development project in the village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eriod proposed by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is a business. This study, Jeonnam local rural residents of the village to participate in Development Business to help identify and analyze the problems derive satisfaction and improve the direction and purpose it is proposed to activate. To enable business juminchamyeohyeong city committee of the doctors and residents rally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cludin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bottom-up business is important for the recognition of conversions. For bottom-up business people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transition to a new seonjinji tour, the continued education of residents and leading to the village to town to put all my energy into education, including the leader of the residents of the town desperately needs strengthening and capacity. In addition, town residents also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aware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residents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established a partnership with a group of experts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main city in the shape of lack of food is the most important part is fill.

라오스 산촌마을의 생산구조전환을 위한 투자 경제성 기초 분석 (Fundamental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Production Structure for a Forest Village in LAO PDR)

  • 이보휘;김세빈;이준우;이학준;이상진;이중구;백운기;박범진;구승모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22
    • /
    • 2018
  • 본 연구는 라오스에 소재한 전형적인 농 산촌 마을을 선정하여, 마을 단위를 대상으로 생산구조를 전환할 경우의 소득증대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대상지는 라오스 쌍퉁구에 위치한 농부아 마을로써 산림지역이 혼재된 논농사 위주의 마을이다. 이 마을이 취할 수 있는 소득 제고 전략은 단기적으로 손쉽게 소득을 제고할 수 있는 작목으로 노니(Morinda citrifolia)가 꼽힌다. 사업 기간은 20년으로 가정하고, 1ha 면적에 $3m{\times}3m$ 간격으로 식재한 총 1,100본을 대상으로, 묘목 생존율과 노니 수매가격에 따라 시나리오 1, 2, 3을 구분하였다. 일반적으로 노니는 생장이 좋은 편이나, 본 연구에서는 생산 경험 부족, 병충해 등의 리스크를 감안하여 기본 시나리오 1을 묘목 생존율(=열매 생산량)을 기존 자료(하와이)보다 보수적으로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1은 노니 묘목의 생존율이 1년생이 50%, 2년생이 60%, 3년생부터 20년생까지 70%로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시나리오 2는 묘목 생존율이 10%씩 감소되어 40%, 50%, 60%로 제약을 두었고, 시나리오 3은 묘목생존율이 10% 감소되고, 노니 수매가격 또한 10% 감소된 경우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 라오스 시장 할인율 10%를 기준으로, 3개 시나리오 모두 IRR이 각각 24.81%, 19.02%, 16.30%로 모두 경제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ha당 B/C도 각각 시나리오 1, 2, 3에 대해서 할인율 10%를 기준으로 모두 1.71, 1.47, 1.31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향후 농부아 마을은 대체 작목(노니)를 통한 저소득 영농구조를 탈피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을 시사하며, 각종 정부 및 민간 투자사업을 계획할 때 수행하는 사전진단 절차 단계에서 유용한 의사결정 정보로써 활용이 가능하다.

지역유형을 고려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평가 및 개선방안 (Improvement and Evaluation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by Rural Territory)

  • 최영완;박정원;윤용철;김영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227-235
    • /
    • 2011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발전 및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된 정부의 다양한 정책 및 사업의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추진 중에 있는 농촌지역개발사업 중 대표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분석대상 사업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위해 경남 2개 권역과 전남 2개 권역을 사례연구대상권역으로 선정하였다. 사업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사업추진에 있어서 각 지역유형별로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역특성별(농촌지역, 중산간지역)로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및 추진과정에서의 만족도 등은 다소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농촌지역 2개 권역 주민들이 중산간지역 2개 권역 주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많이 표출하였다. 향후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주민들의 사업에 대한 이해, 서로 돕고 협력하는 마을 공동체 의식의 복원, 바람직한 리더 육성, 실효성 있는 마을 규약 마련, 개방적 포용적 자세로의 전환과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추진 및 운영방법의 현실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