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 dos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3초

Clinical Implementation of an In vivo Dose Verification System Based on a Transit Dose Calculation Tool for 3D-CRT

  • Jeong, Seonghoon;Yoon, Myonggeun;Chung, Weon Kuu;Chung, Mijoo;Kim, Dong Wook
    •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 /
    • 제73권10호
    • /
    • pp.1571-1576
    • /
    • 2018
  • We developed and evaluated an algorithm to calculate the target radiation dose in cancer patients by measuring the transmitted dose during 3D conformal radiation treatment (3D-CRT) treatment. The patient target doses were calculated from the transit dose, which was measured using a glass dosimeter positioned 150 cm from the source. The accuracy of the transit dose algorithm was evaluated using a solid water phantom for five patient treatment plans. We performed transit dose-based patient dose verification during the actual treatment of 34 patients who underwent 3D-CRT. These included 17 patients with breast cancer, 11 with pelvic cancer, and 6 with other cancers. In the solid water phantom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it dosimetry algorithm with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and the measurement was $-0.10{\pm}1.93%$. In the clinical study, this difference was $0.94{\pm}4.13%$ for the patients with 17 breast cancers, $-0.11{\pm}3.50%$ for the eight with rectal cancer, $0.51{\pm}5.10%$ for the four with bone cancer, and $0.91{\pm}3.69%$ for the other f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it-dosimetry-based in-room patient dose verification is a useful application for 3D-CRT. We expect that this technique will be widely applicable for patient safety in the treatment room through improvements in the transit dosimetry algorithm for complicated treatment techniques (including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o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

Feasibility Study of Patient Specific Quality Assurance Using Transit Dosimetry Based on Measurement with an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 Baek, Tae Seong;Chung, Eun Ji;Son, Jaeman;Yoon, Myonggeu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8권2호
    • /
    • pp.54-60
    • /
    • 201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ransit dose with an electronic portal imaging device (EPID) in eight patients treated with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and to verify the accuracy of dose delivery to patients. The calculated dose map of the treatment planning system (TPS) was compared with the EPID based dose measured on the same plane with a gamma index method. The plan for each patient was verified prior to treatment with a diode array (MapCHECK) and portal dose image prediction (PDIP). To simulate possible patient positioning errors during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after an anthropomorphic phantom was displaced 5 and 10 mm in various directions. Based on 3%/3 mm criteria, the $mean{\pm}SD$ passing rates of MapCHECK, PDIP (pre-treatment QA) for 47 IMRT were $99.8{\pm}0.1%$, $99.0{\pm}0.7%$, and, respectively. Besides, passing rates using transit dosimetry was $90.0{\pm}1.5%$ for the same condition. Setup errors of 5 and 10 mm reduced the mean passing rates by 1.3% and 3.0% (inferior to superior), 2.2% and 4.3% (superior to inferior), 5.9% and 10.9% (left to right), and 8.9% and 16.3% (right to left),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ransit dose-based IMRT verification method using EPID, in which the transit dose from patients is compared with the dose map calculated from the TPS, may be useful in verifying various errors including setup and/or patient positioning error, inhomogeneity and target motions.

조사문 선량 분포와 Monte Carlo 계산을 이용한 삼차원 선량 재구성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Dose reconstruction based on transit dose measurement and Monte Carlo calculation)

  • 박달;여인환;김대용;안용찬;허승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2호
    • /
    • pp.91-99
    • /
    • 2000
  • 본 연구는 선형 가속기에서 나오는 고 에너지 광자빔 조사를 받은 환자 내부의 선량 분포를 조사문 선량 분포로부터 재구성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삼차원 선량 분포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전산모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환자나 팬톰 내부의 임의의 지점에서 흡수된 선량과 그 지점에 대응되는 조사문 선량의 측정 지점에서 흡수된 선량의 차이를 계산하여 측정된 조사문 선량 분포로부터 환자나 팬톰 내부의 선량분포를 얻는 것이다. 선량의 차이는 역제곱법칙과 선형감쇄계수, 그리고 Monte Carl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환자나 팬톰의 CT 정보로부터 계산한 산란선량과 주선량의 비(scatter to primary dose ratio)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이 방법을 시험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균질 혹은 비균질 팬톰의 조사문 선량 분포를 Monte Carlo 전산모사로 계산한 뒤 팬톰 내부의 선량 분포를 재구성하였다. 광자빔은 1.5 MeV의 단일에너지를 사용하였고 Monte Carlo 프로그램은 EGS4를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여 재구성된 팬톰 내부의 선량 분포와 Monte Carlo로 계산한 팬텀 내부의 선량 분포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오차 -4%∼+2% 이내로 일치하였다. 이 방법은 다른 in vivo dosimetry 방법을 대신하여 환자내의 선량분포를 예측하는데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방사선치료에서 투과선량을 이용한 체내선량 검증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ose Verification Method for In vivo Dosimetry in External Radiotherapy)

  • 황의중;백태성;윤명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5권1호
    • /
    • pp.23-30
    • /
    • 2014
  • 방사선치료에서는 환자 체내에 전달된 선량이 원래 의도한 데로 분포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균질한 팬텀을 이용한 정도 관리를 치료 전에 주로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균질한 팬텀을 이용한 정도 관리는 표면이 불규칙적이고 불균질한 인체에 대한 선량분포를 완전히 보증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를 투과하는 선량의 분포를 측정하여 역으로 환자체내 선량 분포를 계산하는 투과선량 기반 체내선량 검증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투과선량은 주방사선과 산란방사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전자포탈영상장치로 측정한 선량분포로부터 주방사선만을 이용한 간단한 식으로 환자체내선량분포를 계산하는 프로그램과 감마값 분포를 평가하여 두 선량분포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한 팬텀의 등중심점을 지나는 관상면의 체내선량 분포는 치료계획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동일 평면의 선량분포와의 비교결과 균질팬텀에서 평균 95%, 비균질팬텀에서 81.8%의 감마통과율을 보였다.

Correlation between Colon Transit Time Test Value and Initial Maintenance Dose of Laxative in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 Kim, Mock Ryeon;Park, Hye Won;Son, Jae Sung;Lee, Ran;Bae, Sun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3호
    • /
    • pp.186-192
    • /
    • 2016
  • Purpose: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colon transit time (CTT) test value and initial maintenance dose of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or lactulose. Methods: Of 415 children with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 190 were enrolled based on exclusion criteria using the CTT test, defecation diary, and clinical chart. The CTT test was performed with prior disimpaction. The laxative dose for maintenance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 defecation diary and clinical chart. The Shapiro-Wilk test and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group median value and interquartile range of the CTT test was 43.8 (31.8) hours. The average PEG 4000 dose for maintenance in the overall group was $0.68{\pm}0.18g/kg/d$; according to age, the dose was $0.73{\pm}0.16g/kg/d$ (<8 years), $0.53{\pm}0.12g/kg/d$ (8 to <12 years), and $0.36{\pm}0.05g/kg/d$ (12 to 15 years). The dose of lactulose was $1.99{\pm}0.43mL/kg/d$ (<8 years) or $1.26{\pm}0.25mL/kg/d$ (8 to <12 yea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TT test value and initial dose of laxative, irrespective of the subgroup (encopresis, abnormal CTT test subtype) for either laxative. Even in the largest group (overall, n=109, younger than 8 years and on PEG 4000), the correlation was weak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0.268, p=0.005). Within the abnormal transit group, subgroup (n=73, younger than 8 years and on PEG 4000) correlation was weak (R=0.267, p=0.022). Conclusion: CTT test value cannot predict the initial maintenance dose of PEG 4000 or lactulose with linear correlation.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투과선량 기반 환자선량 평가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for Development of Transit Dosimetry Based Patient Dose Verification System Using the Glass Dosimeter)

  • 정성훈;윤명근;김동욱;정원규;정미주;최상현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4호
    • /
    • pp.241-249
    • /
    • 2015
  • 방사선치료는 수술, 항암치료와 함께 암의 3대 치료방법으로써 많은 암환자들이 방사선치료를 받게 된다. 최대한 많은 방사선을 암에 집중시키고 최대한 적은 방사선을 주변 정상 조직에 가해주기 위해 치료 전 치료계획을 철저히 세우고 품질 관리를 시행하지만 방사선치료가 잘못 시행되어 의도치 않은 방사선이 환자에게 전달되는 의료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 내부의 선량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투과선량 측정을 통한 환자 내부선량의 역추정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투과선량을 이용한 환자선량 계산 방법을 거리역자승법칙, 심부선량백분율, scatter factor를 이용한 방법으로써 실제 환자 선량 평가 가능성에 대해 균질한 물등가 팬텀을 이용한 연구이다. 투과선량에 대한 이온함과 유리선량계의 교정 결과 유리선량계의 신호값이 이온함으로 측정한 선량값에 비해 6 MV에서 0.824, 10 MV에서 0.736배인 것으로 나타났고 scatter factor는 평균적으로 1.4정도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부선량백분율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Mayneord F factor를 적용하였으며 위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균질한 팬텀에서 알고리즘을 검증한 결과 최대 오차 약 1.65%로 계산이 정확하게 실시됨을 확인하였다.

용담 열수 추출물이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에서 위장관 이송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ied Gentiana scabra Rhizomes and Roots on the Intestinal Transit Rate of Mice with Experimental Gastrointestinal Motility Dysfunctions)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45-1350
    • /
    • 2019
  • 한약재로 쓰이는 용담(Gentiana scabra)의 열수 추출물(GS-W)을 정상 마우스에 경구 투여할 경우 in vivo 위장관이송률(ITR)이 유의적이고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이,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n vivo 실험적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GMD) 마우스 모델에서는 GS-W가 ITR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하였다. GS-W는 5 g/kg의 고용량 경구 투여 시에도 정상 마우스에서 급성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GMD 마우스에서 ITR을 유의적이고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특히 1 g/kg 경구 투여 시의 ITR은 cisapride 투여 시보다 수치 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1990년대까지 임상적으로 널리 처방되었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를 GS-W가 대체하여, 인간의 다양한 GMD 상황을 예방하거나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Evaluation of Antidiarrhoeal Activity of Aerva species

  • Joanofarc, J.;Vamsadhara, C.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9권3호
    • /
    • pp.177-179
    • /
    • 2003
  • The genus Aerva is distributed is temperate and stropical Asia and Africa. Aerva species, Aerva lanata and Aerva javanica have been used for antidiarrhoeal activity in Indian traditional medicine. A.lanata and A.javanica were screened separately for their. anti-diarrhoeal activity and their action on intestinal transit on their vacuum dried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at the dose of 800 mg/kg by standard methods. All the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dairrhoeal activity and significantly reduced intestinal transit in charcoal meal test.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A.lanata and the ethanolic and aqueous extracts of A.javanica have significant antidiarrhoeal activity and the activity may be attributed to its effect on intestinal transit.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claim of Aerva lanata and Aerva javanica as antidiarrhoeal drugs in the Indian system of medicine.

흰쥐에 있어서 펙틴이 식이의 상부소화관내 이동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etary Pectin on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nsit Rate in Rats)

  • 김정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27-632
    • /
    • 1992
  • 식이 중의 펙틴이 식이의 상부소화관내 이동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에게 무섬유식이 또는 10% 펙틴식이를 공급하면서 식이의 이동속도 표시물질인 51-Cr를 투여하였다. 51-Cr 투여후 20분부터 6시간까지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동물을 희생시켜, 51-Cr이 소화관에서 이동하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51-Cr를 섭취한 뒤 3시간까지 펙틴은 51-Cr이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해 나가는 속도를 유의성있게 증가시켰다. 51-Cr을 섭취한 후 3시간과 4시간 사이에 펙틴은 51-Cr이 소장을 통과하여 맹장으로 이동해 나가는 속도를 증가시켰다. 따라서 펙틴이 포도당 부하후 또는 식이섭취후 혈당치와 인슐린치의 급격한 증가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펙틴이 상부소화관내 이동속도를 지연시키기 때문이라는 가설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PDF

The Effects of Jungri-tang Gamibang on Carbachol-accelerated Mouse Small Intestinal Transit

  • Kim, Dae-Jun;Byun, Joon-Seok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16
    • /
    • 2009
  • Objectives: To clarify the effects of Jungri-tang Gamibang on accelerating small intestinal movement induced by the stimulation of cholinergic neurotransmission. Methods: 500, 250 and 125mg Jungri-Tang Gamibang or 20mg domperidone were dissolved or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orally pretreated on the carbachol-accelerated small intestinal transit mice once a day for 7 days at a volume of 10ml/kg (of body weight) using a Zonde needle attached to 1 ml syringes containing test drugs. Result: Significantly (p<0.01) increase of % regions of activated charcoal transit in the small intestine was detected in carbachol control compared to that of intact control. However, significant (p<0.01) decreases of % regions of activated charcoal transit were dose-dependently observed in all Jungri-Tang Gamibang extracts or domperidone-pretreated groups.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Jungri-tang Gamibang enhancement in the normal intestinal motility and normalization in the accelerated intestinal motility might interfere with a variety of muscarinic, adrenergic and histaminic receptor activities or with the mobilization of calcium ions required for smooth muscle contraction non-specif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