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in Performance

검색결과 1,499건 처리시간 0.03초

도산 예측을 위한 러프집합이론과 인공신경망 통합방법론 (The Integrated Methodology of Rough Set Theory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Business Failure Prediction)

  • 김창연;안병석;조성식;김성희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9권4호
    • /
    • pp.23-40
    • /
    • 1999
  • This paper proposes a hybrid intelligent system that predicts the failure of firms based on the past financial performance data, combining neural network and rough set approach, We can get reduced information table, which implies that the number of evaluation criteria such as financial ratios and qualitative variables and objects (i.e., firms) is reduced with no information loss through rough set approach. And then, this reduced information is used to develop classification rules and train neural network to infer appropriate parameters. Through the reduction of information table, it is expec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neural network improve. The rules developed by rough sets show the best prediction accuracy if a case does match any of the rules. The rationale of our hybrid system is using rules developed by rough sets for an object that matches any of the rules and neural network for one that does not match any of them.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ology was verified by experiments comparing traditional discriminant analysis and neural network approach with our hybrid approach. For the experiment, the financial data of 2,400 Korean firms during the period 1994-1996 were selected, and for the validation, k-fold validation was used.

  • PDF

차분 특징을 이용한 평균-교사 모델의 음향 이벤트 검출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Mean-Teacher Models in Audio Event Detection Using Derivative Features)

  • 곽진열;정용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401-406
    • /
    • 2021
  • 최근 들어, 음향 이벤트 검출을 위하여 CRNN(: Convolutional Recurrent Neural Network) 구조에 기반 한 평균-교사 모델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평균-교사 모델은 두 개의 병렬 형태의 CRNN을 가진 구조이며, 이들의 출력들의 일치성을 학습 기준으로 사용함으로서 약-전사 레이블(label)과 비-전사 레이블 음향 데이터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신의 평균-교사 모델에 로그-멜 스펙트럼에 대한 차분 특징을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서 보다 나은 성능을 이루고자 하였다. DCASE 2018/2019 Challenge Task 4용 학습 및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음향 이벤트 검출 실험에서 제안된 차분특징을 이용한 평균-교사모델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서 최대 8.1%의 상대적 ER(: Error Rate)의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소형전술차량 기동조건 및 운용환경 분석을 통한 대표주행경로 선정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Drive Course for Small Tactical Vehicles Through Movement Condition and Operational Environment Analysis)

  • 김주희;이종우;유삼현;박지일;신현승;권영진;최현호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41-352
    • /
    • 2019
  • LTV(Light Tactical vehicle) operating in our military requires higher levels of performance and durability to withstand harsher conditions than ordinary vehicles, as they must travel on both rough-train and off-road as well as on public roads. Recently, developed light tactical vehicle is developed by a variety of test evaluations in order to satisfy ROC(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by the requirement military group. However, there is no standardized driving test condition for satisfying the durability performance of Korean tactical vehicl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reliable driving test conditions by analyzing the maneuver conditions and the driving data in order to select the representative drive course required. To do this, we analyzed the future operational environment, the area of operation analysis and the driving information of light tactical vehicle.

교육용 로봇을 위한 포토트랜지스터의 방사형 배열을 이용한 물체추적기능을 갖는 거리 센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distance sensor module with object tracking function using radial arrangement of phototransistor for educational robot)

  • 조세형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922-932
    • /
    • 2018
  • 방사형 거리 센서는 측량 및 자율 주행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센서의 작동 원리 및 적용 방법의 교육이 필요하다. 상용 방사형 거리 센서의 저성능화를 통한 저가화가 계속되고 있지만, 교육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고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로봇에 활용할 수 있는 저가의 포토트랜지스터의 방사형 배열을 이용한 물체추적기능을 갖는 거리 센서 모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포토트랜지스터를 180도 범위의 배열로 배치하여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위치를 즉시 감지할 수 있으며 서보 모터를 사용한 센서 회전으로 감지 각도 범위를 향상하고 물체를 추적한다. 제안된 센서의 스캔 속도는 상업용 거리 센서보다 50~200배 빨라서 1ms의 제어 루프를 가지는 고성능의 교육용 모바일 로봇에 적용할 수 있다.

교통사고 심각 정도 예측을 위한 TATI 모델 제안 (Proposed TATI Model for Predicting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 추민지;박소현;박영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8호
    • /
    • pp.301-310
    • /
    • 2021
  • TATI 모델이란 Traffic Accident Text to RGB Image 모델로, 교통사고 심각 정도 예측을 위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이다. 교통사고 치사율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나 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속해있다. 교통사고 치사율 감소를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고, 그 중에서 교통사고 심각 정도를 예측하여 발생 및 치사율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통계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교통사고 심각 정도 예측을 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사고 심각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교통사고 데이터를 컬러 이미지로 변환하고, CNN 모델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 성능 비교를 위해 제안하는 모델과 다른 모델들을 같은 데이터로 학습시키고, 예측결과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10번의 실험을 통해 4개의 딥러닝 모델의 정확도와 오차 범위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TATI 모델의 정확도가 0.85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0.03으로 두 번째로 낮은 오차 범위를 보여 성능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균열 탐지를 위한 딥 러닝 기반 CNN 모델 비교 (Comparison of Deep Learning-based CNN Models for Crack Detection)

  • 설동현;오지훈;김홍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3호
    • /
    • pp.113-12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odels of Deep Learning-based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for concrete crack detection. The comparison models are AlexNet, GoogLeNet, VGG16, VGG19, ResNet-18, ResNet-50, ResNet-101, and SqueezeNet which won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ILSVRC). To train, validate and test these models, we constructed 3000 training data and 12000 validation data with 256×256 pixel resolution consisting of cracked and non-cracked images, and constructed 5 test data with 4160×3120 pixel resolution consisting of concrete images with crack.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training, transfer learning was performed by taking the weight from the pre-trained network supported by MATLAB. From the trained network, the validation data is classified into crack image and non-crack image, yielding True Positive (TP), True Negative (TN), False Positive (FP), False Negative (FN), and 6 performance indicators, False Negative Rate (FNR), False Positive Rate (FPR), Error Rate, Recall, Precision, Accuracy were calculated. The test image was scanned twice with a sliding window of 256×256 pixel resolution to classify the cracks, resulting in a crack map. From the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the crack map, it was concluded that VGG16 and VGG19 were the most suitable for detecting concrete cracks.

CNN기반의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번역 프로그램 (CNN-based Sign Language Translation Program for the Deaf)

  • 홍경찬;김형수;한영환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06-212
    • /
    • 2021
  • 사회가 점점 발전하면서 의사소통 방법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한 의사소통은 비장애인을 위한 방법이며, 청각장애인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을 돕기 위한 CNN 기반의 수화번역 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한다. 수화번역 프로그램은 웹캠을 통해 입력된 수화 영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미에 맞게 번역한다. 수화번역 프로그램은 직접 제작한 24,000개의 한글 자모음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효과적인 분류모델의 학습을 위해 U-Net을 통한 Segmentation을 진행한다. 전처리가 적용된 데이터는 19,200개의 Training Data와 4,800개의 Test Data를 통하여 AlexNet을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구현한 수화번역 프로그램은 'ㅋ'이 97%의 정확도와 99%의 F1-Score로 모든 수화데이터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모음 데이터에서는 'ㅣ'가 94%의 정확도와 95.5%의 F1-Score로 모음 데이터 중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다시점 준지도 학습 기반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Multi-view Semi-supervised Learning-based 3D Human Pose Estimation)

  • 김도엽;장주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74-184
    • /
    • 2022
  •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모델은 다시점 모델과 단시점 모델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시점 모델은 단시점 모델에 비하여 뛰어난 자세 추정 성능을 보인다. 단시점 모델의 경우 3차원 자세 추정 성능의 향상은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3차원 자세에 대한 참값을 획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우리는 다시점 모델로부터 다시점 휴먼 자세 데이터에 대한 의사 참값을 생성하고, 이를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각각의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자세의 일관성을 고려하는 다시점 일관성 손실함수를 제안하여, 이것이 단시점 모델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인다. Human3.6M과 MPI-INF-3DHP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은 제안하는 방법이 3차원 휴먼 자세 추정을 위한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석산 개발 발파진동 예측 (Prediction of Blast Vibration in Quarry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 정다희;최요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508-51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발파 시 사람과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발파진동(peak particle velocity, PPV)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PPV를 예측하기 위해 kNN(k-nearest neighbors),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SVR 알고리즘을 이용한 4가지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상호 비교하였다. 머신러닝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욕망산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1048개의 발파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발파 데이터는 천공장, 저항선, 공간격, 최대지발장약량, 비장약량, 총공수, 에멀전비율, 이격거리, PPV로 구성되었다. 훈련된 모델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값으로 MAE(mean absolute error), MSE(mean squared error), RMSE(root mean squared error)를 사용하였다. 평가결과 PSO-SVR 모델이 MAE, MSE, RMSE가 각각 0.0348, 0.0021, 0.0458으로 가장 우수한 예측 성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정도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Land Use and Land Cover Mapping from Kompsat-5 X-band Co-polarized Data Using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 Jang, Jae-Cheol;Park, Kyung-A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126
    • /
    • 2022
  • Land use and land cover (LULC) mapp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geospatial analysis. Although highly precise ground-based LULC monitoring is possible, it is time consuming and costly. Conversely, because th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sensor is an all-weather sensor with high resolution, it could replace field-based LULC monitoring systems with low cost and less time requirement. Thus, LULC is one of the major areas in SAR applications. We developed a LULC model using only KOMPSAT-5 single co-polarized data and digital elevation model (DEM) data. Twelve HH-polarized images and 18 VV-polarized images were collected, and two HH-polarized images and four VV-polarized images were selected for the model testing. To train the LULC model, we applied the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cGAN) method. We used U-Net combined with the residual unit (ResUNet) model to generate the cGAN method. When analyzing the training history at 1732 epochs, the ResUNet model showed a maximum overall accuracy (OA) of 93.89 and a Kappa coefficient of 0.91. The model exhibited high performance in the test datasets with an OA greater than 90. The model accurately distinguished water body areas and showed lower accuracy in wetlands than in the other LULC types. The effect of the DEM on the accuracy of LULC was analyzed. When assessing the accuracy with respect to the incidence angle, owing to the radar shadow caused by the side-looking system of the SAR sensor, the OA tended to decrease as the incidence angle increas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use only KOMPSAT-5 single co-polarized data and deep learning method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high-performance LULC monitoring. This study contributes to Earth surface monitoring and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approaches using the KOMPSAT-5 data.